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노동운동의 길찾기를 위하여 = 4
제1장 노동운동의 탄생 = 13
1. 조선본건사회 신분제의 동요 = 15
2. 자본주의 상품화폐경제의 시작 = 19
3. 품삯 일꾼의 출현 = 25
4. 조선왕조의 몰락과 민중의 항쟁 = 29
5. 외세의 침략과 임금노동자의 형성 = 36
제2장 일제 식민지시대의 노동운동 = 43
1. 일제 무단 통치시대의 노동운동(1910년대) = 45
일제 총독부의 식민지 질서 강요 = 45
식민지 노동운동의 출발 = 53
2. 일제 '문화정치' 시대 노동운동(1920년대) = 57
지배정책의 변화와 식민지 수탈 = 57
영락하는 조선 민중의 삶 = 60
노동조직의 급증과 전국적 노동단체의 등장 = 65
노동쟁의와 동맹파업의 격증 = 70
사상 최초의 지역 총파업: 원산 총파업 = 75
3. 일제의 군국주의화와 노동운동 = 82
세계대공황과 일제의 중국침략전쟁 = 82
노동운동의 지하 잠복과 혁명적 노동조합운동 = 85
일제하 노동운동이 남긴 과제 = 93
제3장 민족해방과 노동운동: 환희는 짧고 비극은 길다 = 95
1. 광복의 환희와 민족분단의 비극 = 97
미군정과 좌우대립 = 97
생활난의 가중과 미국의 원조물자 = 103
노동자 자주관리와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의 결정 = 108
대한노총의 등장과 조직확장 = 114
전평의 총파업 투쟁과 미군정의 탄압 = 117
제4장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의 노동운동(1950년대) = 129
1. 이승만 친미 정권의 등장과 남북분단의 고착 = 129
2. 원조경제와 관료독점자본의 형성 = 133
3. 대량실업과 열악한 생활조건 = 138
4. 노동운동의 이중구조 형성 = 140
대한노총의 조직확대 투쟁과 파벌싸움 = 140
노동쟁의의 격화와 노조민주화 투쟁 = 144
부산 조선방직 노동쟁의 = 150
5. 4ㆍ19혁명과 밑으로부터의 노동운동의 성장 = 153
4월혁명과 사회ㆍ통일운동의 고양 = 153
밑으로부터의 노동운동의 폭발과 확산 = 156
제5장 개발독재시대 노동운동(1960년대) = 165
1. 5ㆍ16 군사쿠데타와 군사정권의 등장 = 167
군사쿠데타와 정권의 장악 = 167
경제개발전략과 배제의 노동정책 = 170
2. 노동자계급의 성장과 노동자 생활상태 = 175
3. 노동조합운동의 단절과 부활 = 183
노동조합의 해산명령과 위로부터의 재편성 = 183
노동쟁의의 폭발과 한계 = 188
새로운 전환을 요구 받은 노동운동 = 195
제6장 노동기본권 봉쇄하의 노동운동(1970년대) = 201
1. 혹한 속에 출발한 '대망의 70년대' = 203
유신독재철권통치와 민주화 투쟁 = 203
고도경제성장의 신화와 위기의 심화 = 209
노동기본권 없는 노사협조의 강제 = 214
2. 임금노동자의 급증과 저임금 구조 = 219
3. 노동기본권 봉쇄하의 노동운동의 성장 = 225
새로운 노동운동을 향한 인간선언의 불꽃 - 전태일의 분신 = 227
법을 뛰어 넘는 노동자 투쟁의 지속적 분출 = 233
종교계와 지식인의 노동운동 지원과 참여 = 239
민주노조운동의 형성과 발전 = 244
4. 폭압과 야만의 시대, 죽음으로 연 민주노조운동의 길 = 250
제7장 신군부정권의 폭압과 노동운동의 새로운 모색(1980년대 전반기) = 253
1. 신군부 정권의 폭력정치와 민주항쟁 = 255
광주민중항쟁과 정권 찬탈 = 255
시장개방과 구조조정으로 독점자본 거대화 = 260
노동자계급의 성장과 노동자 생활의 악화 = 262
봉쇄와 억압의 노동정책과 기업 노무관리 = 265
2. 1980년대 초 노동운동의 폭발과 침체 = 269
80년 민주화의 봄과 노동운동의 폭발 = 270
노동법 개악과 민주노조의 폭력적 파괴 = 276
노동조합의 무력화와 노동운동의 침체 = 279
지식인의 현장 투신과 소그룹운동 = 283
3. 정치유화국면과 노동운동의 활성화 = 286
재야 노동단체의 등장과 제도개선투쟁 = 288
신규노조 결성투쟁과 노조민주화투쟁 = 294
대우자동차 임금인상 투쟁과 구로동맹파업 = 299
지역노동운동의 시도 = 303
변혁적 노동운동의 지향: 서울노동운동연합과 선도적 정치투쟁 = 306
4. 1987년 6월 민주항쟁과 노동자의 참여 = 312
제8장 87 노동자대투쟁 이후의 노동운동(1987년 이후) = 315
1. 87년 노동자대투쟁의 폭발과 정세의 변화 = 317
2. 87년 노동자대투쟁의 폭발과 진전 = 325
3. 조직의 급증과 민주노조진영의 새로운 구축 = 331
민주노조 진영의 구축(1987∼88년) = 332
권력의 혹독한 탄압과 민주노조 사수(1989∼92년) = 340
민주노조 총단결과 민주노총 건설(1993∼95년) = 346
4. 한국노총의 개혁을 위한 시도 = 354
5. 1988년 이후 노동재의의 전개 = 361
6. 사상최대 정치총파업의 폭발(1996∼97년) = 369
민주노총의 총파업투쟁 = 373
한국노총의 총파업투쟁 = 379
총파업의 의의와 성과 = 381
7. 외환위기와 혼란 그리고 혁신의 몸부림 = 384
참고문헌 = 392
연표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