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82namccc200289 k 4500 | |
001 | 000045172286 | |
005 | 20100806022846 | |
007 | ta | |
008 | 050525s2005 ulka 001a dkor | |
020 | ▼a 8995646225 | |
020 | 1 | ▼a 8995646209(세트) |
035 | ▼a KRIC09827742 | |
040 | ▼a 221020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801.95092 ▼2 22 |
090 | ▼a 801.95092 ▼b 2005 | |
100 | 1 | ▼a Ashcroft, Bill , ▼d 1946- |
245 | 0 0 | ▼a 다시 에드워드 사이드를 위하여 / ▼d 빌 애쉬크로프트 ; ▼e 팔 알루와리아 지음 ; ▼e 윤영실 옮김. |
246 | 1 9 | ▼a Edward Said : the paradox of identity |
260 | ▼a 서울 : ▼b 앨피book , ▼c 2005. | |
300 | ▼a 310 p. : ▼b 삽도 ; ▼c 22 cm. | |
440 | 0 0 | ▼a LP Routledge critical thinkers ; ▼v 02 |
504 | ▼a 참고문헌(p. 292-301)과 색인수록 | |
600 | 1 0 | ▼a Said, Edward W |
700 | 1 | ▼a Ahluwalia, D. P. S. ▼q (D. Pal S.) |
700 | 1 | ▼a 윤영실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092 2005 | Accession No. 11132032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092 2005 | Accession No. 11132032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석학들의 이론을 알기 쉽게 정리한 인문학 입문서인 영국 루틀리지 출판사의 'Critical Thinkers' 시리즈를 번역한 'LP Routledge Critical Thinkers' 시리즈의 두 번째 권, 그 유명한 <오리엔탈리즘>으로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에드워드 사이드 편이다.
하지만 책은 탈식민주의라는 이론적 경향 속에 그의 위상을 한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정작 그의 이론을 가능하게 했던 현실적.역사적 조건이 탈각되어버렸고 그 결과 비평가나 텍스트의 세계성에 대한 강조, 권력을 향해 진실을 말하는 지식인의 모습, 팔레스타인의 시사적 문제들에 관한 끊임없는 관심 등은 충분히 조명받지 못했다는 것.
따라서 책은 정제된 이론가로서만이 아닌 시사적 논평가이자 정치적 행동가로서의 사이드의 면모가, 그 자신 안에서 어떻게 통합되고, 관계를 맺고 있으며,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사이드의 저작들을 바탕으로 분석한다. 독자들에게 '<오리엔탈리즘>의 사이드를 넘어서', 더 깊은 이해의 기회를 제공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빌 애쉬크로프트(지은이)
2005년 현재 뉴 사우스 웨일스 대학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다. 탈식민 분야를 연구한다. 지은책으로 <The Empire Writes Back >(공저)가 있다.
팔 알루와리아(지은이)
2005년 현재 아델라이드 대학에서 정치학을 가르치고 있다. 탈식민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윤영실(옮긴이)
연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국문과에서 석박사를 마쳤다. University of Toronto에서 Postdoctoral Researcher, 교토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에서 외국인공동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와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했다. 저서로는 <육당 최남선과 식민지의 민족사상>(고대 아연출판부, 2018)이 있고, 역서로는 <다시 에드워드 사이드를 위하여>, <역사의 요동>(공역) 등이 있다. 현재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옮긴이의 글 : 사이드와 마주친 몇 개의 길목 왜 사이드인가? '땅에 발을 딛고 선' 이론가 = 23 중동전쟁으로 열린 사이트의 '세계' = 24 양쪽에서 비판받는 팔레스타인계 미국인 = 30 텍스트와 비평가의 세계성 = 33 「오리엔탈리즘」과「문화와 제국주의」가 보여준 것 = 35 꼿꼿한 지식인으로 살기 = 37 01 텍스트와 세계를 연결시켜라 전문화된 지식에 '갇힌' 지식인 = 41 구조주의ㆍ탈구조주의를 이끌어낸 '텍스트'개념 = 45 "글쓰기는 행위!" - 탈구조주의의 문제 = 49 리얼리즘과 구조주의 사이에서 = 56 계통관계와 제휴관계로 텍스트의 세계성 읽기 = 62 02 비평, 과학인가 행위인가? 비평을 정치현실과 분리시키는 '비굴한' 전문가들 = 69 세속적 비평의 핵심은 도덕성 = 70 비평가들이여, 세계로 귀환하라 = 73 전문지식에서 자유로운 아마추어 지식인 = 78 '개인적이자 정치적인' 비평가의 과제 = 79 세계로 '귀환'하는 데 필요한 글쓰기 스타일 = 82 권력을 향해 진리를 말하기 = 84 비평가의 또 다른 조건, 망명 = 88 환영받지 못하는 '타자'의 망명 = 95 03 지식과 권력의 합작품, 오리엔탈리즘 동양을 아는 것이 동양을 지배하는 것 = 105 오리엔탈리즘의 기원 = 106 '유례없이 혹독한 운명'의 산물 = 112 「오리엔탈리즘」의 세 구성 = 117 "동양은 우리가 아는 바대로 존재한다" = 120 동양과 서양을 구분하는 '상상의 지리' = 124 담론이 되어버린 오리엔탈리즘 = 128 재현의 문제로 돌아온 지식 = 132 사이드, 푸코, 그리고 저항의 문제 = 135 「오리첸탈리즘」에 쏟아진 비판들 = 139 '테러 교수'라는 오명 = 142 오리엔탈리즘을 말할 자격 = 143 사이드의 푸코 수용에 대한 비판 = 146 "사이드도 결국은 서구의 특권층" = 152 「오리엔탈리즘」이 빠뜨린 '다른' 동양과 여성 = 157 오리엔탈리즘의 대안은 무엇인가? = 158 04 제국주의의 기획, 문화 예술이 제국을 이끈다 = 167 문화적 형성물의 보수적, 익명적 본성 = 172 제국을 유지시키는 소설 = 176 문화와 제국의 관계를 드러내는 '대위법적 독해' = 178 제국의 상상력이 가져온 지리적 분할 = 182 제인 오스틴의 「맨스필드 파크」 = 185 문화로 전파되는 제국주의의 가정 = 188 베르디의 〈아이다〉 = 190 러디어드 카플링의 「킴」 = 194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 = 198 저항 이론을 찾아서 = 200 저항의 한 형식, 세속주의 = 202 제국을 향해 '다시 쓰기' = 204 사이드와 민족주의 = 207 '-안으로의 여행' 자아의 재창조 = 213 05 사이드와 팔레스타인 사이드 세계성의 열쇠, 팔레스타인 = 223 '희생자' 팔레스타인을 동양으로 구성하기 = 226 시온주의와 유럽 식민주의 = 232 「이슬람 가리기」 = 237 '위협적인' 이슬람, 해석의 정치학 = 242 어떤 하늘도, 땅도 없는「마지막 하늘 이후」 = 245 「희생자들을 비난하기」 = 247 「추방의 정치학」 = 249 「평화와 그 불만 세력」 = 254 사이드 이후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문학비평가 = 259 '오리엔탈리즘'의 전개 = 259 식민담론 분석과 탈식민 이론 = 262 사이드의 모든 것 사이드의 저작 = 271 사이드에 대한 저작 = 288 참고문헌 = 292 찾아보기 = 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