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영유아 보육의 개념
1. 영유아 보육의 필요성 및 개념 = 3
1) 영유아 보육의 필요성 = 3
2) 영유아 보육의 개념 = 6
2. 영유아 보육의 유형 = 9
1) 보육 시간에 의한 유형 = 9
2) 보육 대상에 의한 유형 = 10
3) 법령에 의한 유형 = 11
제2장 영유아 보육의 역사 및 제도
1. 우리나라 보육의 역사 및 현황 = 17
1) 우리나라 보육사업의 역사 = 17
2) 우리나라 보육현황 = 22
2. 외국의 보육현황 = 25
1) 호주 = 25
2) 네덜란드 = 28
3) 미국 = 30
4) 영국 = 33
제3장 영유아 교육사상
1. 17~18세기의 교육사상 = 41
1) 코메니우스(John Amos Comenius, 1592~1670) = 41
2) 로크(John Locke, 1632~1704) = 44
3) 루소(Jean Jacques Rousseau, 1712~1778) = 46
2. 19세기의 교육사상 = 49
1) 페스탈로찌(Johann Heinrich Pestalozzi, 1746~1827) = 49
2) 프뢰벨(Friedrich Wilhelm Froebel, 1782~1852) = 52
3) 오웬(Robert Owen, 1771~1858) = 55
3. 20세기의 교육사상 = 56
1) 몬테소리(Maria Montessori, 1870~1952) = 57
2) 듀이(John Dewey, 1859~1952) = 59
제4장 영유아의 발달 및 놀이
1. 영유아의 발달 = 65
1) 아동발달의 본질 = 65
2) 발달의 이론 = 70
3) 발달의 양상 = 83
2. 영유아의 놀이 = 86
1) 놀이의 정의 및 특성 = 86
2) 놀이이론 = 90
3) 놀이의 유형 = 92
4) 놀잇감 = 93
제5장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1.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의 정의 = 99
2.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의 내용 = 101
3.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의 계획 및 운영 = 103
1) 보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 103
2) 보육 프로그램 구성의 원리 = 104
3) 보육 프로그램의 계획 = 107
4)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의 하루일과 계획 및 운영 = 117
제6장 보육환경
1. 영유아를 위한 보육환경 = 137
2. 기관보육시설(center-based care) = 141
1) 실내보육환경 = 141
2) 실외보육환경 = 165
3) 기타공간 = 171
3. 가정보육시설(family-based care) = 176
제7장 보육시설 종사자
1. 보육시설 종사자의 자질 = 181
1) 시설장의 자질 = 181
2) 보육교사의 자질 = 183
3) 기타 종사자의 자질 = 186
2. 보육기관 종사자의 역할 = 187
1) 시설장의 역할 = 187
2) 보육교사의 역할 = 189
3) 영아 담당 보육교사의 역할 = 190
4) 유아 담당 보육교사의 역할 = 194
5) 기타 종사자의 역할 = 197
3. 보육교사의 전문성 = 200
1) 반성적 사고 = 201
2) 실천적 지식 = 201
4. 보육교사 교육 = 203
1) 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 = 203
2) 보수교육(여성부에서 실시하는 보수교육) = 205
제8장 보육시설 운영관리
1. 보육시설 운영관리의 이해 = 209
1) 운영관리의 개념과 영역 = 209
2) 운영관리의 중요성 및 강조점 = 212
2. 원아관리 = 213
1) 홍보와 원아모집 = 214
2) 반편성 기준 및 원아 입소 우선순위 = 215
3) 원아 정보관리 = 218
3. 인사관리 = 223
1) 종사자 배치기준 및 자격기준 = 224
2) 종사자 임면 및 복무사항 = 227
3) 종사자 보수체계 및 복지관리 = 228
4) 종사자 업무조직 및 역할분담 = 231
5) 보육시설 운영계획의 예 = 233
4. 사무관리 = 235
1) 문서종류 및 기본 서식 = 236
2) 문서작성 및 관리 절차 = 239
3) 비품 및 교재ㆍ교구 관리 = 244
5. 재정관리 = 244
1) 예산편성 = 245
2) 예산집행 = 249
3) 결산 = 251
6. 시설ㆍ설비 관리 = 251
제9장 영유아의 건강ㆍ안전ㆍ영양
1. 건강지도 = 255
1) 건강지도의 필요성 = 255
2) 건강관찰과 기록 = 257
3) 질병관리 = 259
4) 예방 접종 = 263
5) 영유아의 건강지도 및 교육 = 264
2. 안전지도 = 267
1) 안전지도의 개념 및 필요성 = 268
2) 안전지도의 목표 및 내용 = 268
3. 영양지도 = 276
1) 영양의 중요성 및 영양소 = 276
2) 발달에 따른 영양관리 = 281
3) 영유아의 식습관 지도 = 290
제10장 보육평가
1. 보육평가의 이해 = 299
1) 평가의 목적 및 필요성 = 299
2) 보육평가시 유의점 = 300
3) 평가결과의 활용 = 300
2. 보육평가의 영역 = 302
1) 영유아 평가 = 302
2) 교사평가 = 312
3) 보육 프로그램 및 기관 평가 = 321
제11장 영유아 보육과 가족ㆍ지역사회 연계
1. 영유아 보육과 가족ㆍ지역사회 연계의 필요성 = 331
2. 영유아 보육시설의 가족지원 = 336
3. 영유아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자원 활용 방안 = 341
4. 영유아 보육시설의 가족ㆍ지역사회 연계의 유형과 실제 = 344
1) 부모ㆍ가족의 역할수행을 위한 연계 = 345
2) 보육시설과 가정의 의사소통을 활용한 연계 = 346
3) 보육 프로그램에의 참여를 통한 연계 = 350
4) 가정에서의 학습 활동을 도와주기 위한 연계 = 352
5) 보육시설의 운영과 관련된 연계 = 354
부록 1 영유아보육법 시행령 = 359
부록 2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 364
부록 3 보육시설 인증평가지표 = 380
참고문헌 = 393
색인 =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