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숭고에 대하여 : 경계의 미학, 미학의 경계

숭고에 대하여 : 경계의 미학, 미학의 경계 (Loan 9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예령, 1967-, 역 Nancy, Jean-Luc, 저 Deguy, Michel, 1930-2022, 저 Escoubas, Eliane, 저 Lacoue-Labarthe, Philippe, 저 Lyotard, Jean-François, 1924-1998, 저 Rogozinski, Jacob Courtine, Jean-Francois, 저 Martin, Louis, 저 김예령
Title Statement
숭고에 대하여 : 경계의 미학, 미학의 경계 / 장-뤽 낭시 외 7인 지음 ; 김예령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05  
Physical Medium
356 p. ; 23 cm
Series Statement
현대의 문학 이론 ;41
Varied Title
Du sublime
ISBN
8932016186
General Note
공저자: 미셸 드기, 엘리안 에스쿠바, 필립 라쿠-라바르트,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제콤 로고진스키, 장-프랑수아 쿠르틴, 루이 마랭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194989
005 20221125092837
007 ta
008 050809s2005 ulk 001c kor
020 ▼a 8932016186 ▼g 931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801 ▼a 111/.85 ▼2 23
085 ▼a 801 ▼2 DDCK
090 ▼a 801 ▼b 1982c ▼c 41
245 0 0 ▼a 숭고에 대하여 : ▼b 경계의 미학, 미학의 경계 / ▼d 장-뤽 낭시 외 7인 지음 ; ▼e 김예령 옮김
246 1 9 ▼a Du sublime
260 ▼a 서울 : ▼b 문학과지성사, ▼c 2005
300 ▼a 356 p. ; ▼c 23 cm
440 0 0 ▼a 현대의 문학 이론 ; ▼v 41
500 ▼a 공저자: 미셸 드기, 엘리안 에스쿠바, 필립 라쿠-라바르트,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제콤 로고진스키, 장-프랑수아 쿠르틴, 루이 마랭
500 ▼a 색인수록
536 ▼a 프랑스 외무부와 주한프랑스대사관이 주관하는 출판협력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출간되었음
700 1 ▼a 김예령, ▼d 1967-, ▼e▼0 AUTH(211009)9791
700 1 ▼a Nancy, Jean-Luc, ▼e▼0 AUTH(211009)76307
700 1 ▼a Deguy, Michel, ▼d 1930-2022, ▼e▼0 AUTH(211009)102759
700 1 ▼a Escoubas, Eliane, ▼e▼0 AUTH(211009)93119
700 1 ▼a Lacoue-Labarthe, Philippe, ▼e▼0 AUTH(211009)102758
700 1 ▼a Lyotard, Jean-François, ▼d 1924-1998, ▼e▼0 AUTH(211009)139844
700 1 ▼a Rogozinski, Jacob ▼0 AUTH(211009)129141
700 1 ▼a Courtine, Jean-Francois, ▼e▼0 AUTH(211009)83371
700 1 ▼a Martin, Louis, ▼e
700 1 ▼a 김예령
900 1 0 ▼a 낭시, 장-뤽, ▼e
900 1 0 ▼a 드기, 미셸, ▼e
900 1 0 ▼a 에스쿠바, 엘리안, ▼e
900 1 0 ▼a 라쿠-라바르트, 필립, ▼e
900 1 0 ▼a 리오타르, 장-프랑수아, ▼e
900 1 0 ▼a 로고진스키, 제콤, ▼e
900 1 0 ▼a 쿠르틴, 장-프랑수아, ▼e
900 1 0 ▼a 마랭, 루이, ▼e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1 1982c 41 Accession No. 11134196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7-05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1 1982c 41 Accession No. 11134196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801 1982c 41 Accession No. 14104797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12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801 1982c 41 Accession No. 12111161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801 1982c 41 Accession No. 12111162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01 1982c 41 Accession No. 15123604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7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01 1982c 41 Accession No. 1512360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1 1982c 41 Accession No. 111341963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7-05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1 1982c 41 Accession No. 11134196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801 1982c 41 Accession No. 14104797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12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801 1982c 41 Accession No. 12111161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801 1982c 41 Accession No. 12111162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01 1982c 41 Accession No. 15123604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01 1982c 41 Accession No. 1512360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인간과 예술이 야기하는 진리와 사유의 경험들에 대한 현대 철학자들의 다양한 고찰을 담은 논문집이다. 1984년에서 1986년 사이에 잡지 「포에지」에 발표된 일련의 '숭고 분석'에, 또 다른 네 편의 논문을 첨가한 총 여덟 개의 글을 싣고 있다. 숭고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것들 그리고 숭고의 개념과 관련된 질문들을 다시 돌아본다.

이 책은 구조조의라는 바로 앞 세대들의 이론 '틀'에서 한 단계 나아가고자 한 68세대 지식인들의 사유를 한데 모은 것이다. 인간과 예술에 대한 새로운 고찰 방식과 탈근대적 관점에서 근대를 재조망했다.

수록된 논문들은 대체로 그것들이 다루고 있는 주제별로 묶여 있다. '롱기누스'를 다룬 미셸 드기의 논문을 필두로, '숭고한 제시' 자체를 분석 주제로 삼은 장 뤽 낭시, 엘리안 에스쿠바, 필립 라쿠 라바르트의 글을 차례로 실었다. 다음으로 대상이나 목적에 따라 특정적으로 숭고를 다룬 텍스트들인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와 자콥 로고진스키의 새 논문을 배치했다.

이어 독일 이상주의에서 '숭고'가 차지하는 자리를 다룬 장 프랑수아 쿠르틴의 고찰이 뒤를 따르고, 마지막으로 17세기 화가 푸생의 그림 '피라무스와 티스베가 있는 풍경'을 대상으로 '숭고한 형상화'에 관한 루이 마랭의 논문을 실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장프랑수아 리오타르(지은이)

1924년 프랑스 베르사유에서 태어났다. 소르본 대학교에서 철학과 문학을 공부했고 1970년대 초부터 1989년 명예 교수로 퇴임할 때까지 파리의 벵센 대학교와 생드니 대학교에서 철학 교수로 활동했다. 젊은 시절 그는 전투적 마르크스주의자로 1956년에서 1966년까지 잡지 《사회주의냐 야만이냐(Socialisme ou Barbarie)》와 신문 《노동자의 힘(Force Ouvrire)》의 편집 위원으로 일했고, 알제리 해방 운동의 열렬한 지지자로 알제리에서 교사 생활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 후 마르크스적 설명 방식에 회의를 품고, 철학, 언어학, 예술 분야에서 나름대로의 ‘포스트마르크스주의적’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그는 장 보드리야르, 프레드릭 제임슨 등과 더불어 철학적 포스트모더니즘 이론가로 알려졌다. 1998년 백혈병으로 사망했다. 저서로 『현상학(La Pheomeologie)』(1954), 『담론, 형상(Discours, figure)』(1971), 『마르크스와 프로이트로부터의 표류(Deive apartir de Marx et Freud)』(1973), 『리비도 경제(Eonomie libidinale)』(1974), 『분쟁(Le diffeend)』(1983), 『지식인의 종언(Tombeau de l’intellectuel et autres papiers)』(1984) 등이 있다.

장-뤽 낭시(지은이)

1940년 프랑스 코데랑 출생.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철학과에서 철학·미학 담당 교수로서 오랫동안 가르치다 은퇴했다. 낭시는 독일 낭만주의, 헤겔·니체·하이데거의 철학과 라캉의 사상을 재해석하는 동시에 독일 낭만주의,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 등 독일 사상으로부터 출발해 정치철학과 미학, 예술이론 분야에서 독창적인 사유를 전개했다. 특히 그는 교조주의적 맑스주의의 몰락 이후에 가능한 공산주의의 문제, 공동체의 문제를 다시 제기하는 것을 자신의 주요한 과제로 삼았다. 2021년 8월 타계 후 그에 대한 연구가 보다 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문자의 지위』(필립 라쿠-라바르트와 공저), 『목소리의 나눔』, 『철학의 망각』, 『자유의 경험』, 『사유의 무게』, 『세계의 의미』, 『복수적 단수의 존재』, 『이미지 속 깊은 곳에서』 등이 있다.

미셸 드기(지은이)

시인이자 수사학자, 파리 8대학의 명예교수이다. 시 전문지 「포에지」의 편집주간과 「현대」지의 편집위원을 지냈다.

엘리안 에스쿠바(지은이)

2005년 현재 파리 7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상학 및 독일 철학, 예술철학을 강의하고 있다.

필립 라쿠-라바르트(지은이)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 철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독일 낭만주의와 하이데거 사상에 영향을 받아 시와 정치라는 두 축을 접목하여 미학적 관점에서 근대 철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으며 미메시스 및 표현/재현의 문제, 주체의 문제 등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사유를 전개했다. 철학자의 시각에서 라캉의 문자 이론을 연구하고 평가한 『문자라는 증서』(1973)를 시작으로, 초기 독일 낭만주의자들의 문헌을 연구한 『문학적 절대』(1978) 등, 장-뤽 낭시와 함께 다수의 공저를 발표하고 수차례의 공동 강의를 기획하는 등 거의 40여 년에 걸쳐 많은 작업을 함께 수행했다. <안티고네>(1978), <페니키아의 여인들>(1980), <오이디푸스 왕>(1998) 등 희곡 번역 및 연극 제작에도 참여한 바 있다. 주요 저서로 『철학의 주체, 활자판 I』 『근대인의 모방, 활자판 II』 『무지카 픽타: 바그너의 인물들』 『하이데거: 시의 정치』 등이 있다.

자콥 로고진스키(지은이)

국제철학학교(College international de philosophie) 프로그램 최고책임자를 역임했으며, 현재 스트라스부르그 대학 철학 학부의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관심은 자아와 신체 문제에 집중했으며 이는 그의 주저가 된 <자아와 살>(2006)의 출판으로 이어졌다. 그는 또한 현상학에서 나온 현대적 사유, 특히 데리다의 사유와 비판적 대결을 벌였으며, 그의 <데리다의 지하납골당(Cryptes de Derrida)>(2014)은 그 현대적 사유에 바친 책이다. 최근 연구에서 그는 문학(<삶을 치유하다(Guerir la vie)>(2011)는 시인 앙토냉 아르토에 바친 책이다)과 역사와 같은 상이한 영역에 그의 가정을 적용해봄으로써 그 가정을 확인하고 심화하려 노력한다. 에고 영역에서 구성되는 근원적 현상을 기술한 뒤에 어떻게 그 근원적 현상이 상호주관성의 차원, 세계와 역사의 차원에서 전개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문제이다. 바로 그러한 관점에서 그는 축출과 박해의 역사적 현상을 분석하고자 시도했다. 이는 그의 최근 저서 <그들은 나를 이유 없이 증오했다(Ils m’ont hai sans raison)>(2015)의 연구대상이 되었다.

장 프랑수아 쿠르틴(지은이)

2005년 현재 파리 4대학(소르본)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형이상학과 존재론, 현상학을 강의하고 있다.

루이 마랭(지은이)

문예 비평가이자 문화사가로, 파리 10대학과 존스 홉킨스 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1902년에 사망했다.

김예령(옮긴이)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파리 7대학에서 루이페르디낭 셀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옮긴 책으로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등의 『숭고에 대하여 - 경계의 미학, 미학의 경계』, 안느실비 슈프렌거의 『아귀』, 레몽 라디게의 『육체의 악마』,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 장뤽 낭시의 『코르푸스 - 몸, 가장 멀리서 오는 지금 여기』, 나탈리 레제의 『사뮈엘 베케트의 말 없는 삶』, 루이페르디낭 셀린의 『제멜바이스 / Y 교수와의 인터뷰』, 사뮈엘 베케트의 『세계와 바지 / 장애의 화가들』, 모리스 블랑쇼의 『지극히 높은 자』 등이 있다. 강의와 번역을 병행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장-뤽 낭시 = 7
고양의 언술 - 위(僞)롱기누스를 다시 읽기 위하여 / 미셀 드기 = 11
숭고한 봉헌 / 장-뤽 낭시 = 49
칸트 혹은 숭고의 단순성 / 엘리안 에스쿠바 = 103
숭고한 진실 / 필립 라쿠-라바르트 = 127
숭고와 관심 /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 197
세계의 선물 / 자콥 로고진스키 = 237
비극과 숭고성 - 독일 이상주의 초창기에 시도된 『오이디푸스 왕』의 사변적 해석 / 장-프랑수아 쿠르틴 = 280
푸생의 그림 속 바벨탑에 관하여 / 루이 마랭 = 312
옳긴이 후기 = 339
필자 소개 = 345
찾아보기 = 34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