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 1
1. 심리학의 역사적 기원 = 3
선천-후천 논쟁 = 4
과학적 심리학의 대두 = 4
구성주의와 기능주의 = 5
행동주의 = 5
형태심리학(또는 게슈탈트 심리학) = 6
정신분석학 = 7
20세기 중반의 심리학 = 7
2. 현대심리학의 관점들 = 8
생물학적 관점 = 9
행동주의적 관점 = 9
인지주의적 관점 = 10
정신분석학적 관점 = 10
주관주의적 관점 = 11
심리학의 주요 하위영역 = 11
3. 심리학의 연구방법 = 13
가설의 생성 = 13
실험 = 13
상관 = 15
관찰 = 16
찬반논쟁 = 18
2 심리학의 생물적 기초 = 23
1. 뉴런, 신경계의 형성단위 = 24
활동전위 = 25
시냅스 전달 = 25
신경전달물질 = 26
2. 신경계의 조직 = 27
신경계의 구분 = 27
뇌의 체제 = 28
중심핵 = 28
변연계 = 30
대뇌 = 30
뇌의 비대칭성 = 33
자율신경계 = 36
3. 내분비체계 = 36
4. 수면의 신경적 기초 = 39
수면의 단계 = 39
수면장애 = 41
5. 향정신 약물 = 43
진정제 = 44
아편제 = 46
흥분제 = 48
환각제 = 49
6. 진화, 유전자 및 행동 = 50
행동의 진화 = 51
염색체와 유전자 = 52
행동의 유전적 연구 = 52
찬반논쟁 = 55
3 심리 발달 = 59
1. 유전 대 환경 = 60
발달의 단계 = 62
2. 신생아의 능력 = 63
시각 = 63
청각 = 64
미각과 후각 = 64
학습과 기억 = 65
3. 아동기의 인지발달 = 67
피아제의 단계 이론 = 67
피아제 이론에 대한 비판 = 70
피아제 이론에 대한 대안 = 72
도덕판단의 발달 = 76
4. 성격과 사회성 발달 = 78
기질 = 79
초기의 사회행동 = 80
애착 = 82
양육방식 = 84
후기 발달 = 85
탁아의 효과 = 85
성 정체감과 성 유형화 = 86
찬반논쟁 = 91
4 감각과 지각 = 95
1. 감각양상의 특징 = 96
민감도 = 96
신호탐지이론 = 98
2. 시각 = 101
시각체계 = 101
패턴의 감지 = 103
3. 통각 = 104
4. 지각의 문제 = 106
텐트와 곰 = 106
환경의 모형 = 107
5. 주의 = 108
선택적 주의 = 108
6. 위치파악 = 110
대상의 분리 = 110
깊이지각 = 112
운동지각 = 114
7. 재인 = 116
결합문제 = 117
대상의 파악 = 118
자연물의 재인과 하향처리 = 120
재인의 실패 = 123
8. 추상화 = 124
9. 지각항등성 = 127
형태항등성 = 127
크기향등성 = 128
착각 = 128
찬반논쟁 = 132
5 학습과 기억 = 137
1. 학습에 대한 관점 = 138
2. 고전적 조건형성 = 139
파블로프의 실험 = 139
현상과 적용 = 140
예언가능성과 인지적 요인 = 142
생물학적 제약 = 144
3. 도구적 조건형성 = 146
효과의 법칙 = 146
스키너의 실험 = 147
현상과 적용 = 148
혐오적 조건형성 = 150
통제와 인지족 요인 = 151
생물학적 제약 = 153
4. 복합학습 = 153
인지도와 추상개념 = 153
통찰학습 = 154
5. 기억의 세 가지 중요한 구분 = 156
기억의 세 단계 = 156
세 가지 기억저장소 = 157
서로 다른 유형의 정보에 대한 서로 다른 기억 = 158
6. 작업기억 = 158
부호화 = 158
저장 = 159
인출 = 160
작업기억과 사고 = 161
작업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전이 = 161
7. 장기기억 = 162
부호화 = 163
인출 = 163
부호화와 인출 사이의 상호작용 = 165
망각에서 정서적 요인 = 165
8. 암묵기억 = 167
기억상실증 환자의 기억 = 168
기억시스템의 다양성 = 169
9. 구성기억 = 170
기억 부호화에서 구성적 과정 = 170
사건후 기억 재구성 = 171
구성기억과 재판 = 172
10. 기억 증진법 = 174
청크만들기와 기억폭 = 174
심상과 부호화 = 175
정교화와 부호화 = 175
맥락과 인출 = 175
체제화 = 176
인출 연습하기 = 176
찬반논쟁 = 178
6 언어와 사고 = 183
1. 언어와 의사소통 = 184
언어의 수준 = 184
언어단위와 처리과정 = 185
이해와 산출에서 맥락효과 = 187
2. 언어발달 = 189
무엇이 획득되는가? = 189
학습과정 = 190
생득적 요인 = 191
3. 개념과 범주화 : 사고의 기본단위 = 194
개념의 기능 = 194
원형 = 195
개념의 위계 = 197
상이한 범주화 과정 = 198
개념의 획득 = 198
4. 추리 = 200
연역추리 = 200
귀납추리 = 202
5. 심상적 사고 = 204
심상 조작 = 205
6. 행위 속의 사고 : 문제해결 = 206
문제해결 전략 = 207
문제 표상하기 = 208
전문가 대 초보자 = 209
찬반논쟁 = 211
7 동기와 정서 = 215
1. 동기의 모형 = 215
보상과 유인동기 = 216
약물중독과 보상 = 217
2. 항상성과 추동 = 218
체온과 항상성 = 218
항상성 과정으로 갈증 = 219
3. 배고픔 = 220
항상성과 유인 사이의 상호작용 = 220
생리적 배고픔 단서 = 221
비만 = 222
식욕부진과 폭식 = 227
4. 성별과 성욕 = 229
초기의 성적 발달 = 229
호르몬 대 환경 = 230
성적 지향 = 230
5. 정서의 모형 = 232
6. 인지 평가와 정서 = 234
평가의 발견 = 234
평가의 주체와 차원 = 235
7. 주관적 경험과 정서 = 236
사고와 행동 경향성 = 237
감정은 주의와 학습을 수정한다 = 237
감정은 평가와 판단을 수정한다 = 238
8. 신체변화와 정서 = 239
9. 얼굴표정과 정서 = 240
얼굴표정을 통한 정서의 의사소통 = 240
안면 피드백 가설 = 242
10. 정서에 대한 반응 : 정서조절 = 242
11. 정서, 성별 및 문화 = 244
성별 차이 = 244
문화적 차이 = 245
12. 공격성 = 246
추동으로서 공격성 = 246
학습된 반응으로서 공격성 = 247
공격성의 표현과 카타르시스 = 249
찬반논쟁 = 251
8 성격과 측정 = 259
1. 개인차의 측정 = 260
신뢰도 = 260
타당도 = 261
지능 검사 = 262
성격 검사 = 265
2. 지능에 관한 새로운 접근 = 271
가드너의 다중 지능 이론 = 271
스턴버그의 삼원 이론 = 273
3. 성격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접근 = 274
성격의 구조 = 275
성격의 역동 = 276
성격 발달 = 279
프로이트 이론의 수정 = 280
4. 행동주의적 접근 = 281
사회학습과 조건형성 = 282
5. 인지적 접근 = 283
사회학습 이론 = 283
켈리의 개인적 구성개념 이론 = 285
자기-도식 = 286
6. 인본주의적 접근 = 288
칼 로저스 = 289
아브라함 매슬로 = 291
7. 지능과 성격에서의 유전의 역할 = 293
유전성 = 293
성격의 유전학 = 295
성격과 환경간의 상호작용 = 296
찬반논쟁 = 299
9 스트레스와 건강 = 303
1. 스트레스 상황의 특징 = 303
정신적 외상 사건 = 305
통제 가능성 = 305
예측가능성 = 306
삶의 큰 변화 = 307
내적 갈등 = 307
2.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 반응 = 308
불안 = 308
분노와 공격성 = 309
무감정과 우울 = 309
인지 손상 = 309
3.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 = 310
투쟁 또는 도피 반응 = 310
스트레스는 어떻게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가 = 312
4. 심리적 요인과 스트레스 반응 = 315
정신분석학적 이론 = 315
행동주의적 이론 = 316
인지 이론 = 316
A 유형 행동 양식 = 318
5. 대처 방법 = 319
문제 중심형 대처 = 319
정서 중심형 대처 = 320
6. 스트레스 관리법 = 321
행동적 기법 = 321
인지적 기법 = 323
A 유형 행동 수정 = 323
찬반논쟁 = 324
10 심리장애와 치료 = 329
1. 심리장애 = 330
무엇이 정상인가? = 331
이상행동의 분류 = 332
정신장애에 대한 조망들 = 333
2. 불안장애 = 335
공황장애 = 336
공포증 = 339
강박장애 = 340
3. 기분장애 = 341
우울증 = 341
양극성 장애 = 343
4. 정신분열병 = 344
정신분열병의 특징 = 345
운동 증상과 현실로부터의 철수 = 348
문화와 정신분열병의 진행추이 = 349
5. 성격장애 = 349
반사회 성격장애 = 350
병적 성격장애 = 351
6. 정체해리장애 = 353
7. 합법적 방어책으로서의 정신이상 = 355
8. 심리장애의 치료 = 357
초기 정신병원 = 358
현대 치료시설 = 359
심리치료 전문가 = 361
9. 심리치료 기법 = 362
정신역동치료 = 362
행동치료 = 364
인지-행동치료 = 367
인본치료 = 369
치료에의 사회문화적 접근 = 370
절충적 접근 = 374
10. 문화와 성이 치료에 미치는 효과 = 375
11. 정신건강의 증진 = 377
찬반논쟁 = 379
11 사회심리 = 387
1. 타인이 존재함의 효과 = 389
사회촉진과 사회억제 = 389
몰개성화 = 390
방관자 효과 = 392
2. 응종과 복종 = 395
다수집단에의 동조 = 395
소수집단의 영향 = 398
권위에의 복종 = 399
윤리적 문제 = 405
일상생활에서의 복종 = 406
3. 내면화 = 407
자기정당화 = 407
참조집단과 동일시 = 412
4. 집단 상호작용 = 414
조직규범 = 415
집단의사결정 = 415
5. 인상형성 = 419
고정관념 = 419
개인화 = 425
귀인 = 428
6. 태도 = 430
설득적 의사소통 = 430
태도와 행동 = 433
7. 대인매력 = 434
호감과 매력 = 434
사랑하기와 짝짓기 = 438
찬반논쟁 = 443
찾아보기 = 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