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당신의 강의에 날개를 달아드립니다 : 공감과 소통의 교수법

당신의 강의에 날개를 달아드립니다 : 공감과 소통의 교수법 (1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유영만.
서명 / 저자사항
당신의 강의에 날개를 달아드립니다 : 공감과 소통의 교수법 / 유영만 저.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출판부 ,   2005.  
형태사항
210 p. : 삽도 ; 22cm.
ISBN
8972182877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612camccc200217 k 4500
001 000045190800
005 20100806052133
007 ta
008 050901s2005 ulka b AX 000c kor
020 ▼a 8972182877 ▼g 03300: ▼c \11000
035 ▼a KRIC09994392
040 ▼a 243001 ▼d 211009
082 0 4 ▼a 371.3 ▼2 22
090 ▼a 371.3 ▼b 2005h
100 1 ▼a 유영만. ▼0 AUTH(211009)67919
245 1 0 ▼a 당신의 강의에 날개를 달아드립니다 : ▼b 공감과 소통의 교수법 / ▼d 유영만 저.
260 ▼a 서울 : ▼b 한양대학교 출판부 , ▼c 2005.
300 ▼a 210 p. : ▼b 삽도 ; ▼c 22cm.
504 ▼a 참고문헌 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3 2005h 등록번호 1113302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3 2005h 등록번호 1113302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유영만(지은이)

질문으로 관문을 열어가는 지식생태학자 유영만 한양대학교 교수. 불현듯 다가오는 뜻밖의 질문이 던지는 낯선 마주침으로 색다른 깨우침을 얻는 배움을 사랑한다. 정답을 찾아내는 능력으로 사람을 재단하고 평가하기보다 전두엽을 낯설게 자극하는 충격적인 질문과 비판적 문제 제기를 즐기는 탐구과정에 언제나 몸을 던지며 일상에서도 비상하는 상상력을 잉태하는 지식생태(生態)학자다. 지시와 명령의 언어보다 질문과 의문의 언어로 잉태된 미지의 앎에 언제나 전율하는 감동을 느낀다. 오늘도 불안한 질문의 바다에서 불확실하지만 심장 뛰는 앎의 여행을 즐긴다. 당연함에 의문을 던져놓고 통념에 통렬한 시비를 걸면서 어제와 다른 통찰을 몸으로 체득하는 탐험을 추구한다. 뜨거운 언어의 모루 위에서 틀에 박힌 질문을 폐기하고, 잠자는 사고를 흔들어 깨우는 호기심 어린 질문으로 색다른 깨달음을 얻기 위해 애간장을 태우며,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야성으로 지성을 일깨우는 색다른 문제 제기에 한눈을 팔고 있다. 우발적 만남으로 전율하는 앎과 삶의 이중주를 사랑하며 어제와 다른 나로 거듭나기 위해 날선 언어로 자아를 재서술하는 아이러니스트로 거듭나고 있다. 《언어를 디자인하라》, 《폼 잡지 말고 플랫폼 잡아라》, 《부자의 1원칙, 몸에 투자하라》, 《이런 사람 만나지 마세요》, 《공부는 망치다》, 《생각지도 못한 생각지도》, 《곡선으로 승부하라》 등 저서와 《하던 대로나 잘 하라고》, 《빙산이 녹고 있다고》 등 역서를 포함해서 총 90여 권의 저·역서를 출간했으며, 다양한 사유를 실험하고 또 읽으면서 쓰고 강연하는 지적 탈주를 거듭하고 있다. 유튜브 www.youtube.com/kecologis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knowledge_ecologist/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추천사 : 가르침, 이제는 과학이다 = 5
프롤로그 : Teaching과 Learning, 진정 통(通)하였느냐? = 13
제1부 가르침과 배움의 '열정공동체'
 왜 지금 여기서 교수법인가? : 교육 본연의 의미 찾기와 '열정공동체' 구축 출발선상에 서서
 제1장 교수방법 개선을 위한 'Teaching Clinic'의 필요성과 활용 방안 = 31
 제2장 원숭이로부터 배우는 5가지 강의의 노하우 = 59
 제3장 교수법과 지식창조 및 공유의 여정 - 학습의 본질에 비추어 다시 생각해보는 학교교육의 학습공동체 촉진방안 = 71
제2부 섬김과 나눔의 '지식공동체'
 "대장금"을 통해서 알아보는 '지식공동체'로서의 교수법 : Teaching과 Learning, 진정 通하였느냐?
 제4장 감동감흥을 유도하는 교수법, 인문학적 감수성과 지적분개의식을 유발하는 교수법 = 87
 제5장 절차탁마(切磋琢磨)의 덕(德)을 가르치는 교수법, 지극정성(至極情性)의 혼(魂)을 깨우치는 교수법 = 101
 제6장 오상고절(傲霜孤節)의 기개(氣慨)를 가르치는 교수법, 불요불굴(不僥不屈)의 원칙(原則) 터득하게 하는 교수법 = 113
 제7장 마부작침(磨斧作針)의 원리를 터득하게 하는 교수법, 격물치지(格物致知)의 도(道)를 깨우치는 교수법 = 125
 제8장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믿응의 교수법, 살신성인(殺身成仁)의 표본을 보여주는 교수법 = 135
 제9장 고장난명(孤掌難鳴)의 지혜를 깨닫게 해주는 교수법, 애지중지(愛之重之)의 돌봄(Caring)의 철학을 구현하는 교수법 = 153
 제10장 최상궁의 금영 훈육방법 : 진리는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위에서 아래로 흐리지 않는다! = 163
 제11장 겸양지덕(謙讓之德)의 철학을 지향하는 교수법, 가르치는 업(業)의 본질을 깨우치는 교수법 = 173
제3부 결연한 결행을 촉구하는 '실천공동체'
 가르침과 배움을 섬기고 나누는 '실천공동체'
 제12장 '실천공동체'를 지행하는 교수와 학습의 장래는? : 체인지(體認知) 철학과 교수법의 미래 = 187
에필로그 = 203
참고문헌 = 211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민지 (202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23)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