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공산당 선언

공산당 선언 (34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arx, Karl, 1818-1883 Engels, Friedrich, 1820-1895, 저 김기연, 역
서명 / 저자사항
공산당 선언 /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음 ; 김기연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새날,   2005  
형태사항
191 p. : 삽도 ; 24 cm
원표제
Manifest der kommunistischen partei
ISBN
8985726668
일반주기
부록: 1. 공산당 선언의 서문들. 2. 공산주의의 원리. 3. 작가연보  
000 00000cam c2200205 k 4500
001 000045187610
005 20211102115301
007 ta
008 050627s2005 ulka 000c kor
020 ▼a 8985726668 ▼g 03160
035 ▼a KRIC09947634
040 ▼a 211009 ▼d 211009 ▼c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335.422 ▼2 22
090 ▼a 335.422 ▼b 2005a
100 1 ▼a Marx, Karl, ▼d 1818-1883 ▼0 AUTH(211009)123002
245 1 0 ▼a 공산당 선언 / ▼d 카를 마르크스, ▼e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음 ; ▼e 김기연 옮김
246 1 9 ▼a Manifest der kommunistischen partei
260 ▼a 서울 : ▼b 새날, ▼c 2005
300 ▼a 191 p. : ▼b 삽도 ; ▼c 24 cm
500 ▼a 부록: 1. 공산당 선언의 서문들. 2. 공산주의의 원리. 3. 작가연보
700 1 ▼a Engels, Friedrich, ▼d 1820-1895, ▼e▼0 AUTH(211009)22424
700 1 ▼a 김기연, ▼e
900 1 0 ▼a 마르크스, 카를, ▼e
900 1 0 ▼a 엥겔스, 프리드리히, ▼e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422 2005a 등록번호 111329054 도서상태 분실(이용자분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422 2005a 등록번호 1113290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5.422 2005a 등록번호 1211330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422 2005a 등록번호 111329054 도서상태 분실(이용자분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5.422 2005a 등록번호 1113290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5.422 2005a 등록번호 12113309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카를 마르크스(지은이)

1818년 5월 5일 독일 트리어에서 태어났다. 김나지움을 마치고 1835년에 본 대학에 진학해 법학을 전공했다. 아버지의 압박으로 베를린 대학으로 전학해 철학을 공부했다. 이곳에서 헤겔 철학을 연구하며 청년헤겔파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진보적 성향이 덜한 예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땄다. 1842년 <라인신문>에서 일하기 시작해 편집장이 되었다. 마르크스는 사설을 통해 프로이센 정부와 언론의 검열을 매섭게 비난했다. 그 결과 신문은 이내 폐간됐다. 1843년 프랑스 파리로 이주해 정치경제학과 프랑스혁명의 역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때 <경제학·철학 초고> <헤겔의 법철학 비판> 등의 원고를 썼다. 파리에서 프로이센 정부를 비판하는 글을 쓰다가 프랑스에서 추방되어 벨기에 브뤼셀로 이주했다. 이 무렵 <철학의 빈곤> <자유무역에 대하여>의 원고를 썼다. 1847년 파리에 거주하는 독일 출신 노동자를 중심으로 생겨난 조직 ‘정의 동맹’의 요청을 받고 강령에 해당되는 글을 작성했다. 바로 <공산당 선언>이다. 프랑스를 시작으로 유럽 전역에서 혁명이 일어나자 파리로 잠시 피신했다가 쾰른으로 돌아갔다. <신라인신문>으로 이름을 바꾸고 신문을 재발행하기 시작했다. <임금노동과 자본>은 노동자를 일깨우기 위한 글로, 이 신문에 다섯 편으로 나뉘어 실렸다. 정부 탄압을 받던 <신라인신문>은 이내 기소당해 마르크스는 추방 명령을 받고 영국 런던으로 망명했다. 이곳에서 어려운 생계를 꾸리며 경제학을 연구했다. 1851년 유럽 특파원으로서 영국을 비롯한 유럽 각국의 사정을 분석하는 기사와 사설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이후 몇 년간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정치경제학 비판> 등을 집필했다. 49세 되던 해에 《자본》이 출간됐다. 프랑스 파리에서 최초의 사회주의 자치정부인 파리 코뮌이 수립됐으나, 정부군 진압과 학살로 무너졌다. 마르크스는 파리 코뮌의 기록과 의의를 적은 《프랑스 내전》을 썼다. 국제노동자연맹을 이끌며 아나키스트파와 내분을 겪기도 하고, 독일사회주의 노동자당의 강령을 비판하는 등 사회적 활동을 이어 갔다. 1883년 3월, 엥겔스가 잠시 자리를 비운 새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프리드리히 엥겔스(지은이)

프로이센의 바르멘에서 부유한 공장주의 아들로 태어났다. 김나지움 졸업을 1년 앞두고 중퇴한 후 아버지의 회계 사무소를 거쳐 3년 동안 브레멘의 수출회사에서 일한다. 이 시기에 자유주의나 혁명 관련 서적을 읽으며 헤겔의 변증법을 받아들였다. 1841년부터 1년간 베를린에서 군복무를 하는 동안 베를린 대학의 다양한 강의를 청강했으며, 소장 헤겔학파와 가깝게 지냈다. 1842년 아버지의 방적 공장이 있는 맨체스터로 가는 도중 쾰른에 들러 《라인 신문》에서 일하던 마르크스와 처음 만난다. 방적 공장에서 조수로 일하며 노동자 계급의 현실을 알게 되었고, 이는 후에 자본주의의 모순을 연구해 《1844년 영국 노동 계급의 상황》을 쓰는 계기가 되었다. 1844년 마르크스가 편집하던 《독불 연보》에 〈국민경제학 비판 개요〉와 〈영국의 상태〉 등의 논문을 기고하여 자유주의 경제 이론의 모순을 폭로했고 혁명에 대한 전망을 내놓았다. 이후 마르크스와 《독일 이데올로기》, 《공산당선언》 등을 함께 작업하면서 평생 동안 변함없는 동지가 된다. 1848년 혁명의 와중에 마르크스가 설립한 《신라인 신문》에 글을 썼고, 1849년에는 독일의 바덴과 팔츠에서 혁명 전투에 직접 참여했다. 혁명이 실패한 후 그는 맨체스터로 돌아와 군사와 전쟁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쓰기도 했다. 1883년 마르크스가 사망하자, 엥겔스는 마르크스가 남긴 저작들을 검토하고 새로 번역하는 등의 작업을 맡았다. 이 과정에서 마르크스가 미국 인류학자 모건의 《고대 사회》를 발췌해놓은 것을 보고, 마르크스의 비판적 주석을 참조하며 모건의 연구 결과를 사적 유물론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그 결과물이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이다. 《자본론》 2, 3권 역시 엥겔스가 고인의 노트를 정리하여 출간한 것이다. 1895년, 런던에서 후두암으로 사망했다.

김기연(옮긴이)

<공산당 선언>

정보제공 : Aladin

목차

공산당 선언 
1.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 
2. 프롤레타리아와 공산주의자 
3.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문헌 
4. 여러 반정부당들에 대한 공산주의자의 태도 

부록1 ''공산당 선언''의 서문들 
부록2 공산주의의 원리 
부록3 작가 연보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