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과정 개발의 모형과 실제

교육과정 개발의 모형과 실제 (7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현주.
서명 / 저자사항
교육과정 개발의 모형과 실제 / 박현주 지음.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학사 ,   2005.  
형태사항
274 p. : 삽도 ; 25 cm.
ISBN
8982878815
서지주기
참고문헌(p.259-266) 및 색인수록
000 00588camccc200217 k 4500
001 000045183687
005 20100806040323
007 ta
008 050525s2005 ulka b 001c kor
020 ▼a 8982878815 ▼g 93370
035 ▼a KRIC09871135
040 ▼a HYUC ▼c HYUC ▼d 211062 ▼d 211009
082 0 4 ▼a 375.001 ▼2 22
090 ▼a 375.001 ▼b 2005
100 1 ▼a 박현주.
245 1 0 ▼a 교육과정 개발의 모형과 실제 / ▼d 박현주 지음.
260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5.
300 ▼a 274 p. : ▼b 삽도 ; ▼c 25 cm.
504 ▼a 참고문헌(p.259-266) 및 색인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1 2005 등록번호 1113251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1 2005 등록번호 1113251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현주(지은이)

<교육과정 개발의 모형과 실제>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부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제1장 교육과정의 관점 = 15   
 제2장 교육과정 개발에 기여하는 학문 = 21
  1. 철학의 기여 : 지식의 본질 = 22
  2. 사회학의 기여 : 사회의 본질 = 25
  3. 심리학의 기여 : 개인의 본질 = 29
 제3장 교육과정의 의사결정 과정 = 31   
  1. 의사결정 과정의 중요성 = 31
  2. 주요 의사결정자 = 34
   1) 교장 = 34
   2) 교사 = 36
   3) 학부모 = 39
   4) 학생 = 41
   5) 교육과정 전문가 = 43
   6) 학자 = 43
   7) 외부촉진자 = 44
   8) 기타 : 의사결정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집단 = 44
제2부 교육과정 개발의 모형
 제4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해 = 49
  1.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 49
  2. 교육과정 개발의 일반적 흐름 = 51
  3. 교육과정 개발의 접근방식 = 54
 제5장 교육과정 개발 모형Ⅰ : 기술적 - 과학적 모형(체계적 접근) = 59
  1. 타일러(Tyler)의 합리적 모형 = 60
  2. 타바(Taba)의 귀납적 모형 = 62
  3. 가네(Gagn)의 수업설계체제 모형 = 64
  4. 상호작용 모형 = 69
  5. 하웨스(Hawes)의 과정 모형 = 71
  6. 세일러와 알렉산더(Saylor & Alexander)의 모형 = 72
  7. 올리바(Oliva)의 모형 = 75
  8. 헌킨스(Hunkins)의 모형 = 77
  9. 굳래드(Goodlad)의 모형 = 79
  10. 자이스(Zais)의 모형 = 80
  11. 워커(Walker)의 모형 = 81
  12. 밀러와 셀러(Miller & Seller)의 모형 = 84
 제6장 교육과정 개발 모형Ⅱ : 비기술적 - 비과학적 모형(비체계적 접근) = 87
  1. 웨인스타인 - 판티니(Weinstein & Fantini)의 정의적 모형 = 88
  2. 아이즈너(Eisner)의 예술적 모형 = 90
  3. 코넷(Cornett)의 개별적 실천적 이론 모형 = 95
  4. 로저스(Rogers)의 개인상호적 관계 모형 = 97
  5. 구성주의에 기초한 교육과정 개발 = 100
제3부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제7장 요구사정 = 107
  1. 요구사정의 필요성 = 108
  2. 요구사정을 위한 요소들 = 108
   1) 학교의 외적 요소 = 109
   2) 학교의 내적 요소 = 110
  3. 요구사정의 단계 = 112
  4. 요구사정의 장ㆍ단점 = 114
 제8장 교육과정 설계 = 115
  1. 대표적인 교육과정 설계 = 116
   1) 교과중심의 설계(Subject-Centered Designs) = 116
   2) 학습자중심의 설계(Learner-Centered Designs) = 120
   3) 문제중심의 설계(Problem-Centered Designs) = 123
  2. 교육목적과 목표 설정 = 126
   1) 교육목적 설정의 배경 = 126
   2) 교육목표 설정의 준거 = 131
  3.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 = 133
   1) 지식 대 경험 = 133
   2) 교육내용 선정의 준거 = 137
   3) 교육내용 조직의 준거 = 143
 제9장 교육방법의 선정 = 145
  1. 수업의 이해 = 145
  2. 수업의 과정 = 149
   1) 수업목표의 설정 = 150
   2) 학습과제 분석 = 151
   3) 출발점행동 진단과 보충 = 151
   4) 수업전략의 결정 = 152
   5) 평가 = 152
  3. 수업모형 = 153
   1) 정보처리 모형 = 156
   2) 사회적 상호작용 모형 = 158
   3) 개인지향 모형 - 창의성 개발 모형 = 160
   4) 행동수정 모형 = 161
  4. 교육방법 선정의 준거 = 162
 제10장 교육평가 = 165
  1. 학생평가 = 165
   1) 평가의 이해 = 166
   2) 평가의 준거 = 167
   3) 수행평가 = 169
  2. 교육과정 평가 = 171
   1) 교육과정 평가의 의미 = 171
   2)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 = 172
   3) 교육과정 평가의 문제점 = 174
   4) 교육과정 평가의 유형 = 175
  3. 교육평가의 문제와 최근 동향 = 183
제4부 교육과정의 실천
 제11장 교육과정의 운영 = 189
  1. 변화의 본질 = 189
   1) 변화의 모형 및 유형 = 190
   2) 변화의 촉진 요인과 저해 요인 = 192
  2.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고려 요인 = 196
   1) 교육과정 운영의 기본 원리 = 196
   2) 교육과정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99
  3. 변화주도자로서의 교사 = 202
   1) 변화주도자가 갖춰야 할 기술 = 203
   2) 운영 계획 = 205
  4.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208
 제12장 교사에 의한 교육과정의 재구성 = 211
  1. 교사의 역할 인식의 변화 = 211
  2. 교사에 의한 교육과정 재구성 = 214
   1) 교육과정의 재구성 과정 = 216
   2) 교육과정 재구성의 한 사례 = 221
 제13장 단위학교에서의 교육과정 개발 = 225
  1.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요구 = 225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사례 = 235
   1) 사례 1 - 단위학교의 제7차 교육과정 준비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 235
   2) 사례 2 - 제7차 교육과정에서 통합의 시도 = 237
   3) 사례 3 - 창의적 재량활동 프로그램 개발 = 239
   4) 사례 4 - 특정 중학교의 학교교육계획 = 246
참고문헌 = 259
찾아보기 = 26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