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교육방법
제1장 교육방법과 그 관련사항 = 15
제1절 교육의 방법론이란? = 15
제2절 교육과 학습 = 18
1. 행동의 영역 = 19
2. 계획적 변화 = 20
3. 지속성 = 20
4. 교육과 학습의 구분 = 20
제3절 수업과 교수 = 21
제4절 인간발달과 교육 = 23
1. 신체발달과 교육 = 24
2. 인지적 특성과 교육 = 27
3. 도덕성 발달과 교육 = 37
4. 사회성 발달 = 48
5. 사회성 발달단계이론 = 50
6. Erikson 이론의 시사점 = 56
제2장 교사를 위한 교육방법 = 58
제1절 교사의 바람직한 행동특성 = 58
제2절 효율적인 수업전략 = 60
제3절 학급 구성원의 파악 = 62
제4절 임의평가의 역기능 = 63
제5절 합당한 체벌의 활용 = 65
제6절 바람직한 경쟁 = 69
제3장 수업이론과 모형 = 72
제1절 Bruner의 발견학습이론 = 72
1. 학습경향(predisposition) = 73
2. 지식의 구조(structure of knowledge) = 74
3. 계열(sequence) = 76
4. 강화(reinforcement) = 76
제2절 Glaser의 수업심리학 이론 = 77
1. 수업목표의 설정 = 78
2. 수업 전 행동진단 = 78
3. 수업과정진행 = 78
4. 학습결과의 측정 = 79
제3절 Gagn$$\acute e$$의 인간학습범주 = 79
1. 언어정보 = 79
2. 지적 기능 = 82
3. 인지전략 = 82
4. 태도 = 83
5. 운동기능 = 83
제4절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 = 84
1. 적성 = 84
2. 수업이해력 = 85
3. 지속력 = 86
4. 수업의 질 = 86
5. 학습기회 = 87
제5절 Bloom의 완전학습모형 = 88
1. 인지적 출발점 행동 = 90
2. 정의적 출발점 행동 = 93
3. 수업의 질 = 94
제6절 Ausubel의 유의미 언어학습이론 = 95
1. 유의미 학습변인 = 96
2. 포섭 = 97
3. 선행조직자(advance organizer) = 99
제4장 효율적인 수업조건 = 100
제1절 수업의 내적 조건 = 100
1. 기억 = 100
2. 망각 = 104
3. 전이 = 106
4. 준비성 = 110
5. 동기 = 112
6. 연습 = 117
제2절 수업과 환경 = 119
1. 학습환경이란? = 119
2. 학습환경의 구성 = 121
제5장 수업방법의 적용 = 126
제1절 수업방법의 형태 = 127
1. 강의법(Lecture method) = 128
2. 문답법 = 131
3. 시범(demonstration) = 134
4. 토의법(discussion or conference) = 135
5. 워크숍(workshop) = 141
6. 문제해결법(problem solving method) = 144
7. 프로젝트법(projective method) = 147
8. 협동교수법(team teaching) = 151
9. 발견학습 = 154
10. 프로그램 학습(programed learning) = 157
11. 역할활동(role playing) = 161
12. 집체적 사고(brain storming) = 164
13. 모의실험(simulation) = 166
14. 컴퓨터 보조수업(C.A.I.) = 167
15. 견학(field trip) = 168
16. 실험실습 = 170
17. 현장실습 = 177
제6장 수업체제 개발 및 설계 = 186
제1절 체제접근에 의한 수업설계 모형 = 186
1. 수업체제의 주요 구성요소 = 187
2. 수업분석시행(conduct an instructional analysis) = 188
3. 출발점 행동 및 학습자 특성분석(identify entry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 190
4. 성취목표진술(write performance objectives) = 191
5. 준거지향 검사문항 개발(develop criterion-referenced test items) = 192
6. 수업전략 개발(develop an instructional strategy) = 193
7.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선정(develop and/or select instruction) = 195
8. 형성평가의 설계 및 실시(design and conduct the formative evaluation) = 196
9. 수업 프로그램의 수정(revise instruction) = 197
10. 총괄평가 실시(conduct summative evaluation) = 200
제2부 교육공학
제7장 교육공학의 기초 = 205
제1절 교재 및 교육공학에 관련된 용어의 개념 = 205
1. 교재의 역사적 발전과정 = 205
2. 교재 및 교육공학 용어의 종류 = 207
3. 교재에 관련된 제용어의 뜻 = 209
제2절 교육공학의 제이론 = 214
1. 시청각 교육이론 = 214
2. 통신이론 = 217
3. 시청각통신이론 = 219
4. 교육공치(educational technology) 이론 = 222
제3절 교육매체의 종류와 선택 = 225
1. 교육매체의 종류 = 226
2. 매체의 선택방법 = 228
제8장 메시지 디자인의 원리 = 231
제1절 동기유발의 원리 = 232
1. 일반적인 동기유발 원리 = 232
2. 텍스트와 그래픽 = 233
제2절 지각에 관한 원리 = 234
1. 지각의 기본 메카니즘 : 사전 주의집중과 주의집중 프로세스 = 234
2. 지각에 관한 일반적인 원리 = 235
3. 메시지 디자인 변인 = 240
제3절 기억에 관한 원리 = 242
1. 기억에 관한 일반적인 원리 = 242
제4절 개념학습의 원리 = 247
1. 개념학습에 관한 일반적인 원리 = 247
제5절 태도변화의 원리 = 251
1. 태도변화에 관한 일반적인 원리 = 251
제9장 교재연구와 프리젠테이션의 방법 = 253
제1절 교재연구의 방법 = 253
1. 교재연구의 범위와 중요성 = 253
2. 교재연구의 절차와 방법 = 254
제2절 성공적인 프리젠테이션 전략과 방법 = 258
1. 프리젠테이션과 교육 = 258
2. 프리젠테이션의 목적 = 260
3. 프리젠테이션의 원리 = 261
4. 메시지의 준비와 실행 = 263
제10장 교육매체의 특성과 활용방법 = 266
제1절 인쇄교재 = 266
1. 교과서 = 267
2. 참고서 = 275
3. 자작할 수 있는 인쇄교재 = 277
제2절 칠판, 융판, 게시판 = 281
1. 도안의 기초 = 282
2. 칠판 = 288
3. 융판과 융판의 자료 = 291
4. 게시판 = 292
제3절 그래픽 교재 = 296
1. 그래픽 교재의 개념 = 296
2. 그래픽 교재의 교육적 가치 = 299
3. 그래픽 교재의 종류 = 300
4. 그래픽 교재를 만드는 방법 = 315
5. 그래픽 교재를 만드는 원리 = 318
제4절 실물, 표본, 모형 = 321
1. 종류와 특성 = 323
2. 실물, 표본, 모형을 위한 수집 = 327
3. 보관, 전시하는 방법 = 329
4. 실물, 표본, 모형을 이용하는 원칙 = 331
제5절 그림, 정사진, 슬라이드 교재 = 334
1. 그림, 정사진, 슬라이드, 교재의 역할과 교육적 가치 = 335
2. 그림, 정사진, 슬라이드 교재의 선정 = 336
3. 그림, 정사진, 슬라이드 교재의 활용 = 337
4. 사진과 슬라이드의 제작 = 343
제6절 투시교재(OHP, SLIDE) = 350
1. OHP의 특성 = 351
2. TP교재의 이용방법 = 352
제7절 영화 및 비디오 교재 = 353
1. 영화 및 비디오 교재의 특성과 교육적 효과 = 353
2. 영화교재의 종류 = 355
3. 영화 및 비디오 교재의 이용방법 = 356
제8절 방송교재 = 358
1. 교육방송의 발달 = 359
2. 방송교재의 특성 = 361
3. 방송교재의 이용방법 = 362
제9절 컴퓨터와 교육 = 364
1. 컴퓨터 교육의 개념 = 364
2. 컴퓨터 교육의 필요성 = 367
3. 컴퓨터를 통한 교육 = 369
4. 컴퓨터 보조수업 = 371
제10절 멀티 미디어 시스템(multi-media system) = 374
1. 멀티 미디어 시스템이란? = 375
2. 멀티 미디어 시스템의 주요구성요소 = 376
3. 멀티 미디어 시스템의 효과 = 378
4. 멀티 미디어와 교육 = 379
5. 파워 포인트와 멀티미디어 자료제작 = 381
6. 파워 포인트를 이용한 자료제작 = 382
제11장 교육공학의 평가 = 387
제1절 교육공학 평가개념 = 387
1. 교육공학과 평가 = 387
2. 교육공학 평가의 중요성 = 388
제2절 교육공학 평가기준 = 389
1. 교육목표 달성도 = 389
2. 비용 = 390
3. 시간 = 390
4. 효율성 = 391
제3절 교육매체별 평가기준 = 392
1. 인쇄교재의 평가기준 = 392
2. 그래픽 교재 = 393
3. 실물, 표본, 모형 = 393
4. 그림과 사진교재 = 394
5. 투시교재 = 394
6. 영화교재 = 394
7. 방송교재 = 396
참고문헌 = 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