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33camccc200193 k 4500 | |
001 | 000045181223 | |
005 | 20100806032440 | |
007 | ta | |
008 | 050503s2005 ulka 000a kor | |
020 | ▼a 8976269675 ▼g 93740 | |
035 | ▼a KRIC09903582 | |
040 | ▼a 241047 ▼d 211046 ▼d 211009 | |
082 | 0 4 | ▼a 420 ▼2 22 |
090 | ▼a 420 ▼b 2005 | |
100 | 1 | ▼a 한학성 ▼g 韓學成 ▼0 AUTH(211009)50891 |
245 | 1 0 | ▼a 우리시대 영어담론: ▼b 그 위선의 고리들 / ▼d 한학성 지음. |
260 | ▼a 서울 : ▼b 태학사 , ▼c 2005. | |
300 | ▼a 208 p. : ▼b 삽도 ; ▼c 21 cm.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20 2005 | Accession No. 11132391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20 2005 | Accession No. 11132391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영어가 중요하다. 학창 시절부터 대부분의 학생들은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왔던 얘기다. 그렇다면 도대체 영어는 왜 중요할까?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우리나라는 줄의 사회다. 온 나라를 들끓게 하는 영어문제도 기실은 남보다 좋은 줄을 잡기 위한 저마다의 몸부림에서 비롯하는 것이다. 영어는 좋은 줄을 잡기 위해 꼭 필요한 수단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결국 좋은 대학에 가고, 좋은 직장에 가서 남보다 많은 '특혜'를 받고 살 수 있는 지름길, 그 열쇠를 영어가 쥐고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그렇기 때문에, 그 '특혜'를 누리고 있는, 영어담론을 이끌어가는 사회 지도층들은 영어교육의 혁신에 절실함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대중이 영어에 접근하기 어려워지면 어려워질 수록 그 특혜도 커지고, 자신들은 외국에 나가서 유창한 영어 실력을 갖출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
저자는 일선 현장에서 영어를 배우고 가르친 경험과 이론을 바탕으로 국내 영어 교육의 현실을 진단하며, 비판한다. 나아가 지식인 사회에 만연한 불감증을 비롯한 사회 전반에 일침을 가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한학성(지은이)
충청북도 산골에서 태어나 줄곧 서울에서 성장했다. 전체 수석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에 입학했지만 대학 생활은 별로 즐겁지 않았다. 영어과에 다니면서도 영어보다는 프랑스어나 스페인어 주변을 더 기웃거리기도 했다. 넓은 세계를 보며 평범하게 살겠노라며 선택한 대기업 수출부에서의 직장 생활은 평범한 생활을 보장해주지도, 넓은 세계를 보여주지도 않았다. 직장인으로서의 삶에 회의를 느끼다가 1983년 미국 유학 중 잠시 귀국한 친구를 통해 남의 일을 해주며 사는 생활보다는 자신의 일을 하면서 사는 삶을 꿈꾸게 되었다. 그즈음 우연히 들른 책방에서 서울대학교 이정민 교수 등이 펴낸 《언어과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책을 보고 언어학에 강한 매력을 느꼈다. 다음 해 미국 텍사스대 대학원에 입학했는데 여기서 처음으로 공부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 3년 만에 석사와 박사 학위를 모두 취득한 뒤 1988년 봄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영문과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했다. 그 후 1991년에 경희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재직했고 지금은 명예교수로 있다. 촘스키의 생성 문법 이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상당 기간 촘스키에 매료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한국인 및 한국어적 관점에서의 영어학, 한국어 화자를 위한 영어 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작업에 덴마크 출신이면서 가장 위대한 영어학자라는 평을 듣기도 하는 오토 예스퍼슨Otto Jespersen을 큰 귀감으로 삼고 있다. 그동안 《GB 통사론》, 《영어란 무엇인가》, 《생성문법론》, 《영어 관사의 문법》, 《영어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인을 위한 영어 발음 교과서》, 《우리시대 영어 담론: 그 위선의 고리들》 등의 책을 펴냈으며, 존 마허 John Maher와 주디 그로브스 Judy Groves의 《촘스키Introducing Chomsky》, 오토 예스퍼슨의 《외국어 교육 개혁론How to Teach a Foreign Language》 등을 번역했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 5 1장 우리의 영어 현실 = 11 2장 우리 시대 영어담론의 특징과 문제점 = 25 1. 언론이 주도한다 = 27 2. 말초적 관심사를 반복한다 = 28 3. 파상적 문제 제기에만 급급하다 = 29 4. 전문가가 잘 안 보인다 = 31 5. 공교육 포기를 전제로 한다 = 33 6. 원어민 수준의 영어 능력 획득을 암묵적으로 전제한다 = 34 7. 본질적 문제 해결에 대한 촉구가 부족하다 = 35 8. 현실 개선 효과가 없다 = 36 9. 가벼움과 위선으로 가득하다 = 38 3장장 우리 시대 영어 문제의 본질 = 41 1. 우리끼리의 문제이다 = 43 2. 권력의 문제, 정치의 문제이다 = 46 3. 결국은 교육의 문제이다 = 47 4장 영어 문제와 우리 사회의 위선 = 51 1. 영어교육계의 위선 = 53 2. 학계의 위선 = 66 3. 관료들의 위선 = 76 4. 언론계의 위선 = 86 5. 사회 지도층의 위선 = 95 5장 해결 방안의 모색 = 99 1. 정확한 진단과 처방이 필요하다 = 101 2. 국가적 전략을 세워야 한다 = 138 6장 그래도 못 다한 말들 = 153 1. 학술진흥재단의 연구 지원 사업에 문제 있다 = 155 2. 취재 기자들의 무례함 = 164 3. 누가 대학 교수들을 지성인이라고 하는가? = 170 7장 우리 사회 영어 문제에 관한 상념의 편린들 = 183 1. 초등 영어 교육을 생각하며 = 186 2. 우리 나라 영어 교육의 문제와 덴마크에서의 영어 교육 = 188 3. 영어 전문가 양성부터 제대로 해야 한다 = 193 4. 영어로 하는 영어 수업에 바란다 = 196 5. 대입 수능 영어 시험에 문제 있다 = 199 6. 영어 공용어화는 본말이 전도된 발상 = 201 7. 영어로 인한 사회적 낭비, 막아야 한다 = 203 8. 영어 교육, 대학부터 변해야 한다 = 205 9. 불량 분필과 우리 사회 =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