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460camccc200373 k 4500 | |
001 | 000045183455 | |
005 | 20100806035932 | |
007 | ta | |
008 | 050316s2005 ulka 000a kor | |
020 | ▼a 897558268X ▼g 03180 | |
035 | ▼a KRIC09838437 | |
040 |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46 ▼d 244002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0.1953 ▼2 22 |
090 | ▼a 150.1953 ▼b 2005 | |
245 | 1 0 | ▼a 아들러 심리학 해설 / ▼d A. 아들러 ▼e H. 오글러 지음 ▼e 설영환 옮김. |
246 | 1 4 | ▼a (A. 아들러) 심리학 해설 |
246 | 3 4 | ▼a 심리학 해설 |
246 | 0 9 | ▼a What life should mean to you |
246 | 0 9 | ▼a Alfred Adler, the man and his work : triumph over the inferiority complex |
246 | 0 9 | ▼a Theories of personality |
250 | ▼a 3판 | |
260 | ▼a 서울 : ▼b 선영사 , ▼c 2005. | |
300 | ▼a 375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이 책은 Hertha Orgle의 "Alfred Adler : the man & his work", Alfred Adler의 "What life should mean to you", C. S. Hall의 "Theories of personality"를 주축으로 엮은 해설서임 | |
700 | 1 | ▼a Adler, Alfred , ▼d 1870-1937 |
700 | 1 | ▼a Orgler, Hertha |
700 | 1 | ▼d 1909- |
700 | 1 | ▼a 설영환 ▼g 薛榮煥 |
765 | ▼t Theories of personality ▼a Hall, Calvin Springer, 1909- ▼b 3rd ed . ▼d New York : Wiley, c1978 , ▼z 0471342270 ▼w (YONSEI)261989 | |
765 | ▼t What life should mean to you ▼a Adler, Alfred, 1870-1937 . ▼d New York : Capricorn Books, 1958 ▼w (YONSEI)2173908 | |
900 | 1 1 | ▼a 아들러, A |
900 | 1 1 | ▼a 오글러, H.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150.1953 2005 | 등록번호 15118091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2층)/ | 청구기호 150.1953 2005 | 등록번호 1511809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알프레드 아들러(지은이)
1870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 아들러는 어렸을 때 폐렴에 걸려 죽을 고비를 넘겼고 동생 또한 병으로 죽자 의사가 되기로 결심하였다. 빈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1895년 의사가 되었다. 1902년 프로이트를 중심으로 한 <빈 정신분석학회>에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견해를 달리한 회원들과 탈퇴하여 1912년 <개인심리학회>를 결성하였다. 사회 감정에 중점을 두는 견해를 통해 열등감의 연구와 치료에 힘을 쏟았으며 ‘개인심리학회’ 연구 활동 결과물로 『신경증 기질(The Neurotic Constitution)』을 발표하였다. 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빈을 중심으로 아동 정신병원 22곳을 열었으나 아들러가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1932년 강제 폐쇄되었다. 1927년 이후부터는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의 초빙교수를 역임하고 유럽과 미국에서 여러 차례 대중 강연을 하였으며, 이 경력을 인정받아 미국의 롱아일랜드 의과대학 교수직에 임명되었다. 인간에 대한 편견을 배제하고 ‘협력’과 ‘사랑’으로 인류를 치료할 수 있다고 설파한 아들러는 심리학계의 유명 인사가 되었다. 각국을 누비며 강연 여행을 계속하던 중 1937년 스코틀랜드 애버딘에서 갑작스런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주요 저서로 『신경쇠약의 특색에 관하여(Uber den nervo sen Charakter)』『개인심리학의 이론과 실제(The Practice and Theory of Individual Psychology)』『삶의 과학(The Science of Living)』『인간 본성의 이해(Understanding Human Nature)』 등이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인간성의 절대성을 찾아 1부. 평전/길을 이루는 삶 / H.오글러 = 9 2부. 삶의 심리학 이해 / A. 아들러 1장. 인생의 의미 = 35 2장. 마음과 몸 = 59 3장. 열등감과 우월감 = 84 4장. 최초의 기억 = 110 5장. 꿈 = 136 6장. 가족의 영향 = 166 7장. 학교의 영향 = 205 8장. 사춘기 = 236 9장. 범죄와 예방 = 254 10장. 직업 = 301 11장. 인간 = 315 12장. 사랑과 결혼 = 328 3부. 아들러 심리학이 설명해 주는 것들 : 편역자 해설 1장. 아들러 심리학의 특성 = 359 2장. 열등감의 문제 = 366 3장. 다른 심리학파와의 비교 = 370 연보 =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