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개요 = 1
1.1 4C/ID 모형의 위치 = 3
1.2 4C/ID 모형의 개요 = 9
1.3 이 책의 구조와 목차 = 12
1.4 이 책의 활용 방법 = 16
Part A 복합적 인지 기능의 심리학
제2장 복합적 인지 기능이란 무엇인가? = 21
2.1 복합적 인지 기능의 구조 = 23
2.2 복합적 인지 기능의 획득 = 28
2.3 분석과 설계를 위한 시사점 = 31
2.4 요약 = 32
제3장 규칙 자동화 모형 = 35
3.1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 36
3.2 절차적 지식의 개발 = 42
3.3 선언적 지식의 개발 = 48
3.4 분석과 설계를 위한 시사점 = 49
3.5 요약 = 50
제4장 쉐마 획득 모형 = 53
4.1 선언적 지식의 유형 = 54
4.2 선언적 지식의 개발 = 61
4.3 절차적 지식의 개발 = 65
4.4 분석과 설계를 위한 시사점 = 69
4.5 요약 = 70
제5장 전이와 성찰적 전문성 = 73
5.1 전이에 대한 역사적 입장 = 74
5.2 성찰적 전문성 = 77
5.3 분석과 설계를 위한 시사점 = 84
5.4 요약 = 86
Part A를 위한 참고 자료 = 88
Part B 복합적 인지 기능의 분석
제6장 원리화된 기능의 분해와 거시적 수준의 계열화 = 93
6.1 교수체제 설계 맥락에서 원리화된 기능의 분해 = 94
6.2 부분 기능의 분석 = 96
6.3 부분 기능의 기술 = 100
6.4 부분 기능의 분류 = 101
6.5 거시적 수준의 계열화 = 106
6.6 분석과 설계를 위한 시사점 = 111
6.7 요약 = 112
제7장 순환적 부분 기능 = 115
7.1 순환적 부분 기능의 유헝 = 116
7.2 절차적 분석 = 118
7.3 규칙 기반 분석 = 121
7.4 분석 방법의 공통적 측면 = 126
7.5 분석과 설계를 위한 시사점 = 129
7.6 요약 = 130
제8장 선수 지식의 분석 = 133
8.1 사실 분석 = 134
8.2 단순한 쉐마의 분석 = 135
8.3 분석 방법의 공통점 = 141
8.4 분석과 설계를 위한 시사점 = 145
8.5 요약 = 146
제9장 지원적 지식의 분석 및 정신적 모형 = 149
9.1 연합적 접근법 = 150
9.2 관계 유형 = 152
9.3 복합적 쉐마 분석 = 156
9.4 분석 방법의 공통적인 측면 = 163
9.5 분석과 설계를 위한 시사점 = 165
9.6 요약 = 166
제10장 전략적 지식 분석과 중간 수준의 계열화 = 169
10.1 발견법 분석 = 171
10.2 SAPs 분석 = 173
10.3 분석 방법의 공통점 = 176
10.4 중간 수준의 계열화 = 180
10.5 분석과 설계를 위한 시사점 = 187
10.6 요약 = 188
Part B를 위한 참고 자료 = 190
Part C 복합적 인지 기능을 위한 훈련의 설계
제11장 전체 과제 연습의 설계: 귀납적 추론 촉진 = 195
11.1 문제 또는 해결 예에 대한 설명 = 197
11.2 산출 지향 문제 형태 = 200
11.3 과정 지향 문제 형태 = 207
11.4 문제 형태의 선정 = 209
11.5 전체 과제 문제의 계열화 = 211
11.6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1단계 청사진 = 215
11.7 요약 = 217
제12장 부분 과제 연습의 설계: 컴파일화 촉진 = 221
12.1 부분 과제 연습의 고찰 = 222
12.2 부분 과제 연습 항목 = 226
12.3 연습 항목의 계열화 = 230
12.4 반복 훈련과 과잉 학습 = 235
12.5 부분 과제 연습을 청사진에 연결하기 = 239
12.6 요약 = 240
제13장 적시 정보의 제시 = 243
13.1 분할과 JIT 정보의 제시 = 245
13.2 시범과 보기의 제시 = 253
13.3 순환적 부분 기능에 대한 피드백 = 259
13.4 JIT 정보 제시의 페이딩 = 263
13.5 청사진에 JIT 정보 연결하기 = 264
13.6 요약 = 265
제14장 정교화와 이해의 증진 = 269
14.1 정보 제시를 위한 전략 = 271
14.2 사례 연구와 모형화 예의 제시 = 274
14.3 지원적, 전략적 지식 제시하기 = 285
14.4 비순환적 부분 기능에 대한 피드백 = 291
14.5 청사진에 지원적, 전략적 지식 연결하기 = 295
14.6 요약 = 296
제15장 학습 환경의 개발 = 299
15.1 매체 선택 = 300
15.2 학습 환경 개발하기: 예 = 304
15.3 전이 효과 = 310
15.4 시스템 역동성의 처리 = 315
15.5 요약 = 317
Part C를 위한 참고 자료 = 319
제16장 정리하는 글 = 321
16.1 객관주의 대 구성주의 = 322
16.2 4C/ID모형의 주요 특징 재검토 = 325
16.3 평가와 향후 개발 = 328
16.4 마치는 글 = 331
용어 해설 = 333
참고 문헌 = 349
찾아보기 =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