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40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187455 | |
005 | 20100806044144 | |
007 | ta | |
008 | 050629s2005 ulka b 000cu kor | |
020 | ▼a 8990644208 ▼g 03810 | |
035 | ▼a KRIC09916921 | |
040 | ▼d 211062 ▼d 211009 | |
085 | ▼a 897.15 ▼2 DDCK | |
090 | ▼a 897.15 ▼b 한용운 2005 | |
100 | 1 | ▼a 김광원 , ▼g 金光源 ▼0 AUTH(211009)83352 |
245 | 2 0 | ▼a (만해의 시와)십현담 주해 / ▼d 김광원 지음. |
260 | ▼a 서울 : ▼b 바보새 , ▼c 2005. | |
300 | ▼a 494 p. : ▼b 삽도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488-494 | |
504 | ▼a 서지적 각주 수록 | |
600 | 1 4 | ▼a 한용운 ▼g 韓龍雲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15 한용운 2005 | 등록번호 11132889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 청구기호 897.15 한용운 2005 | 등록번호 11132889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만해 한용운의 한시, 자유시, 시조 모두를 포괄하여 다룬 연구서이다. 한시 14편은 선시의 유형을 구분한 뒤 이에 해당하는 작품을 선정하여 분석하고, 시집 <님의 침묵>을 포함한 자유시 전체(111편)와 시조 전체(35편)를 빠짐없이 분석했다.
지은이는 만해의 모든 시의 사상적 기초가 선의 세계임을 밝히고, 이런 입장에서 그의 시를 분석한다. 시집 <님의 침묵>의 창작 배경이 <십현담주해>임을 소개하고, <님의 침묵>에 수록된 90편의 시와 <십현담주해> 90구가 서로 일대일의 순차적 대응관계로 이루어져 있음을 설명했다. 또 이런 관점에서 <님의 침묵>을 해석해 기존 연구의 애매한 부분, 난해한 부분들을 명쾌하게 해석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광원(지은이)
1956년 전주 출생, 전주고, 원광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하였으며,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 받음. 1994년 <시문학> 우수작품상으로 등단하였으며, 시집으로『슬픈 눈짓』『옥수수는 알을 낳는다』『패랭이꽃』(양장시조)을 발간하였고, 저서로『만해의 시와 현담주해』『님의 침묵과 선의세계』를 발간 하였음. 대학시절‘원광문화대상’(시 부문) 당선(1977), 제1회 전주세계소리축제 기념 단가 공모에서「민초가」가 최우수상에 당선되었으며(2001),‘군산문학상’(2015) 및 ‘소태산 문학상’(2018)을 수상하였음. '의상 만해 연구원’연구위원, 원광대 및 백제예술대 강사를 역임하였으며, 고교 국어교사로 수십 년 근무했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 4 제1부 만해 시에 대한 접근 방법 1. 만해 시의 올바른 접근 = 10 2. 선불교적 관점에서 본 만해 시 = 15 3. 그간의 연구 성과와 문제점 = 21 1) 한시 = 21 2) 자유시 = 29 3) 시조 = 42 제2부 만해의 삶과 선(禪) 1. 생애 = 50 2. 득도(得道)의 체험 = 63 3. 만해의 선의 세계 = 72 제3부 만해의 시 1. 만해의 한시 = 86 1) 선기시(禪機詩) = 92 (1) 순연시(純然詩) = 94 (2) 감회시(感懷詩) = 115 (3) 수심시(愁心詩) = 126 (4) 대외시(對外詩) = 139 2) 오도시(悟道詩) = 153 3) 염송시(염頌詩) = 162 4) 시법시(示法詩) = 178 2. 만해의 자유시 = 193 1) 「님」의 정체 = 193 2) 「님의 침묵」과 「십현담주해」의 상관성 = 199 3) 「님의 침묵」의 분석 = 215 (1) 이별의 확인(心印ㆍ祖意) = 221 (2) 불변의 의지(玄機ㆍ○異) = 249 (3) 이별의 아픔(演敎ㆍ達本) = 273 (4) 이별의 극복(破還鄕ㆍ轉位) = 300 (5) 사랑의 확인(廻機ㆍ一色) = 328 4)「님의 침묵」이외의 자유시 분석 = 365 3. 만해의 시조 = 394 1) 작품 분석 = 394 2) 만해 시조의 특성 = 425 제4부 만해 시의 특성 및 문학사적(文學史的)위상 1. 전통성의 수용과 확대 = 436 2. 구국문학(救國文學)의 흐름과 만해 시 = 454 제5부 만해 시의 위대성 = 478 참고문헌 =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