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청년기 갈등과 자기이해

청년기 갈등과 자기이해 (7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애순 金愛順
서명 / 저자사항
청년기 갈등과 자기이해 / 김애순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시그마프레스 ,   2005.  
형태사항
491 p. : 삽도 ; 26 cm.
ISBN
8958321504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57]-480), 색인수록
000 00588camccc200217 k 4500
001 000045185161
005 20100806041455
007 ta
008 050530s2005 ulka b 001c kor
020 ▼a 8958321504 ▼g 93180
035 ▼a KRIC09888021
040 ▼a 222001 ▼d 211009
082 0 4 ▼a 155.5 ▼2 22
090 ▼a 155.5 ▼b 2005a
100 1 ▼a 김애순 ▼g 金愛順 ▼0 AUTH(211009)44751
245 1 0 ▼a 청년기 갈등과 자기이해 / ▼d 김애순 지음.
260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 ▼c 2005.
300 ▼a 491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 (p. [457]-480), 색인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5.5 2005a 등록번호 1113275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5.5 2005a 등록번호 11132751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애순(지은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전공 분야는 성인 발달이다. 연세대학교 인간행동연구소 전문 연구원이었으며, 지난 30여 년 동안 연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청년 심리 및 장·노년 심리에 대한 강의를 해왔다. 주요 저서로는 『성인발달과 생애설계』, 『장·노년 심리학』, 『장·노년 상담』, 『청년기 갈등과 자기이해』, 『혼돈의 20대, 자신을 말하다』가 있으며, 역서로는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여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이 있다. 그 밖에 “성인기의 대처 양식, 중년기 위기감과 개방 성향, 은퇴 이후의 적응, 노년기 삶의 질 향상, 장·노년기의 친구 관계 등에 관한 다수의 연구 논문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청년기란?
 1. 청년기의 위치와 발달과제 = 3
 2. 신체적 발달 = 8
  1) 폭발적 성장기 = 8
  2) 나의 신체이미지는? = 12
 3. 정서적 발달 = 15
  1) 질풍노도의 시기 = 15
  2) 갈등 속에서 변화와 도약 = 18
 4. 인지적 발달 = 21
  1) 지능지수 = 21
  2) 정보처리 능력 = 26
  3) 형식적 조작 사고 = 28
 5. 도덕성 발달 = 31
 사례 : 대학 1년, 소중한 시간 그리고 혼란 = 38
제2장 나는 누구인가?
 1. 자아정체감이란? = 43
 2. 청년기는 정체감 위기인가? = 45
 3. 자아정체감의 발달 = 49
  1) Erikson의 자아정체감 발달론 = 50
  2) Marcia의 네 가지 정체감 발달지위 = 54
  3)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 = 56
 4. 한국 청소년들의 정체감 발달은? = 60
 5. 정체감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까? = 64
 사례 : 자신감 없었던 아이의 정체감 찾아가기 = 67
제3장 남ㆍ여는 다른 종인가?
 1. 성 고정관념과 스트레스 = 73
 2. 남ㆍ여 어떻게 다른가? = 77
  1) 생활 속의 남과 여 = 77
  2) 심리학속의 남과 여 = 78
  3) 남자의 뇌, 여자의 뇌 = 81
 3. 남ㆍ여 왜 달라졌는가? = 84
  1) 생물학적 성 분화 = 84
  2) 사회화 과정의 성 분화 = 89
  3) 분화에서 통합으로 = 93
 4. 양성성의 출현 = 95
  1) 양성성이란? = 95
  2) 양성성의 적응력 = 98
 5. 미래 남성과 여성의 삶 = 100
  1) 남자의 인생행로 = 100
  2) 여자의 인생행로 = 102
  3) 나의 미래 삶은? = 105
 사례 : 여성으로서의 나의 삶 = 109
제4장 사랑과 우정의 본질은 무엇인가?
 1. 사랑의 의미 = 113
  1) Fromm의 사랑론 = 115
  2) Maslow의 사랑론 = 117
  3) 사랑의 삼각형 이론 = 119
 2. 사랑의 색깔 = 125
  1) 일차적 사랑과 이차적 사랑 = 126
  2) 완전한 사랑과 동반자적 사랑 = 130
  3) 애정과 우정 = 132
 3. 사랑의 능력 = 136
  1) 애착과 사랑 = 136
  2) 자아개념과 사랑 = 139
  3) 이성교제 실패경험 = 141
 4. 성숙한 사랑을 위하여 = 142
 사례 : 나의 사랑, 나의 성(性) = 149
제5장 아름다운 성이란?
 1. 성 해방의 물결 = 155
  1) 성태도의 변화 = 156
  2) 성행동의 변화 = 159
  3) 혼전성교의 결과 = 162
 2. 성 동기와 성 행동들 = 164
  1) 본능인가? = 164
  2) 뇌와 성호르몬 = 165
  3) 성 반응 주기 = 170
  4) 자위행위와 동성애 = 173
 3. 성기능 장애와 치료 = 177
  1) 남성 성기능 장애 = 178
  2) 여성 성기능 장애 = 180
  3) 성병 = 181
 4. 아름다운 성을 위하여 = 182
  1) 사랑과 성 = 183 
  2) 성숙한 성적 성격은? = 184
 사례 : 소유욕 때문에…, 그리고 잃어버린 사랑 = 187
제6장 결혼은 왜 하는가?
 1. 결혼하는 이유 = 191
 2. 배우자 선택 = 196
  1) 배우자선택 여과망 = 196
  2) 어떤 사람을 선택할까? = 199
 3. 결혼기획 = 201
  1) 조혼과 만혼 = 201
  2) 전통적/반전통적 결혼기획 = 202
 4. 결혼생활의 적응 = 203
  1) 부부 갈등의 원인 = 203
  2) 부부 갈등 다루기 = 208
  3) 자녀의 출생 = 212
 5. 이혼과 재혼 = 214
  1) 이혼사유 = 215
  2) 이혼과정, 그리고 결과 = 217
  3) 재혼 = 218
 사례 : 그려본 나의 결혼생활 = 221
제7장 부모와 자녀는 아군인가, 적군인가?
 1. 부모-자녀관계란? = 225
  1) 애착과 분리 = 225
  2) 부모-자녀 간 갈등의 실상 = 226
 2. 갈등의 원인과 유형 = 228
  1) 세대차이 = 228
  2) 권위주의적 양육방식 = 234
  3) 보호와 독립의 갈등 = 237
  4) 애착의 질 : 조화의 적합성 = 243
 3. 성숙한 부모-자녀관계를 위하여 = 245
  1) 폭 넓은 대화하기 = 246
  2) 발달적 특징 이해하기 = 247
  3) 적절한 심리적 거리 = 250
 사례 : 둥우리 안으로, 둥우리 밖으로 = 253
제8장 장차 나는 무슨 일을 하면서 살 것인가?
 1. 일의 의미 변화 = 257
  1) 직업세계의 변화 = 257
  2) 직업의 심리ㆍ사회적 기능 = 259
 2. 직업선택 = 262
  1) 직업선택 단계 = 262 
  2) Holland의 성격-직업유형 = 264
  3) 일의 내적ㆍ외적 동기 = 269
 3. 직업발달 = 270
  1) Super의 직업발달 단계 = 270 
  2) 경력의 절정기 = 272 
  3) 직업전환 = 274
 4. 직업적응 = 276
  1) 직장생활을 위한 준비 = 276
  2) 직업만족도 = 279
  3) 일터에서의 성차별 = 282
 5. 은퇴 = 284
 사례 : 나의 꿈을 향하여 = 287
제9장 대인관계 능력은 어떻게 향상시키나?
 1. 만남의 시작 = 293
  1) 첫인상 형성 = 293
  2) 호감의 촉진 = 297
 2. 인간관계에서 갈등 = 302
  1) 보상과 대가의 불공평 = 303
  2) 역할기대와 수행의 부조화 = 305
  3) 의사소통 양식 = 306
 3. 대인관계 패러다임 = 311
 4. 효율적인 대화법 = 315
  1) 경청하기 = 315
  2) 자기표현 = 318
 사례 : 타인은 지옥이다? = 323
제10장 우리의 행동은 과연 합리적인가?
 1. 동조성 = 329
  1) 사회규범과 동조성 = 330
  2) 부적절한 동조성 = 334
 2. 편견 = 340
  1) 편견의 본질 = 341
  2) 편견의 형성과 확장 = 343
  3) 편견을 어떻게 감소시킬까? = 349
 3. 공격성 = 352
  1) 공격본능과 학습설 = 353
  2) 공격행동의 유발 = 357
  3) 공격행동을 어떻게 감소시킬까? = 361
 사례 : 내 자신의 본 모습은? = 365
제11장 나의 라이프스타일은?
 1. 사이버 공간 속의 나 = 370
 2. 나의 시간관리 = 376
  1) 아침형과 저녁형 = 376
  2) 효율적인 시간관리 = 378
 3. 자기통제 프로그램 = 384
  1) 자기통제력은 향상될 수 있는가? = 384
  2) 프로그램 시행절차 = 386
 사례 ① : 사이버 공간 속의 나 = 391
 사례 ② : 나는 아침형 인간이다 = 394
제12장 나의 정신건강은?
 1. 건강한 심리란? = 399
 2. 술과 나 = 402
  1) 음주의 유형 = 404
  2) 문제성 음주란? = 405
  3) 알코올 중독의 길 = 408
  4) 치료 = 413
 3. 우울증과 자살 = 415
  1) 주 증상 = 416
  2) 원인 = 419
  3) 치료 = 421
  4) 자살은 왜 하는가? = 423
 사례 ① : 술과 두 얼굴의 내 모습 = 427
 사례 ② : 나를 사랑함으로써 우울의 늪에서 벗어나 = 429
제13장 성장을 향하여
 1. 청년의 스트레스와 적응 = 435
  1) 스트레스 유형 = 435
  2) 바람직한 적응 = 438
 2. 변화 속의 성장 = 443
  1) 성장의 3단계 = 443
  2) 자아실현의 과정 = 448
 사례 : 지도에서 지워진 길을 찾다 = 452
참고문헌 = 457
찾아보기 = 481


관련분야 신착자료

Lahiri, Jhumpa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