
000 | 00748camccc200277 k 4500 | |
001 | 000045195005 | |
005 | 20100806060550 | |
007 | ta | |
008 | 050812s2005 ggk b b001c kor | |
020 | ▼a 8974181789 | |
035 | ▼a KRIC10007450 | |
040 | ▼d 211048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1.3 ▼2 22 |
090 | ▼a 371.3 ▼b 2005j | |
100 | 1 | ▼a Lipman, Matthew. |
245 | 1 0 | ▼a 고차적 사고력 교육 / ▼d 매튜 리프맨 지음 ; ▼e 박진환, ▼e 김혜숙 옮김. |
246 | 1 9 | ▼a Thinking in education. 2nd ed |
260 | ▼a 고양 : ▼b 인간사랑 , ▼c 2005. | |
300 | ▼a 385 p. ; ▼c 23 cm. | |
500 | ▼a 참고문헌(p. [375]-378), 색인수록 | |
700 | 1 | ▼a 박진환 , ▼e 역 |
700 | 1 | ▼a 김혜숙 , ▼e 역 |
890 | ▼b 245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3 2005j | Accession No. 111341823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5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3 2005j | Accession No. 111341824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14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71.3 2005j | Accession No. 14104664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71.3 2005j | Accession No. 12111158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71.3 2005j | Accession No. 12111158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1.3 2005j | Accession No. 15118582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3 2005j | Accession No. 111341823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5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3 2005j | Accession No. 111341824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14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71.3 2005j | Accession No. 14104664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71.3 2005j | Accession No. 12111158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71.3 2005j | Accession No. 12111158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1.3 2005j | Accession No. 15118582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사고력 교육 2판을 번역하며 = 7 제2판 서문 = 19 1 사고력 교육 = 25 (1) 반성적인 교육모델 = 27 조직원리로서의 합리성 = 29 생각하기가 없는 학교교육 = 31 관행적인 교육활동과 비판적인 교육활동의 비교 = 34 교육활동 재구성하기 = 37 탐구로서의 교육 탐구공동체 문제에 대한 민감성 합당성 관계와 판단 교과 안에서 생각하기 담화를 통한 훈련 자율성 반성적 사고 (2) 사고력 교육을 위한 노력들 = 51 비판적 사고력 교육의 시작 = 51 어떻게 현재에 이르게 되었는가 비판적 사고의 최근 기원들 듀이와 듀이주의자들 분석적 기술과 인지목표 비형식 논리의 등장 또 다른 목소리들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의 정착 비판적 사고와 신념의 주입 = 72 실천 추론을 가르치기 위한 대안적 접근들 = 76 근거에 의한 실천 추론의 지도 기준에 의한 실천 추론의 지도 가설과 결과에 의한 실천 추론의 지도 연결과 전이와 번역을 위한 교수 = 83 비판적 사고의 특징 = 86 (3) 사고력 교육에 있어서의 장애와 오해 = 95 사고력 강화에 대한 개념적 장애들 = 95 사고의 본질에 대한 논쟁 적절한 심리학적 접근에 대한 이견 철학의 역할에 대한 이견 교육학적 접근법에 대한 이견 비판적 사고력 교육에 대한 잘못된 생각들 = 104 사고력 교육과 비판적 사고력 교육은 같은 것이다 반성적으로 가르치기만 하면 반성적인 학습은 반드시 이루어진다 비판적 사고에 관해 가르치는 교육은 비판적 사고력 교육과 동일하다 비판적 사고력 교육은 사고기술의 반복연습을 필요로 한다 논리적 사고력 교육과 비판적 사고력 교육은 같다 내용 위주의 학습능력 지도도 비판적 사고의 지도만큼 효과적이다 2 탐구공동체 = 117 (4) 공동체 안에서 생각하기 = 119 공동체를 만드는 것과 공동체가 만드는 것 = 119 논의가 이끄는 대로 따라가기 = 120 담화적 담론의 논리 = 124 담화의 예술 = 126 대화의 구조 = 128 대화와 공동체 = 129 다른 사람의 경험으로부터 배우기 = 132 교육에 있어서 탐구공동체의 역할 = 133 교실 탐구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 142 탐구공동체에서 토론이 갖는 인식론적 지위 = 145 (5) 폭력 감소를 위한 탐구공동체 접근 = 147 주입이 아닌 교육 = 147 우리는 어떤 기준을 활용할 수 있는가? = 151 우리의 경험 인용하기 아이들의 경험 활용하기 아이들 설득시키기 추론 활용하기 위의 모두를 활용하기 폭력과 정당화 = 155 인지적 활동을 통한 판단의 강화 = 161 탐구공동체를 통한 가치와 의미의 교육 = 164 학교교육을 통해 폭력 줄이기 = 167 3 구성요소들의 조화 = 171 (6) 사고와 교육에서의 감정 = 173 감정과 교육 = 173 감정적 사고의 전형이 있는가? = 176 감정에 대해 가르칠 수 있는가? = 178 감정과 언어 = 180 감정을 표현하는 말들 = 182 (7) 정신동작 = 187 정신동작의 자각과 실행 = 187 자신의 정신동작 인식하기 = 190 실행으로서의 정신동작 = 192 명제적 태도 = 195 인식론적인 움직임 : 정신동작과 정신상태는 사고기술로 발전될 수 있다 = 199 정신적 움직임에서 철학적 대화로의 발전 = 201 어떻게 철학이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면밀한 고찰 = 209 (8) 사고기술 = 215 학생들에게 사고기술 가르치기 = 215 기술과 의미 = 227 사고기술의 중요한 4가지 형태 = 234 탐구기술 추론기술 정보조직기술 번역기술 추론은 가르칠 가치가 있는 것인가? = 243 기술과 그들의 조화로운 통합 = 244 기본적인 기술에서 초등학교 교과까지 = 247 기술의 범위 = 249 4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육 = 255 (9) 사고의 교류적 차원 = 257 다차원적 사고 접근법 = 257 사고력 교육을 받을 권리 = 264 (10) 비판적 사고를 위한 교육 = 267 비판적 사고가 할 수 있는 것 = 267 비판적 사고의 결과는 판단이다 비판적 사고는 기준에 의존한다 메타 기준과 메가 기준 비교 근거로서의 기준 표준의 절대적 필요성 비판적 사고는 자기 수정이다 비판적 사고는 맥락에 재한 민감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비판적 사고를 나타내는 실천추론 행위들 = 288 전문교육과 판단력 배양 = 29l 비판적 사고와 비형식적 오류들 = 296 잘못된 추론의 범법자 명단 평가원칙의 중요성 합당성의 표준을 세워주는 타당성 사용하기 타당성 표 비판적 사고교육에서 평가원칙 연습의 역할 (11) 창의적 사고를 위한 교육 = 311 표준으로서 예술작품의 일차적 측면 = 311 비판적 사고관점에서의 창의적 사고 = 312 새로움(freshness), 문제성(problematicity), 가지력(intelligibility) = 317 확장적 사고 = 319 도전적 사고 = 321 산파적 사고 = 322 창의적이고 배려적인 사고 = 324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 325 창의적인 사고과정 안에서의 인지적 움직임 = 326 탐구공동체에서의 대화와 창의성 = 327 창의성과 스스로 생각하기 = 329 (12) 배려적 사고를 위한 교육 = 335 사고에서 열정의 지위 = 335 중요한 것에 대한 관심으로서의 배려적 사고 = 336 배려적 사고의 종류 = 338 가치부여적 사고 정서적 사고 행동적 사고 규범적 사고 감정이입적 사고 (13) 판단의 힘 강화하기 = 349 왜 더 잘 판단하도록 가르치지 않았는가? = 349 비판적ㆍ창의적ㆍ배려적 판단 = 351 일반성과 특수성의 연결점 = 355 판단의 세 가지 형태 = 358 일반적 판단 매개적ㆍ절차적 판단 완성적 판단 교육현장에서의 균형 있는 판단 = 369 인격의 표현으로서의 판단 = 372 참고문헌 = 375 찾아보기 =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