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노동운동사 : 100년의 기록

한국노동운동사 : 100년의 기록 (7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원보 李元甫 , 1945-.
서명 / 저자사항
한국노동운동사 : 100년의 기록 / 이원보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   2005.  
형태사항
432 p. : 삽도, 연표 ; 23 cm.
ISBN
8990497094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639camccc200217 k 4500
001 000045193359
005 20100806054731
007 ta
008 050622s2005 ulkaj b 000c kor
020 ▼a 8990497094 ▼g 03300: ▼c \15000
035 ▼a KRIC09905573
040 ▼a 224010 ▼d 211048 ▼d 211009
085 ▼a 331.880953 ▼a 322.20953 ▼2 DDCK
090 ▼a 331.880953 ▼b 2005
100 1 ▼a 이원보 ▼g 李元甫 , ▼d 1945-. ▼0 AUTH(211009)102354
245 1 0 ▼a 한국노동운동사 : ▼b 100년의 기록 / ▼d 이원보 지음.
260 ▼a 서울 : ▼b 한국노동사회연구소 , ▼c 2005.
300 ▼a 432 p. : ▼b 삽도, 연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880953 2005 등록번호 1113307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880953 2005 등록번호 11133075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7-03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880953 2005 등록번호 11133770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책머리에|노동운동의 길찾기를 위하여 = 4
제1장 노동운동의 탄생 = 13
 1. 조선본건사회 신분제의 동요 = 15
 2. 자본주의 상품화폐경제의 시작 = 19
 3. 품삯 일꾼의 출현 = 25
 4. 조선왕조의 몰락과 민중의 항쟁 = 29
 5. 외세의 침략과 임금노동자의 형성 = 36
제2장 일제 식민지시대의 노동운동 = 43
 1. 일제 무단 통치시대의 노동운동(1910년대) = 45
  일제 총독부의 식민지 질서 강요 = 45
  식민지 노동운동의 출발 = 53
 2. 일제 '문화정치' 시대 노동운동(1920년대) = 57
  지배정책의 변화와 식민지 수탈 = 57
  영락하는 조선 민중의 삶 = 60
  노동조직의 급증과 전국적 노동단체의 등장 = 65
  노동쟁의와 동맹파업의 격증 = 70
  사상 최초의 지역 총파업: 원산 총파업 = 75
 3. 일제의 군국주의화와 노동운동 = 82
  세계대공황과 일제의 중국침략전쟁 = 82
  노동운동의 지하 잠복과 혁명적 노동조합운동 = 85
  일제하 노동운동이 남긴 과제 = 93
제3장 민족해방과 노동운동: 환희는 짧고 비극은 길다 = 95
 1. 광복의 환희와 민족분단의 비극 = 97
  미군정과 좌우대립 = 97
  생활난의 가중과 미국의 원조물자 = 103
  노동자 자주관리와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의 결정 = 108
  대한노총의 등장과 조직확장 = 114
  전평의 총파업 투쟁과 미군정의 탄압 = 117
제4장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의 노동운동(1950년대) = 129
 1. 이승만 친미 정권의 등장과 남북분단의 고착 = 129
 2. 원조경제와 관료독점자본의 형성 = 133
 3. 대량실업과 열악한 생활조건 = 138
 4. 노동운동의 이중구조 형성 = 140
  대한노총의 조직확대 투쟁과 파벌싸움 = 140
  노동쟁의의 격화와 노조민주화 투쟁 = 144
  부산 조선방직 노동쟁의 = 150
 5. 4ㆍ19혁명과 밑으로부터의 노동운동의 성장 = 153
  4월혁명과 사회ㆍ통일운동의 고양 = 153
  밑으로부터의 노동운동의 폭발과 확산 = 156
제5장 개발독재시대 노동운동(1960년대) = 165
 1. 5ㆍ16 군사쿠데타와 군사정권의 등장 = 167
  군사쿠데타와 정권의 장악 = 167
  경제개발전략과 배제의 노동정책 = 170
 2. 노동자계급의 성장과 노동자 생활상태 = 175
 3. 노동조합운동의 단절과 부활 = 183
  노동조합의 해산명령과 위로부터의 재편성 = 183
  노동쟁의의 폭발과 한계 = 188
  새로운 전환을 요구 받은 노동운동 = 195
제6장 노동기본권 봉쇄하의 노동운동(1970년대) = 201
 1. 혹한 속에 출발한 '대망의 70년대' = 203
  유신독재철권통치와 민주화 투쟁 = 203
  고도경제성장의 신화와 위기의 심화 = 209
  노동기본권 없는 노사협조의 강제 = 214
 2. 임금노동자의 급증과 저임금 구조 = 219
 3. 노동기본권 봉쇄하의 노동운동의 성장 = 225
  새로운 노동운동을 향한 인간선언의 불꽃 - 전태일의 분신 = 227
  법을 뛰어 넘는 노동자 투쟁의 지속적 분출 = 233
  종교계와 지식인의 노동운동 지원과 참여 = 239
  민주노조운동의 형성과 발전 = 244
 4. 폭압과 야만의 시대, 죽음으로 연 민주노조운동의 길 = 250
제7장 신군부정권의 폭압과 노동운동의 새로운 모색(1980년대 전반기) = 253
 1. 신군부 정권의 폭력정치와 민주항쟁 = 255
  광주민중항쟁과 정권 찬탈 = 255
  시장개방과 구조조정으로 독점자본 거대화 = 260
  노동자계급의 성장과 노동자 생활의 악화 = 262
  봉쇄와 억압의 노동정책과 기업 노무관리 = 265
 2. 1980년대 초 노동운동의 폭발과 침체 = 269
  80년 민주화의 봄과 노동운동의 폭발 = 270
  노동법 개악과 민주노조의 폭력적 파괴 = 276
  노동조합의 무력화와 노동운동의 침체 = 279
  지식인의 현장 투신과 소그룹운동 = 283
 3. 정치유화국면과 노동운동의 활성화 = 286
  재야 노동단체의 등장과 제도개선투쟁 = 288
  신규노조 결성투쟁과 노조민주화투쟁 = 294
  대우자동차 임금인상 투쟁과 구로동맹파업 = 299
  지역노동운동의 시도 = 303
  변혁적 노동운동의 지향: 서울노동운동연합과 선도적 정치투쟁 = 306
 4. 1987년 6월 민주항쟁과 노동자의 참여 = 312
제8장 87 노동자대투쟁 이후의 노동운동(1987년 이후) = 315
 1. 87년 노동자대투쟁의 폭발과 정세의 변화 = 317
 2. 87년 노동자대투쟁의 폭발과 진전 = 325
 3. 조직의 급증과 민주노조진영의 새로운 구축 = 331
  민주노조 진영의 구축(1987∼88년) = 332
  권력의 혹독한 탄압과 민주노조 사수(1989∼92년) = 340
  민주노조 총단결과 민주노총 건설(1993∼95년) = 346
 4. 한국노총의 개혁을 위한 시도 = 354
 5. 1988년 이후 노동재의의 전개 = 361
 6. 사상최대 정치총파업의 폭발(1996∼97년) = 369
  민주노총의 총파업투쟁 = 373
  한국노총의 총파업투쟁 = 379
  총파업의 의의와 성과 = 381
 7. 외환위기와 혼란 그리고 혁신의 몸부림 = 384
참고문헌 = 392 
연표 = 400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동원 (2023)
McMahon, Mary (2022)
過労死弁護団全国連絡会議 (2022)
노동인권 실현을 위한 노무사모임. 20주년 기념 출간위원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