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25c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185647 | |
005 | 20100806041950 | |
007 | ta | |
008 | 031010s2003 ulk 000c kor | |
020 | ▼a 8988804287 ▼g 03820: ▼c \12000 | |
035 | ▼a KRIC08968269 | |
040 | ▼a 211019 ▼d 211009 | |
041 | 1 | ▼a kor ▼h chi |
082 | 0 4 | ▼a 089.95 ▼2 22 |
090 | ▼a 089.95 ▼b 2003a | |
100 | 1 | ▼a 劉基 , ▼d 1311-1375. |
245 | 1 0 | ▼a 욱리자 : ▼b 중국 우언 산책 / ▼d 유기 지음 ; ▼e 오수형 옮김. |
246 | 1 9 | ▼a 郁離子 |
260 | ▼a 서울 : ▼b 궁리 , ▼c 2003. | |
300 | ▼a 392 p. ; ▼c 22 cm. | |
500 | ▼a 『장자』의 뒤를 잇는 중국 제1의 우언집 『욱리자』 | |
500 | ▼a 거짓 어짐과 거짓 의로움을 먹고 사는 위정자들에게 날리는 통쾌한 일격, 그 날카로운 비판과 풍자의 세계 | |
700 | 1 | ▼a 오수형 ▼g 吳洙亨 , ▼d 1952- , ▼e 역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89.95 2003a | Accession No. 11132797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89.95 2003a | Accession No. 11132797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우언'이란 '託物寓意', 즉 작가의 생각을 사물에 의탁하여 대상을 풍자하고 비판하는 말로서, 우화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그보다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욱리자>는 원~명 교체기 무렵 지은이가 현실의 모순을 진단하고 그 해결책을 '우언'을 통해 제시한 산문집으로, '중국 고전 문학의 보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욱리자>는 모두 182편의 산문으로 구성되었으며, 정치적 실의에 빠진 지은이가 자신의 불만을 토로하며 정견을 밝히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며, 정치적 견해와 철학적 관점을 비롯하여 현실 상황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유기(지은이)
명나라의 개국공신이다. 개국 후 주원장의 무자비한 공신 숙청을 피한 현명한 인물로도 그 이름을 남겼다. 유기는 고향 이름을 따서 유청전劉靑田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자는 백온伯溫이다. 원나라 말기에서 명나라 초기에 활동한 군사가이자 정치가, 그리고 문학가였다. 유기는 유가 경전과 역사는 물론 천문과 지리, 그리고 병법에 정통하여 주원장이 명나라를 건국하는 데 결정적인 공을 세웠다. 훗날 사람들은 그를 제갈량에 비유하여 “제갈량은 천하를 삼분했고, 유백온은 강산을 통일했구나. 앞에는 제갈량이 뒤에는 유백온이 있다”라고 칭송했다. 주원장은 여러 차례 유기를 가리켜 ‘나의 자방子房’(자방은 한나라를 개국한 고조 유방의 일등공신 장량張良의 자字)이라고 칭찬했다 《욱리자郁離子》 등의 저서가 있는데, 훗날 《성의백문집誠意伯文集》에 수록되었다. 《명사明史》(권128)에 그의 전기가 남아서 전한다. 유기는 주원장을 도와 천하를 통일하는 데 큰 공을 세운 인물로 특히 군사가, 정치가, 문학가로서 그 명성을 크게 떨쳤다. 사람들은 그를 두고 ‘입덕立德’ ‘입공立功’ ‘입언立言’ 세 방면에서 불후의 업적을 남긴 위인으로 평가한다.
오수형(옮긴이)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대만국립대학교 중문연구소에서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당송팔대가의 산문 세계』, 『중국의 고전 산문』, 『중국우언문학사』, 『한유산문선』, 『유종원집』(공역) 등의 저·역서와 다수의 논문이 있다. 한국중국어문학회 회장, 한국중국산문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정년퇴직하였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 5 1부 천리마 천리마 = 17 때를 걱정함 = 20 척지차차 = 22 위정자에 대한 훈계 = 24 명품 거문고 = 26 무당과 귀신 = 28 난리의 조짐 = 29 올빼미 기르기 = 31 말을 바쳐 자초한 화 = 33 까마귀를 좋아한 연왕 = 35 여덟 마리 준마 = 37 촉 지방 상인 = 40 뇌물로 잃은 인심 = 42 선박 대신 갈대 뗏목 = 44 통치와 치료 = 46 호랑이 보고 짖어대기 = 48 모래뭉치기 = 50 우경의 도둑 포상 반대 = 52 지식 = 54 명장 노반 = 55 구미호 = 57 낙양의 가뭄 = 59 반딧불과 촛불 = 61 덕의 승리 = 63 거짓 어짐과 거짓 의로움 1 = 64 거짓 어짐과 거짓 의로움 2 = 65 호랑이 흉내 = 66 달에 사는 두꺼비 = 68 승냥이의 지혜 = 70 흑표범 = 71 개밋둑 = 73 뇌물로 망하기 = 74 황새 지혜의 한계 = 75 자교의 못된 마음 = 77 호랑이 구하기 = 78 약초 캐기 = 80 가래나무와 가시나무 = 83 벼슬을 피한 칩보 = 85 연금술 = 87 석양선생 = 89 2부 영구 지방의 양봉 노인 영구 지방의 양봉 노인 = 95 사면 = 98 상인 = 100 문제의 동물 사랑 = 102 화를 낸 다섯 역사 = 104 개를 좋아한 영공 = 106 관가의 선박 = 108 운몽 지방의 농토 = 110 미자하 = 111 장님에 귀머거리 = 113 꺼림과 자만 = 115 편견 제거 = 117 송나라 언왕 = 119 월나라 왕 = 121 지네 = 123 술수꾼 = 125 겁이 없어 부른 화 = 127 희헌에게 한 경고 = 129 용 기르기 = 131 안개를 일으키는 뱀 = 133 버섯 채취 = 135 레몬 = 137 조나라에 간 순우휼 = 139 사수가의 고운 바위 = 141 사람을 알아본 자여 = 144 무지한 불위 = 146 풍부 = 148 연문공의 말 구하기 = 150 사위가 반대한 인물 = 152 짐승 기르기 = 155 공공과 거허 = 157 사람 모으는 방법 = 159 제나라 왕에게 벼슬을 구한 한원 = 161 맹견 = 163 진나라로 도망친 극악 = 165 흑벌 = 167 중항설을 사신으로 못 보내는 까닭 = 169 재상에 대한 논함 = 172 쥐잡기 = 174 욕심 채워주기 = 176 좀벌레 제거 = 179 3부 매미 매미 = 183 덕과 도량 = 185 북상투 머리와 땋은 머리의 다툼 = 187 순우곤이 논하는 연나라의 반역 = 190 무심한 조물주 = 193 진나라 의사 = 194 실정에 맞추는 이가 대인 = 196 순자가 말하는 세 가지 상서로운 것 = 198 제나라의 연나라 정벌 = 201 자신만을 믿는 자의 한계 = 203 역사에 대하여 = 205 자연을 훔치는 일 = 207 채소밭 관리 = 209 가장 많이 징수한 미숙 = 211 정도와 술수 = 213 두려움과 감복 = 215 나무 기르기의 교훈 = 217 지혜와 완력 = 219 적 줄이기 = 221 천하 사람을 모으는 것과 과녁 = 222 전구의 초나라 구원 주장 = 225 구두조 = 227 거문고 줄 = 228 산만한 중론보다 집중된 결단 = 229 활쏘기의 도리 = 232 일념 = 233 멈출 곳을 아는 일 = 234 하나에 전념하기 = 236 지휘가 통일되면 어지럽지 않다 = 238 옻칠장수 우부 = 241 호랑이와 추 = 243 살쾡이 = 245 세 번 후회한 궐숙 = 247 꾸짖으며 식사하는 버릇 = 249 애주가 현석 = 251 구장 지방 농부 = 253 웃음거리가 된 이명 = 254 포위된 고소성 = 256 시골의 우산 기술자 = 258 세습 농부의 전업 = 260 의심 많은 이와 같이 일하기 = 262 4부 천도 천도 = 265 명주실 = 267 동릉후 = 269 욕심에 좌우되는 정 = 272 허름한 옷을 걸치고 눈길을 걷다 = 273 성인이 모르는 것 = 275 돼지 방목자 = 277 혹 베어내기 = 281 직언과 아첨 = 283 무상한 세상사 = 285 복어 먹기 = 287 진나라 왕에게 유세하기 = 288 말 타는 꿈 = 291 바위에 부딪히는 물길 = 293 초나라 무당 = 295 공손무인 = 298 북 지방 사람이 기른 원숭이들 = 301 양심 = 303 옻나무 독 먹이기 = 305 석양 선생의 자탄 = 307 비계 같은 소인배 = 309 비둘기로 변한 송골매 = 310 거에 성 쌓기 = 312 후회거리 줄이기 = 314 마지막의 성공 = 315 선비 대접 = 317 뱀과 전갈 = 321 수리부엉이의 울음소리 = 323 근상 = 325 음악에 대하여 = 327 투항자 우대 = 329 소도둑 = 332 곡식농사 = 333 거인과 소인 = 335 5부 신선 신선 = 339 이익 탐하기와 덕 탐하기 = 341 귀신에 대해 = 343 장강·회수 지역의 풍속 = 346 태산의 사당 = 348 천하에 귀한 것은 대동 = 350 고라니와 호랑이 = 352 조급한 사람 = 354 가르치는 방법 = 356 진나라의 주나라 정벌을 만류한 응후 = 358 원망을 사는 일 = 360 당몽과 벽려 = 362 귀신이 한 짓 = 364 작위 하사 = 366 정전제의 회복 = 368 훔친 지게미 = 370 사물의 이치에 대하여 = 372 신중한 시상 = 374 번개가 치고 지진이 나는 이유 = 376 콩잎국 = 378 큰지혜 = 380 안기생 = 382 화폐 통용시키는 방법 = 384 엄금 사항 = 386 칠거지악 = 388 구난 = 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