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k 4500 | |
001 | 000045180696 | |
005 | 20150416155441 | |
007 | ta | |
008 | 050623s2005 ulk 001a kor | |
020 | ▼a 8980385366 ▼g 94300 | |
020 | 1 | ▼a 8980380003 (세트) |
035 | ▼a KRIC09850801 | |
040 | ▼a 211052 ▼d 211009 ▼c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301.01 ▼2 23 |
085 | ▼a 301.01 ▼2 DDCK | |
090 | ▼a 301.01 ▼b 2005 | |
100 | 1 | ▼a Bourdieu, Pierre, ▼d 1930-2002 ▼0 AUTH(211009)144236 |
245 | 1 0 | ▼a 실천 이성 : ▼b 행동의 이론에 대하여 / ▼d 피에르 부르디외 ; ▼e 김웅권 옮김 |
246 | 1 9 | ▼a Raisons pratiques : ▼b sur la theorie de l'action |
260 | ▼a 서울 : ▼b 東文選, ▼c 2005 | |
300 | ▼a 281 p. ; ▼c 23 cm | |
490 | 1 0 | ▼a 문예신서 ; ▼v 297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Action theory |
650 | 0 | ▼a Practical reason |
650 | 0 | ▼a Sociology ▼x Philosophy |
700 | 1 | ▼a 김웅권, ▼e 역 ▼0 AUTH(211009)8968 |
830 | 0 | ▼a 문예신서 (동문선) ; ▼v 297 |
900 | 1 0 | ▼a 부르디외, 피에르,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01 2005 | 등록번호 11132312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1.01 2005 | 등록번호 11132313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피에르 부르디외(지은이)
1930년 프랑스의 시골 마을 당겡에서 태어나 뛰어난 학업 성적으로 파리 고등사범학교에 입학했다. 25세에 철학 교수자격시험에 합격한 뒤 군복무를 위해 알제리에 갔다가 식민지 현실과 전쟁의 참상에 큰 충격을 받고 사회학자로 전향했다. 프랑스 학계의 관행을 거부하며 박사학위를 받지 않았지만, 탁월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파리 사회과학 고등연구원의 교수가 되었다. 1981년에는 프랑스 지식인들의 최고 영예로 꼽히는 콜레주드프랑스 교수(사회학 전공)에 선임되어 2001년 정년 퇴임할 때까지 재직했다. 2002년 만 71세의 나이로 삶을 마감했다. 부르디외는 전 세계적으로 높이 평가받는 학문적 업적을 남겼으며, 사회학을 넘어 철학, 미학, 인류학, 경제학, 정치학, 커뮤니케이션학 등 인문사회과학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또 당대의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발언하고 개입한 실천적 지식인이기도했다. 대표작으로는 『구별짓기』, 『실천감각』, 『실천이성』, 『파스칼적 명상』 등이 있으며, 사후에도『국가에 대하여』를 비롯한 콜레주드프랑스 강의록의 출간이 이어지고 있다.
김웅권(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어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리모주 대학과 몽펠리에 3대학(폴 발레리 대학)에서 앙드레 말로의 소설 연구로 문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학술연구교수, 한남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했고 프랑스의 『앙드레 말로 사전 Dictionnaire Malraux』 집필위원으로 참여했다. 지은 책으로 『말로와 소설의 상징시학』 『앙드레 말로의 문학세계: 동서 정신의 대화』 『타자와 나, 숨겨진 진실』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말로와 드골』 『상상의 박물관』 『몽상의 시학』 등 50여 권이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7 1. 사회적 공간과 상징적 공간 = 11 현실은 관계적이다 = 16 계급들의 논리 = 25 [부록] '소련의' 변형과 정치적 자본 = 32 2. 새로운 자본 = 39 학교, 맥스웰의 악마? = 42 예술인가, 돈인가? = 48 [부록] 사회적 공간과 권력 장 = 56 3. 작품의 과학을 위하여 = 63 텍스트로서의 작품 = 66 맥락으로의 환원 = 71 문학적 소세계 = 74 위치와 입장 결정 = 75 세기말의 장 = 80 역사의 의미 = 83 성향과 도정 = 86 [부록 1] 전기적 환상 = 90 [부록 2] 이중의 단절 = 101 4. 국가의 정신들, 관료 장의 생성과 구조 = 109 철저한 의심 = 115 자본의 집중 = 118 상징적 자본 = 129 국가에 의한 정신들의 구축 = 138 독점의 독점화 = 146 [부록] 가족 정신 = 149 5. 사심 없는 행위는 가능한가? = 163 투자 = 167 공리주의에 반대하여 = 171 정열로서의 사심 없음 = 181 보편화의 이득 = 185 [부록] 실천, 시간, 그리고 역사에 관한 대담 = 189 6. 상징적 자산의 경제 = 197 증여와 즉석 교환 = 201 상징적 연금술 = 209 인정 = 214 계산의 금기 = 218 순수한 것과 상업적인 것 = 225 주교들의 웃음 = 230 [부록] 교회 경제에 대한 언급 = 244 7. 스콜라적 관점 = 247 진지하게 놀이하기 = 250 이론적 관점의 이론 = 253 보편의 특권 = 259 논리적 필연성과 사회적 제약 = 265 도덕의 역설적 토대 = 269 역자 후기 = 278 색인 =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