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책을 내면서 = 5
1 정당정치의 체계론적 분석 = 13
정당정치의 이해 = 13
정당의 개념과 기능 = 13
정당정치의 연구 = 15
정당체계의 분석 = 17
정당체계의 개념 = 17
체계론적 분석의 필요성 = 20
2 정당체계의 유형분류 및 분석모형 = 25
정당체계의 유형분류 = 25
유형분류의 기준 = 25
듀베르제의 분류기준 = 26
사르토리의 분류기준 = 26
블론델의 분류기준 = 27
라팔롬바라와 웨이너의 분류기준 = 27
알몬드의 분류기준 = 28
정당체계의 제유형 = 29
듀베르제의 분류유형 = 29
헌팅톤의 분류유형 = 29
블론델의 분류유형 = 30
라팔롬바라와 웨이너의 분류유형 = 30
알몬드의 분류유형 = 31
사르토리의 분류유형 = 32
정당체계의 분석모형 설정 = 34
정당체계의 구성요소 = 34
정당체계의 외부환경 = 36
정치체제 = 37
정치문화 = 39
정당체계의 내부환경 = 42
정당의 이데올로기 = 42
정당의 조직구조 = 44
정당체계의 투입구조 = 48
정당체계의 전환구조 = 49
선거제도 = 50
정당법 = 53
정당체계의 산출구조 = 55
정당체계의 분석방법 = 56
환경의 분석방법 = 56
정치체제와 정치문화 분석방법 = 56
정당의 이데올로기 분석방법 = 57
정당의 조직구조 분석방법 = 58
구조의 분석방법 = 60
선거참여정당과 유권자의 지지도 분석방법 = 60
선거제도의 분석방법 = 61
정당법의 분석방법 = 62
국회진출정당과 국회 내 정당활동의 분석방법 = 63
유형의 분석방법 = 64
3 제1공화국의 정당정치 = 69
정치체제와 정치문화 = 69
정당의 이데올로기 = 75
주요 정당의 조직구조 = 84
한국민주당 = 84
민주국민당 = 88
자유당 = 90
민주당 = 98
선거참여정당과 유권자의 지지도 = 103
제헌 국회의원선거(1948년 5월 10일) = 103
제2대 국회의원선거(1950년 5월 30일) = 109
제3대 국회의원선거(1954년 5월 20일) = 113
제4대 국회의원선거(1958년 5월 2일) = 117
선거제도와 정당법 = 120
제헌 국회의원선거제도 = 120
제2대와 제3대 국회의원선거제도 = 122
제4대 국회의원선거제도 = 123
제1공화국 시기 정당법 = 125
국회진출정당과 국회 내 정당활동 = 128
제헌 국회(1948년 5월 31일 개원) = 128
제2대 국회(1950년 6월 19일 개원) = 131
제3대 국회(1954년 6월 9일 개원) = 133
제4대 국회(1958년 6월 7일 개원) = 136
4 제2공화국의 정당정치 = 141
정치체제와 정치문화 = 141
정당의 이데올로기 = 146
주요정당의 조직구조 = 148
선거참여정당과 유권자의 지지도 = 150
제5대 국회의원선거(1960년 7월 29일) = 150
선거제도와 정당법 = 154
제5대 국회의원선거제도 = 154
제2공화국 시기 정당법 = 156
국회진출정당과 국회 내 정당활동 = 156
제5대 국회(1960년 8월 8일 개원) = 156
5 제3공화국의 정당정치 = 161
정치체제와 정치문화 = 161
정당의 이데올로기 = 166
주요정당의 조직구조 = 175
민주공화당 = 175
신민당 = 182
선거참여정당과 유권자의 지지도 = 187
제6대 국회의원선거(1963년 11월 26일) = 187
제7대 국회의원선거(1967년 6월 8일) = 190
제8대 국회의원선거(1971년 5월 25일) = 194
선거제도와정당법 = 197
제6대 국회의원선거제도 = 197
제7대 국회의원선거제도 = 199
제8대 국회의원선거제도 = 199
제3공화국 시기 정당법 = 200
정당법 제정(국가재건최고회의) = 200
정당법 개정(제7대 국회) = 203
국회진출정당과 국회 내 정당활동 = 204
제6대 국회(1963년 12월 17일 개원) = 204
제7대 국회(1967년 7월 10일 개원) = 207
제8대 국회(1971년 7월 26일 개원) = 210
6 제4공화국의 정당정치 = 215
정치체계와 정치문화 = 215
정당의 이데올로기 = 221
주요 정당의 조직구조 = 223
민주공화당 = 223
신민당 = 223
선거참여정당과 유권자의 지지도 = 226
제9대 국회의원선거(1973년 2월 27일) = 226
제10대 국회의원선거(1978년 12월 12일) = 228
선거제도와 정당법 = 232
제9대 국회의원선거제도 = 232
제10대 국회의원선거제도 = 233
제4공화국 시기 정당법 = 234
정당법 1차 개정(비상국무회의) = 234
정당법 2차 개정(제9대 국회) = 235
국회진출정당과 국회 내 정당활동 = 236
제9대 국회(1973년 3월 12일 개원) = 236
제10대 국회(1979년 3월 19일 개원) = 238
7 제5공화국의 정당정치 = 241
정치체제와 정치문화 = 241
정당의 이데올로기 = 247
주요 정당의 조직구조 = 255
민주정의당 = 255
신한민주당 = 262
선거참여정당과 유권자의 지지도 = 266
제11대 국회의원선거(1981년 3월 25일) = 266
제12대 국회의원선거(1985년 2월 12일) = 270
선거제도와 정당법 = 273
제11대 국회의원선거제도 = 273
제12대 국회의원선거제도 = 274
제5공화국 시기 정당법 = 275
국회진출정당과 국회 내 정당활동 = 277
제11대 국회(1981년 4월 11일 개원) = 277
제12대 국회(1985년 5월 13일 개원) = 279
8 한국의 정당정치 평가 = 283
정치체제와 정치문화 평가 = 283
정당의 이데올로기 평가 = 295
주요 정당의 조직구조 평가 = 306
선거참여정당과 유권자의 지지도 평가 = 319
선거참여정당 평가 = 319
유권자의 지지도 평가 = 321
선거제도와 정당법 평가 = 325
선거제도의 평가 = 325
정당법의 평가 = 329
국회진출정당과 국회 내 정당활동 평가 = 332
국회진출정당 평가 = 332
국회 내 정당활동 평가 = 338
정당체계의 유형 평가 = 346
제1공화국 시기의 정당체계 = 348
정치체제와 정치문화 = 348
선거참여정당 = 349
유권자의 지지도 = 349
선거제도와 정당법 = 349
국회진출정당 = 350
국회 내 정당활동 = 350
정당체계의 유형 = 350
제2공화국 시기의 정당체계 = 351
정치체제와 정치문화 = 351
선거참여정당 = 352
유권자의 지지도 = 352
선거제도와 정당법 = 352
국회진출정당 = 352
국회 내 정당활동 = 353
정당체계의 유형 = 353
제3공화국 시기의 정당체계 = 354
정치체제와 정치문화 = 354
선거참여정당 = 354
유권자의 지지도 = 354
선거제도와 정당법 = 355
국회진출정당 = 355
국회 내 정당활동 = 355
정당체계의 유형 = 356
제4공화국 시기의 정당체계 = 357
정치체계와 정치문화 = 357
선거참여정당 = 357
유권자의 지지도 = 358
선거제도와 정당법 = 358
국회진출정당 = 358
국회 내 정당활동 = 358
정당체계의 유형 = 359
제5공화국 시기의 정당체계 = 360
정치체제와 정치문화 = 360
선거참여정당 = 360
유권자의 지지도 = 360
선거제도와 정당법 = 361
국회진출정당 = 361
국회 내 정당활동 = 361
정당체계의 유형 = 362
정당체계 유형의 변화 = 362
주 = 366
참고문헌 = 405
표 차례 = 421
그림 차례 = 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