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보육학개론

보육학개론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정원 심은희 이경화 이연규 장은주 전선옥 조순옥 조화연 최일선
서명 / 저자사항
보육학개론 / 김정원...[등저].
발행사항
서울 :   정민사 ,   2005.  
형태사항
416 p. : 삽도 ; 26 cm.
ISBN
8958090308
일반주기
공저자: 심은희, 이경화, 이연규, 장은주, 전선옥, 조순옥, 조화연, 최일선  
부록: 1. 영유아보육법 시행령. 2.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3. 보육시설 인증평가지표  
서지주기
참고문헌(p. 395-404), 색인수록
000 00958camccc200337 k 4500
001 000045182694
005 20100806034753
007 ta
008 050620s2005 ulka b 001c kor
020 ▼a 8958090308 ▼g 93370
035 ▼a KRIC09886898
040 ▼a 225006 ▼c 225006 ▼d 211009
082 0 4 ▼a 372.21 ▼2 22
090 ▼a 372.21 ▼b 2005c
245 0 0 ▼a 보육학개론 / ▼d 김정원...[등저].
260 ▼a 서울 : ▼b 정민사 , ▼c 2005.
300 ▼a 416 p. : ▼b 삽도 ; ▼c 26 cm.
500 ▼a 공저자: 심은희, 이경화, 이연규, 장은주, 전선옥, 조순옥, 조화연, 최일선
500 ▼a 부록: 1. 영유아보육법 시행령. 2.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3. 보육시설 인증평가지표
504 ▼a 참고문헌(p. 395-404), 색인수록
700 1 ▼a 김정원 ▼0 AUTH(211009)96653
700 1 ▼a 심은희
700 1 ▼a 이경화
700 1 ▼a 이연규
700 1 ▼a 장은주
700 1 ▼a 전선옥
700 1 ▼a 조순옥
700 1 ▼a 조화연
700 1 ▼a 최일선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21 2005c 등록번호 11132566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21 2005c 등록번호 11132566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정원(지은이)

이화여자대학 사범대학 유아교육학과,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를 나와 문학박사를 취득했다. 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 교사를 지냈고 현재 한국성서대학교 영유아보육학 교수와 한국 성서대학교 어린이집 원장을 지내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영유아 보육의 개념
 1. 영유아 보육의 필요성 및 개념 = 3
  1) 영유아 보육의 필요성 = 3
  2) 영유아 보육의 개념 = 6
 2. 영유아 보육의 유형 = 9
  1) 보육 시간에 의한 유형 = 9
  2) 보육 대상에 의한 유형 = 10
  3) 법령에 의한 유형 = 11
제2장 영유아 보육의 역사 및 제도
 1. 우리나라 보육의 역사 및 현황 = 17
  1) 우리나라 보육사업의 역사 = 17
  2) 우리나라 보육현황 = 22
 2. 외국의 보육현황 = 25
  1) 호주 = 25
  2) 네덜란드 = 28
  3) 미국 = 30
  4) 영국 = 33
제3장 영유아 교육사상
 1. 17~18세기의 교육사상 = 41
  1) 코메니우스(John Amos Comenius, 1592~1670) = 41
  2) 로크(John Locke, 1632~1704) = 44
  3) 루소(Jean Jacques Rousseau, 1712~1778) = 46
 2. 19세기의 교육사상 = 49
  1) 페스탈로찌(Johann Heinrich Pestalozzi, 1746~1827) = 49
  2) 프뢰벨(Friedrich Wilhelm Froebel, 1782~1852) = 52
  3) 오웬(Robert Owen, 1771~1858) = 55
 3. 20세기의 교육사상 = 56
  1) 몬테소리(Maria Montessori, 1870~1952) = 57
  2) 듀이(John Dewey, 1859~1952) = 59
제4장 영유아의 발달 및 놀이
 1. 영유아의 발달 = 65
  1) 아동발달의 본질 = 65
  2) 발달의 이론 = 70
  3) 발달의 양상 = 83
 2. 영유아의 놀이 = 86
  1) 놀이의 정의 및 특성 = 86
  2) 놀이이론 = 90
  3) 놀이의 유형 = 92
  4) 놀잇감 = 93
제5장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1.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의 정의 = 99
 2.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의 내용 = 101
 3.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의 계획 및 운영 = 103
  1) 보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 103
  2) 보육 프로그램 구성의 원리 = 104
  3) 보육 프로그램의 계획 = 107
  4)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의 하루일과 계획 및 운영 = 117
제6장 보육환경
 1. 영유아를 위한 보육환경 = 137
 2. 기관보육시설(center-based care) = 141
  1) 실내보육환경 = 141
  2) 실외보육환경 = 165
  3) 기타공간 = 171
 3. 가정보육시설(family-based care) = 176
제7장 보육시설 종사자
 1. 보육시설 종사자의 자질 = 181
  1) 시설장의 자질 = 181
  2) 보육교사의 자질 = 183
  3) 기타 종사자의 자질 = 186
 2. 보육기관 종사자의 역할 = 187
  1) 시설장의 역할 = 187
  2) 보육교사의 역할 = 189
  3) 영아 담당 보육교사의 역할 = 190
  4) 유아 담당 보육교사의 역할 = 194
  5) 기타 종사자의 역할 = 197
 3. 보육교사의 전문성 = 200
  1) 반성적 사고 = 201
  2) 실천적 지식 = 201
 4. 보육교사 교육 = 203
  1) 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 = 203
  2) 보수교육(여성부에서 실시하는 보수교육) = 205
제8장 보육시설 운영관리
 1. 보육시설 운영관리의 이해 = 209
  1) 운영관리의 개념과 영역 = 209
  2) 운영관리의 중요성 및 강조점 = 212
 2. 원아관리 = 213
  1) 홍보와 원아모집 = 214
  2) 반편성 기준 및 원아 입소 우선순위 = 215
  3) 원아 정보관리 = 218
 3. 인사관리 = 223
  1) 종사자 배치기준 및 자격기준 = 224
  2) 종사자 임면 및 복무사항 = 227
  3) 종사자 보수체계 및 복지관리 = 228
  4) 종사자 업무조직 및 역할분담 = 231
  5) 보육시설 운영계획의 예 = 233
 4. 사무관리 = 235
  1) 문서종류 및 기본 서식 = 236
  2) 문서작성 및 관리 절차 = 239
  3) 비품 및 교재ㆍ교구 관리 = 244
 5. 재정관리 = 244
  1) 예산편성 = 245
  2) 예산집행 = 249
  3) 결산 = 251
 6. 시설ㆍ설비 관리 = 251
제9장 영유아의 건강ㆍ안전ㆍ영양
 1. 건강지도 = 255
  1) 건강지도의 필요성 = 255
  2) 건강관찰과 기록 = 257
  3) 질병관리 = 259
  4) 예방 접종 = 263
  5) 영유아의 건강지도 및 교육 = 264
 2. 안전지도 = 267
  1) 안전지도의 개념 및 필요성 = 268
  2) 안전지도의 목표 및 내용 = 268
 3. 영양지도 = 276
  1) 영양의 중요성 및 영양소 = 276
  2) 발달에 따른 영양관리 = 281
  3) 영유아의 식습관 지도 = 290
제10장 보육평가
 1. 보육평가의 이해 = 299
  1) 평가의 목적 및 필요성 = 299
  2) 보육평가시 유의점 = 300
  3) 평가결과의 활용 = 300
 2. 보육평가의 영역 = 302
  1) 영유아 평가 = 302
  2) 교사평가 = 312
  3) 보육 프로그램 및 기관 평가 = 321
제11장 영유아 보육과 가족ㆍ지역사회 연계
 1. 영유아 보육과 가족ㆍ지역사회 연계의 필요성 = 331
 2. 영유아 보육시설의 가족지원 = 336
 3. 영유아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자원 활용 방안 = 341
 4. 영유아 보육시설의 가족ㆍ지역사회 연계의 유형과 실제 = 344
  1) 부모ㆍ가족의 역할수행을 위한 연계 = 345
  2) 보육시설과 가정의 의사소통을 활용한 연계 = 346
  3) 보육 프로그램에의 참여를 통한 연계 = 350
  4) 가정에서의 학습 활동을 도와주기 위한 연계 = 352
  5) 보육시설의 운영과 관련된 연계 = 354
부록 1 영유아보육법 시행령 = 359
부록 2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 364
부록 3 보육시설 인증평가지표 = 380
참고문헌 = 393
색인 = 405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성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