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82n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183030 | |
005 | 20120309104947 | |
007 | ta | |
008 | 050628s2005 ulka 001c kor | |
020 | ▼a 8955062451 ▼g 93740 | |
035 | ▼a KRIC09806075 | |
040 | ▼a 243001 ▼d 243001 ▼d 211046 ▼d 211032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414 ▼2 22 |
085 | ▼a 414 ▼2 DDCK | |
090 | ▼a 414 ▼b 2005a1 | |
100 | 1 | ▼a Gussenhoven, Carlos, ▼d 1946- |
245 | 1 0 | ▼a 음운론 이해 / ▼d Carlos Gussenhoven ; ▼e Haike Jacobs 저 ; ▼e 허용 ; ▼e 김선정 역. |
246 | 1 9 | ▼a Understanding phonology |
260 | ▼a 서울 : ▼b 동인, ▼c 2005 | |
300 | ▼a 430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x Phonology |
700 | 1 | ▼a Jacobs, Haike, ▼e 저 |
700 | 1 | ▼a 김선정, ▼e 역 |
700 | 1 | ▼a 허용, ▼e 역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01.4 2005 | 등록번호 15118098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414 2005a1 | 등록번호 15118097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Carlos Gussenhoven(지은이)
<음운론 이해>
허용(옮긴이)
. SOAS(University of London) 언어학 박사 . 現 한국외국어대학교 사범대학 한국어교육과 교수 저서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공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 2』(공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공저), 『대조언어학』(공저) 『번역을 위한 고급한국어』(공저) 등 다수가 있고, 논문으로는 「한국어교육에서의 대조언어학과 보편문법의 필요성 연구」, 「자연언어 모음체계 보편성 평가 모형 구축 연구」 외 다수가 있습니다.

목차
목차 저자서문 = 5 역자서문 = 7 제1장 말소리의 생성 1.1 머리말 = 19 1.2 폐와 후두 = 20 1.2.1 성대 : 열려서 진동하는 성문 = 22 1.2.2 무성음화와 기식음화 = 23 1.2.3 발성의 특별한 유형 = 24 1.2.4 음의 높낮이 = 25 1.2.5 성문 폐쇄음 = 26 1.3 성도 = 27 1.3.1 인두 = 28 1.3.2 비강 = 29 1.3.3 입 = 29 1.4 모음 = 30 1.5 압축 = 32 1.5.1 조음위치 = 32 1.5.2 압축의 유형 = 34 1.6 분절음의 길이 = 37 1.7 복합자음 = 39 1.7.1 이차 조음 = 39 1.7.2 이중 조음 = 40 1.7.3 굴곡 조음 방법 자음 = 41 1.8 비부아 자음 = 41 1.9 강세 = 42 1.10 맺음말 = 43 제2장 유형론 : 동질성과 차이점 2.1 머리말 = 47 2.2 형태통사적 구조 = 48 2.2.1 형태론적 구조 = 48 2.2.2 통사적 구조 = 50 2.3 음운적 구조가 없는 세계 = 52 2.3.1 모든 언어를 위안 단일 음운론? = 55 2.3.2 두 가지 종류의 구조 = 57 2.4 차이점이 있다 = 60 2.5 보편성과 함축성 = 64 2.5.1 평범 혹은 특별? = 67 2.5.2 복잡성 회피 = 68 2.5.3 주의할 점 = 69 2.5.4 체계의 공백 = 70 2.6 음운론의 목적 = 73 2.7 맺음날 = 74 제3장 형태 맞추기 3.1 머리말 = 77 3.2 하와이어 = 78 3.3 조정 현상 = 80 3.3.1 모국어와 현상 = 80 3.3.2 토착어 어휘에서의 조정 = 86 3.4 두 가지 접근 = 86 3.4.1 규칙 = 87 3.4.2 제약 = 88 3.5 규칙과 제약 중의 선택 = 93 3.5.1 점진적인 위배와 등급이 없는 제약 = 96 3.6 맺음말 = 98 제4장 기저형과 표면형 표시 4.1 머리말 = 101 4.2 이음적 변이 = 102 4.3 표시의 두 단계 = 106 4.4 중화 = 110 4.5 기저형의 선택 = 111 4.6 맺음말 = 113 제5장 변별 자질 5.1 머리말 = 117 5.2 변별 자질을 상정하는 동기 = 118 5.3 자질 값 = 121 5.4 변별 자질의 세트 = 122 5.4 1 주부류 자질 = 122 5.4.2 후두 자질 = 127 5.4.3 방법 자질 = 128 5.4.4 모호성과 미명세 = 130 5.5 위치 자질 = 133 5.6 몇 가지 예 = 137 5.7 잉여자질 대 대립적 자질 = 140 5.8 맺음말 = 146 제6장 순차적 규칙 6.1 머리말 = 149 6.2 SPE 표시 = 150 6.3 SPE 규칙들 = 152 6.3.1 음절에 대한 언급 = 155 6.3.2 중괄호 = 155 6.3.3 다양한 자질값 = 156 6.3.4 소괄호 = 157 6.3.5 변형규칙 형식 = 158 6.4 단선형 순서 = 160 6.5 외재적 내재적 규칙순 = 164 6.6 급여, 역급여, 출혈, 역출혈 = 168 6.6.1 급여 순서 = 168 6.6.2 역급여 순서 = 169 6.6.3 출혈 순서 170 6.6.4 역출혈 순서 = 171 6.7 결론 = 174 제7장 케이스 연구 : 네덜란드어의 지소 접미사 7.1 머리말 = 177 7.2 네덜란드어의 일반적인 규칙 = 8 7.2.1 어말 무성음화 = 178 7.2.2 구개음화 = 178 7.3.3 탈복자음화 = 180 7.3 표준 네덜란드어 = 180 7.4 Sittard 방언 = 185 7.5 맺음말 = 193 제8장 층위 8.1 머리말 = 195 8.2 중간 표시 층위의 정의 = 196 8.3 어휘음운론 = 200 8.3.1 형태론적 라벨의 잠조 = 201 8.3.2 예외들 = 202 8.3.3 구조 보존 = 203 8.3.4 원어민의 직관 = 205 8.3.5 단어 경계를 뛰어넘는 적용 = 205 8.3.6 어위적 규칙은 후어휘적 규칙 전에 적용된다 = 206 8.4 어휘부에 있는 음운정보 = 206 8.5 어휘적 규칙의 논쟁의 여지가 있는 특성 = 210 8.6 표면 표시를 넘어 = 212 8.6.1 음성 실행 = 213 8.6.2 실형 모형들 = 214 8.6.3 음운론과 음성적 실행 사이에서 결정하기 = 217 8.7 맺음말 = 220 제9장 성조 표시 9.1 머리말 = 223 9.2 단선 모델의 부적절성 = 225 9.3 단어 기반의 성조 유형 = 226 9.3.1 특정 언어에서의 연결 = 230 9.4 상존성 = 232 9.5 후어휘 성조 = 232 9.6 동일 요소 통합의 원리 = 235 9.6.1 OCP의 위반 = 237 9.7 맺음말 = 242 제10장 분절음과 음절 사이 10.1 머리말 = 245 10.2 골격 층위 = 246 10.3 음절화 : 최대 초성 원리 = 249 10.3.1 공명도 프로파일 = 249 10.4 CV 층위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 = 252 10.4.1 CV 층위의 형판 사용 = 252 10.4.2 빈 골격점과 미연결 골격점 = 256 10.4.3 보상적 장음화 = 259 10.5 모라 = 261 10.6 음절구조를 통한 일반화 = 268 10.7 MOP 이후의 음절화 규칙 = 270 10.7.1 영어의 앙음절화 = 272 10.8 맺음말 = 278 제11장 자질위계 이론 11.1 머리말 = 279 11.2 동화의 기술방법 = 280 11.3 자연 자질 부류 = 282 11.4 수형도의 구축 = 284 11.4.1 위치 마디 = 285 11.4.2 후두(喉頭)마디 = 286 11.4.3 초후두(超喉頭) 마디 = 200 11.5 확산과 탈락(Spreading and delinking) = 291 11.5.1 규칙 쓰기 = 293 11.6 미명세 이론의 함축적 의미 = 296 11.6.1 무표 규칙 = 296 11.7 맺음말 = 299 제12장 자질 수형도 12.1 머리말 = 301 12.2 간접동화 = 302 12.2.1 모음조화 = 307 12.3 복합 분절음 = 3l2 12.3.1 복합 분절음에 대한 증거 = 316 12.3.2 구개음과 경구개치경음의 음운표시 = 318 12.3.3 경구개치경음들 사이의 구별 = 322 12.4 맺음말 = 325 제13장 강세와 음보 13.1 머리말 = 327 13 2 강세의 음운론적인 본질 = 328 13.2.1 율격 음보와 시에서의 음보 = 329 13.3 분절음의 절대적 자질로서의 강세 : 단선음운론에 의한 연구 = 331 13.4 상대적 우세로서의 강세 : 비단선 음운론 = 336 13.4.1 상대적 우세의 매개변수이론 = 336 13.4.2 고정강세 체계의 4가지 유형 = 340 13. 5 맺음말 = 346 제14장 강세에서의 제약 14.1 머리말 = 349 14.2 약강형과 강약형 리듬 = 350 14.3 음보 기반 규칙 = 358 14.3.1 음량 조정 = 358 14.3.2 음보 기반 분절음 규칙 = 359 14.4 강세와 형태론 = 363 14.5 강세와 최적성이론 = 366 14.5.1 강세제약 = 368 14.6 맺음말 = 374 제15장 단어 층위를 넘어서는 음운론 15.1 머리말 = 375 15.2 운을 구성의 경우 = 376 15.2.1 음운론적 발화 = 381 15.2.2 억양 구 = 382 15.2.3 음운론적 구 = 385 15.2.4 음운론적 단어 = 387 15.3 운율적 성분들의 도출 = 391 15.3.1 접어 = 393 15.3.2 통사적 잔여 = 395 15.4 음운적 단어 아래에 있는 운율적 성분 = 397 15.5 머리말 = 399 후기 = 401 연습문제 해답 = 403 Language Index = 411 Subject Index =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