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질 들뢰즈의 시간기계 (5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Rodowick, David Norman. 김지훈.
서명 / 저자사항
질 들뢰즈의 시간기계 /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지음 ; 김지훈 옮김.
발행사항
서울 :   그린비 ,   2005.  
형태사항
543 p. ; 23cm.
원표제
Gilles Deleuze's time machine
ISBN
8976829506
주제명(개인명)
Deleuze, Gilles  
000 00728namccc200265 k 4500
001 000045180088
005 20100806030638
007 ta
008 050622s2005 ulk b 001a kor
020 ▼a 8976829506
035 ▼a KRIC09904294
040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791.4301 ▼2 22
090 ▼a 791.4301 ▼b 2005a
100 1 ▼a Rodowick, David Norman. ▼0 AUTH(211009)26477
245 1 0 ▼a 질 들뢰즈의 시간기계 / ▼d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지음 ; ▼e 김지훈 옮김.
246 1 9 ▼a Gilles Deleuze's time machine
260 ▼a 서울 : ▼b 그린비 , ▼c 2005.
300 ▼a 543 p. ; ▼c 23cm.
600 1 0 ▼a Deleuze, Gilles
700 1 ▼a 김지훈. ▼0 AUTH(211009)89572
900 1 ▼a 로도윅, 데이비드 노먼
900 1 ▼a 들뢰즈, 질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1 2005a 등록번호 1113228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1 2005a 등록번호 1113228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791.4301 2005a 등록번호 1410540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91.4301 2005a 등록번호 1512197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1 2005a 등록번호 1113228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91.4301 2005a 등록번호 1113228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791.4301 2005a 등록번호 1410540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91.4301 2005a 등록번호 1512197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미지와 영화를 대하는 들뢰즈의 시각과 삶을 재구성하고, 들뢰즈의 철학 개념을 재구성하여 그의 영화철학을 이해하도록 돕는 입문서. 들뢰즈의 저서 <시네마>를 통해 들뢰즈의 사유 전반에 걸친 풍부한 개념들을 재구성하여 영화에 대한 철학적 접근과 철학을 통한 영화비평의 한 가닥을 마련한다.

요컨대 책은 영화와 철학 사이의 경계를 허물어버리는 대화의 장을 지향하며, 이를 통해 책은 영화와 철학뿐만 아니라 그외 여러 분야와 관련한 무수한 언로를 개방하고 잠재되어 있는 다양한 비판적 역량을 끌어올림으로써, 제분야의 비평이 상호 교류하며 현실에서 그 역량을 발휘하게 하는 계기를 열고자 한다.

들뢰즈의 영화철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들뢰즈가 '프랑스국립영화/텔레비전학교'(FEMIS)에서 행한 강연 녹취인 '창조 행위란 무엇인가'라는 강연록을 실었다. 또한 영화평론가인 옮긴이는 <시네마>의 사유를 좀더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개념에 대한 주석과 해설을 풍부히 실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지은이)

하버드대학교 시각환경학과 교수다. 텍사스대학교와 파리 제3대학교에서 영화와 비교문학을 공부했고, 1983년 아이오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로체스터대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영화학을 가르쳤고 런던대학교 킹스컬리지에 영화학과와 영화학 연구센터를 설립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예술의 미학과 철학, 영화 이론의 역사, 현대 시각 문화에 대한 미학적 접근, 현대사회에 대한 뉴미디어와 테크놀로지의 영향 등으로 폭넓고 다양하다. 국제영화제 수상 경력이 있는 실험영화 감독이자 비디오 아티스트이기도 하다. 2002년 미국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의 영화학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2009년 에세이 <이론을 위한 애가>가 시네마와 미디어학회의 에세이상을 수상했다. 2010년 독일 바이마르 바우하우스대학교의 문화기술과 미디어철학 국제 컬리지에서 펠로로 선정되었다. 주요 저서로 『정치적 모더니즘의 위기(The Crisis of Political Modernism: Criticism and Ideology in Contemporary Film Theory)』(1989), 『차이의 어려움(The Difficulty of Difference: Psychoanalysis, Sexual Difference, and Film Theory)』(1991), 『질 들뢰즈의 시간기계(Gilles Deleuze’s Time Machine)』(1997), 『형상 읽기(Reading the Figural, or, Philosophy after the New Media)』(2001) 등이 있다. 편저로 『질 들뢰즈 영화 철학의 잔상(Afterimages of Gilles Deleuze’s Film Philosophy)』(2009)이 있다.

김지훈(옮긴이)

『필름, 비디오, 그리고 디지털 사이에서: 포스트-미디어 시대의 하이브리드 무빙 이미지』(Bloomsbury Academic, 2018/16)의 저자이다. 영화이론, 실험영화와 비디오, 무빙 이미지의 예술, 영화와 현대 미술, 디지털 시네마, 그리고 실험 다큐멘터리에 관한 논문들은 「Cinema Journal」, 「Screen」, 「Film Quarterly」, 「Camera Obscura」, 「Animation: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Millennium Film Journal」 등의 학술지와, 공저서인 『글로벌 아트 시네마: 새로운 역사와 이론들』(Oxford University Press, 2010)과 『발생: 위치와 무빙 이미지』(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1) 등에 실렸다. 또한 『Journal of Popular Film and Television』의 ‘21세기 한국영화와 텔레비전’ 특집을 편집했다. 두 권의 저서를 준비중이며 각각의 제목은 『다큐멘터리의 확장된 영역: 뉴미디어, 뉴플랫폼 그리고 다큐멘터리』와 『포스트-베리떼 전환: 21세기의 한국 다큐멘터리영화』이다. 현재 중앙대학교 영화미디어 연구 부교수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한국어판 서문 = 9

들어가는 글 = 15

제1부 운동, 이미지, 기호

 1. 영화의 짧은 역사 = 31

 2. 운동과 이미지 = 56

 3. 이미지와 기호 = 90

 4. 시간과 기억, 질서들과 역량들 = 154

제2부 힘, 역량, 저항

 5. 비판, 또는 위기에 빠진 진리 = 243

 6. 계열과 이야기 꾸미기 : 소수적 영화 = 276

 7. 사유와 이미지 = 328

 8. 결론 : 저항의 기억 = 369

부록

 창조 행위란 무엇인가?(질 들뢰즈) = 399

 옮긴이 해설 = 417

 용어 해설 = 457

 참고문헌 = 518

 용어 대조표 = 528

 찾아보기 = 538



관련분야 신착자료

정서경 (2023)
이도훈 (2023)
한국영화학회 (2022)
宇野常寛 (2022)
프로파간다 (2022)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영화와의사소통연구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