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1. 주장과 논설 = 9
敎養의 精神 / 최재서 = 11
동양적 인간형 / 이상은 = 16
우리 학문의 전통과 방향 / 조동일 = 28
우리 문학에 나타난 축제적 세계관 / 이덕화 = 35
죽음에 대한 한국인의 이해 / 유동식 = 47
2. 우리말과 얼 = 57
국어란 무엇인가 / 이희승 = 59
말과 정신 / 허웅 = 65
역사와 모국어 / 이기문 = 72
새말의 생성과 사멸 / 남기심 = 84
바른 언어 생활을 위하여 / 하치근 = 91
국어 순화(醇化) / 김동현 = 97
3. 시의 무늬와 결 = 103
시의 언어 / 유종호 = 105
한국에서 여성/시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 김용희 = 114
산유화(山有花) / 김소월 = 129
나룻배와 행인 / 한용운 = 130
오- 매 단풍 들 것네 / 김영랑 = 131
거울 / 이상 = 132
향수(鄕愁) / 정지용 = 133
십자가(十字架) / 윤동주 = 135
江 건너 돌 / 박목월 = 136
신부 / 서정주 = 137
풀 / 김수영 = 138
목마와 숙녀 / 박인환 = 139
즐거운 편지 / 황동규 = 141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 / 신경림 = 142
새들은 세상을 뜨는구나 / 황지우 = 144
이불을 꿰매면서 / 박노해 = 145
빈집 / 기형도 = 147
바람 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 / 유하 = 148
4. 소설의 언덕 = 151
소설이란 무엇인가 / 나병철 = 153
痴叔 / 채만식 = 157
流失夢 / 손창섭 = 174
강 / 서정인 = 195
빈처 / 은희경 = 210
5. 수필의 향기 = 225
수필(隨筆)이란 무엇인가 / 박목월 = 227
들사람 얼(野人精神) / 함석헌 = 232
풀이의 형이상학(形而上學) / 이어령 = 239
6. 연극과 영화 = 245
문학과 영화 / 김성곤 = 247
희곡의 이해 / 차범석 = 256
토막(2막) / 유치진 = 262
7. 고전 문학의 세계 = 289
단군신화 = 291
동명왕 신화 = 293
아기장수 전설 = 296
경설(鏡設) / 이규보 = 299
황조가(黃鳥歌) / 유리왕 = 300
헌화가(獻花歌) = 301
원왕생가(願往生歌) = 302
쌍화점(雙花店) = 303
시조(時調) = 305
우부가(愚夫歌) = 308
양반전(兩班傳) / 박지원 = 314
제2부 생각과 표현 = 321
제1장 생각과 표현 = 323
1. 인간과 언어 = 323
2. 생각과 표현 = 326
1) 창조적 생각의 보편성 = 327
2) 생각의 시작과 심화 = 329
(1) 문제의 제기 = 329
(2) 문제 제기의 깊이 = 331
(3) 생각의 심화 = 331
(4) 생각의 영역 = 332
3) 논리적 사고 = 333
(1) 판단의 기준점 = 333
(2) 논리적 과정 = 334
4) 연상적 사고 = 335
5) 창의적 사고 = 338
3. 표현 = 340
1) 표현의 중요성 = 340
2) 표현의 한계 = 341
3) 표현의 필연성 = 342
4) 표현의 어려움 = 342
(1) 말하기의 어려움 = 342
(2) 글쓰기의 어려움 = 343
5) 논리적인 글쓰기 = 344
제2장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 347
1. 디지털 코드를 접속하라 = 347
2. 눈뜨기 = 349
3. 문열기 - 혼자서 = 354
제3장 표현의 이론과 실제 = 361
1. 표현의 기초 = 360
2. 올바른 문장 = 364
3. 문단과 소주제문 = 368
제4장 글 짜기의 체계 = 369
1. 새롭게 보기, 주제 정하기 = 369
연습 문제 = 372
2. 글 짜기의 원리와 유형 = 374
연습문제 = 374
3. 서술전개에 따른 글짜기 = 375
1) 주제 제시식 전개 = 375
2) 시간적 역사적 전개 = 377
3) 공간적 전개 = 380
4. 문제 제기에 따른 글짜기 = 382
1) 문제 해결식 전개 = 382
2) 찬반 양론식 전개 = 384
3) 인과적 전개 = 385
5. 논증문 쓰기 = 386
6. 논증문의 실제 = 387
연습 문제 = 390
7. 다양한 글쓰기 = 394
연습 문제 = 398
제5장 논문 쓰기 = 399
Ⅰ. 리포트와 논문 = 399
Ⅱ. 리포트 = 400
Ⅲ. 논문 = 402
1) 논문의 기초 = 402
2) 논문 쓰기의 절차 = 406
3) 논문의 체재와 내용 =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