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1
제1장. 언어는 변하는가? = 7
1. 언어 변화의 개념 = 7
2. 언어 변화에 대한 학문적 바탕 = 11
3. 언어 변화의 기본 생태 = 14
4. 언어 변화의 이유 = 17
제2장. 언어의 변천을 왜, 어떻게 연구하는가? = 23
1. 언어 변천 연구의 이유 = 23
2. 언어 변화의 기술과 설명 = 26
3. 국어 변천 연구 방법 = 29
제3장. 국어의 뿌리는 어디에? = 37
1. 뿌리에 대한 단상 = 37
2. 학문적 계통론의 역사 = 40
3. 국어 계통론의 여러 학설들 = 43
4. 한반도 내 국어의 형성 과정 = 53
5. 어원 연구의 필요성 = 59
제4장. 말소리도 변했을까? = 67
1. 음운의 변화 = 67
제5장. 단어는 어떻게 변했나? = 83
1. 어휘 변천의 경향 = 83
2. 단어 형태의 변화 양상 = 85
3. 단어 의미의 변화 양상 = 89
4. 문법화 현상 = 91
제6장. 대명사 범주의 변천은 무엇을 뜻하는가? = 95
1. 국어 대명사 역사의 개관 = 96
2. 국어대명사 역사의 인칭별 고찰 = 100
3. 국어 대명사 범주의 변천 의의 = 137
제7장. 문법이 변했을까? = 141
1. 문법 변화의 개념 = 141
2. 문장 종결법의 변화 = 142
3. 사동, 피동법의 변화 = 144
4. 인칭법의 변화 = 145
5. 시제법의 변천 = 146
6. 높임법의 변화 = 148
제8장. 한국인 문자 생활의 역사 = 153
1. 훈민정음 이전 문자 생활 = 153
2. 훈민정음의 창제와 그 이후 = 160
제9장. 한국어 의성어의 역사 = 171
1. 의성어 자료 = 174
제10장. 국어 문장의 시작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 195
1. 문장이란 무엇인가? = 195
2. 한국어 문장의 시작 상황 = 197
3. 메타의사소통적 번역관과 국어 문장 = 199
4. 구조등가적 번역의 틀 = 219
5. 국어 문장 시작의 비극성 = 236
제11장. 국어 문장 장르별 문체의 형성 = 241
1. 장르 인식이란 무엇인가? = 243
2. 초기 편지 텍스트의 문체 특징 = 245
3. 초기 일기 텍스트의 문체 특징 = 249
4. 초기 소설 텍스트의 문체 특징 = 251
5. 초기 기사문 텍스트의 문체 특징 = 256
6. 초기 논설문 텍스트의 문체 특징 = 259
7. 우리말 텍스트 시작의 의의 = 263
제12장. 국어 문장의 현대성은 어떻게 획득되는가? = 267
1. 개화기의 신문 문장 = 267
2. 문체 현대화 이행의 시작 (1920년대-1930년대) = 277
3. 문체의 현대적 기반 시작 (1940년대) = 281
제13장. 정신과 언어가 어우러지는 역사의 강물 = 285
1. 국어의 현대화와 분석 정신과 실용 정신 = 286
2. 언어 변화와 인지 요소 = 306
참고문헌 =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