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고력 교육 2판을 번역하며 = 7
제2판 서문 = 19
1 사고력 교육 = 25
(1) 반성적인 교육모델 = 27
조직원리로서의 합리성 = 29
생각하기가 없는 학교교육 = 31
관행적인 교육활동과 비판적인 교육활동의 비교 = 34
교육활동 재구성하기 = 37
탐구로서의 교육
탐구공동체
문제에 대한 민감성
합당성
관계와 판단
교과 안에서 생각하기
담화를 통한 훈련
자율성
반성적 사고
(2) 사고력 교육을 위한 노력들 = 51
비판적 사고력 교육의 시작 = 51
어떻게 현재에 이르게 되었는가
비판적 사고의 최근 기원들
듀이와 듀이주의자들
분석적 기술과 인지목표
비형식 논리의 등장
또 다른 목소리들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의 정착
비판적 사고와 신념의 주입 = 72
실천 추론을 가르치기 위한 대안적 접근들 = 76
근거에 의한 실천 추론의 지도
기준에 의한 실천 추론의 지도
가설과 결과에 의한 실천 추론의 지도
연결과 전이와 번역을 위한 교수 = 83
비판적 사고의 특징 = 86
(3) 사고력 교육에 있어서의 장애와 오해 = 95
사고력 강화에 대한 개념적 장애들 = 95
사고의 본질에 대한 논쟁
적절한 심리학적 접근에 대한 이견
철학의 역할에 대한 이견
교육학적 접근법에 대한 이견
비판적 사고력 교육에 대한 잘못된 생각들 = 104
사고력 교육과 비판적 사고력 교육은 같은 것이다
반성적으로 가르치기만 하면 반성적인 학습은 반드시 이루어진다
비판적 사고에 관해 가르치는 교육은 비판적 사고력 교육과 동일하다
비판적 사고력 교육은 사고기술의 반복연습을 필요로 한다
논리적 사고력 교육과 비판적 사고력 교육은 같다
내용 위주의 학습능력 지도도 비판적 사고의 지도만큼 효과적이다
2 탐구공동체 = 117
(4) 공동체 안에서 생각하기 = 119
공동체를 만드는 것과 공동체가 만드는 것 = 119
논의가 이끄는 대로 따라가기 = 120
담화적 담론의 논리 = 124
담화의 예술 = 126
대화의 구조 = 128
대화와 공동체 = 129
다른 사람의 경험으로부터 배우기 = 132
교육에 있어서 탐구공동체의 역할 = 133
교실 탐구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 142
탐구공동체에서 토론이 갖는 인식론적 지위 = 145
(5) 폭력 감소를 위한 탐구공동체 접근 = 147
주입이 아닌 교육 = 147
우리는 어떤 기준을 활용할 수 있는가? = 151
우리의 경험 인용하기
아이들의 경험 활용하기
아이들 설득시키기
추론 활용하기
위의 모두를 활용하기
폭력과 정당화 = 155
인지적 활동을 통한 판단의 강화 = 161
탐구공동체를 통한 가치와 의미의 교육 = 164
학교교육을 통해 폭력 줄이기 = 167
3 구성요소들의 조화 = 171
(6) 사고와 교육에서의 감정 = 173
감정과 교육 = 173
감정적 사고의 전형이 있는가? = 176
감정에 대해 가르칠 수 있는가? = 178
감정과 언어 = 180
감정을 표현하는 말들 = 182
(7) 정신동작 = 187
정신동작의 자각과 실행 = 187
자신의 정신동작 인식하기 = 190
실행으로서의 정신동작 = 192
명제적 태도 = 195
인식론적인 움직임 : 정신동작과 정신상태는 사고기술로 발전될 수 있다 = 199
정신적 움직임에서 철학적 대화로의 발전 = 201
어떻게 철학이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면밀한 고찰 = 209
(8) 사고기술 = 215
학생들에게 사고기술 가르치기 = 215
기술과 의미 = 227
사고기술의 중요한 4가지 형태 = 234
탐구기술
추론기술
정보조직기술
번역기술
추론은 가르칠 가치가 있는 것인가? = 243
기술과 그들의 조화로운 통합 = 244
기본적인 기술에서 초등학교 교과까지 = 247
기술의 범위 = 249
4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육 = 255
(9) 사고의 교류적 차원 = 257
다차원적 사고 접근법 = 257
사고력 교육을 받을 권리 = 264
(10) 비판적 사고를 위한 교육 = 267
비판적 사고가 할 수 있는 것 = 267
비판적 사고의 결과는 판단이다
비판적 사고는 기준에 의존한다
메타 기준과 메가 기준
비교 근거로서의 기준
표준의 절대적 필요성
비판적 사고는 자기 수정이다
비판적 사고는 맥락에 재한 민감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비판적 사고를 나타내는 실천추론 행위들 = 288
전문교육과 판단력 배양 = 29l
비판적 사고와 비형식적 오류들 = 296
잘못된 추론의 범법자 명단
평가원칙의 중요성
합당성의 표준을 세워주는 타당성 사용하기
타당성 표
비판적 사고교육에서 평가원칙 연습의 역할
(11) 창의적 사고를 위한 교육 = 311
표준으로서 예술작품의 일차적 측면 = 311
비판적 사고관점에서의 창의적 사고 = 312
새로움(freshness), 문제성(problematicity), 가지력(intelligibility) = 317
확장적 사고 = 319
도전적 사고 = 321
산파적 사고 = 322
창의적이고 배려적인 사고 = 324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 325
창의적인 사고과정 안에서의 인지적 움직임 = 326
탐구공동체에서의 대화와 창의성 = 327
창의성과 스스로 생각하기 = 329
(12) 배려적 사고를 위한 교육 = 335
사고에서 열정의 지위 = 335
중요한 것에 대한 관심으로서의 배려적 사고 = 336
배려적 사고의 종류 = 338
가치부여적 사고
정서적 사고
행동적 사고
규범적 사고
감정이입적 사고
(13) 판단의 힘 강화하기 = 349
왜 더 잘 판단하도록 가르치지 않았는가? = 349
비판적ㆍ창의적ㆍ배려적 판단 = 351
일반성과 특수성의 연결점 = 355
판단의 세 가지 형태 = 358
일반적 판단
매개적ㆍ절차적 판단
완성적 판단
교육현장에서의 균형 있는 판단 = 369
인격의 표현으로서의 판단 = 372
참고문헌 = 375
찾아보기 =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