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제Ⅰ 장 말이란 무엇인가?
가. 말을 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 14
1. 말의 기원 = 14
2. 말의 언어학적 정의 = 16
3. 인류문화적 견해 = 20
요점정리 = 24
나. 말을 잘 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 25
1. 언어학적 측면 = 25
2. 문화적 측면 = 28
3. 유창성과 진실성 = 30
요점정리 = 32
제Ⅱ 장 말을 배운다는 것은 무엇인가?
가. 심리학적 견해 = 35
1. 행동주의 = 38
가) 고전적 조건반사 이론 = 38
나) 작동적 조건반사 이론 = 40
2. 인지주의 = 43
가) 게슈탈트 심리학 = 43
나) 인지개발 단계 = 45
다) 인지학습 = 47
라) 포섭이론 = 49
3. 인본주의 심리학 = 51
요점정리 = 55
나. 언어학적 견해 = 60
1. 구조주의 언어학 = 61
가) Bloomfield = 62
나) Basil Bernstein = 63
2. 생득론적 입장 = 67
가) Eric Lenneberg = 67
나) Noam Chomsky = 68
다) David McNeill = 69
3. 기능주의 입장 = 71
가) Lois Bloom = 72
나) Dell Hymes = 73
다) Canale과 Swain = 75
라) Wilkins = 76
요점정리 = 78
제Ⅲ 장 말을 가르친다는 것은 무엇인가?
가. 교육학적 입장 = 89
1. 경험-분석적 모형(이론적 모형) = 91
가) Ralph W. Tyler = 93
나) Franklin Bobbitt = 95
2. 실용적 모형(해석-현상학적 모형) = 98
가) Joseph Schwab = 101
나) John Dewey = 103
3. 비판적 모형(변증-비판적 모형) = 107
가) Michael Apple = 111
나) Paulo Freire = 113
요점정리 = 117
나. 심리학 및 언어학적 입장 = 124
1. 행동주의/구조주의 교육관 = 126
2. 인지주의/생득론적 교육관 = 131
3. 인본주의/기능주의 교육관 = 136
요점정리 = 140
제Ⅳ 장 2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무엇인가?
가. 용어 = 146
요점정리 = 151
나. 각 유파의 견해 및 2언어학습 모형 = 152
1. 구조주의 언어학의 견해 = 153
2. 생성주의 언어학의 견해 = 156
3. 기능주의 견해 = 160
4. 2언어학습의 견해 = 164
가) Krashen의 모형 = 165
나) McLaughlin의 모형 = 169
다) Bialystok의 모형 = 172
요점정리 = 173
다. 1,2,언어 습득의 비교 = 176
1. 신체적 측면에서의 비교 = 177
2. 인지적 측면에서의 비교 = 179
3. 정의적 측면에서의 비교 = 181
4. 언어학적 측면에서의 비교 = 183
요점정리 = 184
제Ⅴ장 2언어를 가르친다는 것은 무엇인가?
가.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190
1. 듣기 = 191
2. 말하기 = 194
3. 읽기 = 195
4. 쓰기 = 197
5. 문법 = 200
6. 문화 = 211
요점정리 = 221
나.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24
1. 대조분석가설 = 225
2. 오류분석 = 229
3. 담화분석 = 243
요점정리 = 250
다.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들이 있는가? = 253
1. 역사적 개관 = 253
2. 주요 교수법들 = 259
가) 자연식 방법 = 260
나) 직접식 방법 = 260
다) 과학적 접근법 = 266
라) 문법-번역식 방법 = 269
마) 읽기 방법 = 270
바) 구두접근 및 환경언어 교수법 = 271
사) 청각 구두법 = 272
아) 인지주의 접근법 = 275
자) 정의적-인본적 접근법과 공동사회 언어학습 = 278
차) 이해기본 접근법과 전신 반응법 및 자연식 접근법 = 281
카) 의사 소통 언어교수법 = 289
타) 침묵 방법 = 293
파) 암시법 = 296
요점 정리 = 299
제Ⅵ 장 2언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가. 인지적 요인들 = 307
1. 율장 = 308
2. 좌우뇌의 기능 = 311
3. 모호함에 대한 관용 = 313
4. 숙고형과 충동형 = 314
5. 시각형과 청각형 = 315
요점정리 = 316
나. 정의적 요인들 = 317
1. 자긍심 = 317
2. 저어함 = 318
3. 위험 수용 = 319
4. 불안 = 320
5. 감정이입 = 321
6. 외향성과 내향성 = 322
7. 동기 = 327
요점정리 = 330
다. 사회적 요인 = 332
1. 문화고정관념 = 332
2. 태도 = 333
3. 문화변용 = 334
4. 언어, 사상, 문화 = 338
요점정리 = 340
제Ⅶ 장 2언어학습 결과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가. 시험의 요건 = 344
1. 시험의 실용성 = 344
2. 시험의 신뢰성 = 345
3. 시험의 타당성 = 346
요점정리 = 347
나. 시험의 종류 = 348
1. 실력 고사 = 348
2. 진단 및 배치 고사 = 349
3. 학력 고사 = 349
4. 적성 고사 = 350
요점정리 = 351
다. 시험의 유형과 실제 = 352
1. 시험의 유형 = 352
2. 시험의 실제 = 354
요점정리 = 356
제Ⅷ 장 현실적으로 2언어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가. 각 주장의 연결 = 360
1. 언어학상 각 주장의 연결 = 360
2. 학습활동영역의 연결 = 362
3. 교육과정이론의 연결 = 364
요점정리 = 368
나. 각 분야별 공통점 = 371
1. 과학주의적 공통점 = 371
2. 현상학적 공통점 = 372
3. 전체론적 공통점 = 373
요점정리 = 374
다. 현실요소 = 376
1. 교사 = 376
2. 학생 = 377
3. 교육환경 = 377
요점정리 = 378
참고문헌 = 381
찾아보기(인명·영문·국문) = 404
그림·표 목차 = 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