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개관
제1장 상담의 의의와 역할 = 21
1. 상담기술의 사용 = 22
아동상담소 = 22
학생상담 = 24
성인을 위한 정신위생 관련 기관 = 25
사회사업 = 26
산업체 인사관리 = 27
전쟁수행 = 28
2. 심리치료와 다른 치료방식과의 관계 = 30
예방적 수단 = 31
환경 치료 = 32
직접치료 = 34
3. 이책의 목적 = 35
기본 가설 = 37
제2장 상담과 심리치료에 관신 신·구 견해 = 39
1. 옛 방법들 = 40
평판이 나쁜 방법들 = 40
정화법 = 42
충고의 사용 = 42
지적 해석의 역할 = 46
기본 가설 = 49
2. 새로운 심리치료 = 49
새로운 심리치료의 특성 = 50
3. 상담과정의 특징적 단계 = 52
4. 중요한 연구 증거 = 70
제2부 상담자가 직면하는 초기의 문제들
제3장 상담은 언제 지시되는가? = 75
내담자의 내담 = 76
어떤 형식의 치료가 제시되는가? = 77
1. 기본적인 질문 = 78
내담자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가? = 78
내담자가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가? = 87
내담자가 도움을 받을 수 있는가? = 92
내담자는 가족의 통제에서 독립적인가? = 99
내담자는 적당한 나이, 지능 및 안정성을 지니고 있는가? = 101
2. 잠정적 기준 = 103
상담이나 심리치료를 권하는 조건들 = 104
어린이와 부모에게 직접적인 치료를 권하는 조건들 = 105
환경적인 혹은 간접적인 치료를 권하는 조건들 = 106
3. 사례사에 대한 고찰 = 108
4. 요약 = 112
제4장 상담관계의 설정 = 113
1. 상담은 독특한 관계 = 113
2. 치료관계의 기본적 특질 = 115
3. 실제적인 상담관계의 구성 = 119
학생상담 = 121
부모와의 상담 = 123
놀이치료 = 125
4. 한계의 중요성 = 126
책임의 한계 = 127
시간의 한계 = 132
공격적 행동의 한계 = 136
애정의 한계 = 137
5. 상담자에게 있어서의 한계의 가치 = 141
6. 상담관계는 권위와 양립할 수 있는가? = 142
7. 요약 = 147
제5장 지시적 상담과 비지시적 상담 = 149
1. 지시적 상담 = 150
2. 지시적 및 비지시적 상담의 특징 = 153
3. 몇 가지 중요한 차이 = 157
비지시적 상담 프로그램 = 160
실제적인 문제들 = 161
4. 근본적 목적 = 162
제3부 상담과정
제6장 표현의 해소 = 167
1. 해소를 격려할 것 = 168
내담자는 최상의 안내자 = 168
감정에 대한 응답과 내용에 대한 응답 = 169
이 논의와 관련된 연구 = 180
부정적 감정에 대응하는 방법 = 182
양가감정에 대응하는 방법 = 187
상담자에 대한 태도 = 189
2. 상담과정에서의 위험성 = 192
표현되지 않은 감정의 인정 = 192
덜 중요한 실수 = 201
3. 몇 가지 특수한 문제 = 202
저항하는 내담자 = 202
해답을 요구하는 내담자 = 204
안심시키기 - 정말 안심시켜주는가? = 208
4. 몇 가지 방안들 = 209
5. 놀이치료와의 일치점 = 212
6. 정화의 효과 = 216
7. 요약 = 218
제7장 통찰의 달성 = 221
1. 통찰은 내담자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 222
옛 사실을 새로운 관계에서 보게 한다 = 222
자기이해의 점진적 증대 = 225
자기의 인정과 수용 = 228
통찰이 발달하는 순서 = 235
분석을 위한 시도 = 246
2. 상담자는 어떻게 통찰의 발달을 촉진시키는가? = 249
기본적인 기술 = 249
관계를 명료화하는 기술의 예 = 251
관계를 명료화하는 기술의 사용 = 261
주의할 점 = 262
3. 통찰이란 무엇인가? = 264
관계의 지각 = 264
자기의 수용 = 266
선택 = 266
4. 통찰에 의한 적극적 행위 = 269
5. 요약 = 276
제8장 종결단계 = 277
1. 재교육의 범위 = 278
2. 상담의 종결 = 281
내담자에게 종결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 281
종결의 문제를 다루는 예 = 284
상담자의 역할 = 290
3. 내담자가 보는 상담 = 292
4. 특수한 문제 = 295
상담은 얼마나 걸리는가? = 295
실패한 상담의 종결 = 297
5. 요약 = 301
제9장 몇 가지 실제적인 문제들 = 303
면담시간은 얼마나 길어야 하는가? = 304
면담간의 간격은 얼마나 길어야 하는가? = 304
면담약속을 어겼을 때는 어떻게 하는가? = 305
면담중에 기록을 해야만 하는가? = 306
내담자의 진술이 사실이 아닐 경우에는 어떻게 하는가? = 308
상담료를 받는 것이 상담에 영향을 주는가? = 309
내담자중심 상담은 상담자의 집중, 연구, 기록등을 적게 요구하는가? = 311
상담은 단기간의 면담으로도 가능한가? = 312
친구나 가족에게도 상담이 가능한가? = 313
심리검사와 상담과의 관계 = 283
내담자중심 상담은 직업지도나 교육지도에도 적용되는가? = 317
누가 상담할 자격이 있는가? = 318
상담자를 어떻게 훈련시킬 것인가? = 322
제4부 허버트 브라이언의 사례
사례 소개 = 327
첫번째 면담 = 331
두번째 면담 = 355
세번째 면담 = 384
네번째 면담 = 406
다섯번째 면담 = 433
여섯번째 면담 = 455
일곱번째 면담 = 481
여덟번째 면담 = 495
부록 : 심리치료에 관하여 = 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