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5차원 전면교육학습법 : 인간능력을 극대화 하는 입체학습법 개정판

5차원 전면교육학습법 : 인간능력을 극대화 하는 입체학습법 개정판 (2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원동연 , 1954-
서명 / 저자사항
5차원 전면교육학습법 : 인간능력을 극대화 하는 입체학습법 / 원동연 지음.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서울 :   김영사 ,   2002.   2004(7쇄)  
형태사항
264 p. : 삽도 ; 23 cm.
ISBN
8934911352
000 00623namccc200217 a 4500
001 000045172108
005 20100806022617
007 ta
008 040630s2002 a kor
020 ▼a 8934911352
035 ▼a KRIC09385583
040 ▼d 242014 ▼d 242014 ▼d 211009
082 0 4 ▼a 371.3 ▼2 22
090 ▼a 371.3 ▼b 2004j
100 1 ▼a 원동연 , ▼d 1954- ▼0 AUTH(211009)111345
245 1 0 ▼a 5차원 전면교육학습법 : ▼b 인간능력을 극대화 하는 입체학습법 / ▼d 원동연 지음.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김영사 , ▼c 2002. ▼g 2004(7쇄)
300 ▼a 264 p. : ▼b 삽도 ; ▼c 23 cm.
740 ▼a 오차원 전면교육학습법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3 2004j 등록번호 1113200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3 2004j 등록번호 11132007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371.3 2004j 등록번호 1410188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현재 교육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과 해결책을 명쾌하게 제시한 5차원 전면교육학습법. 지력, 심력, 체력, 자기관리 능력, 인간관계 등 인간을 구성하는 5가지 요소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원리와 실천하는 구체적 방법들을 5가지씩 25가지로 제시했다.

올바른 공부방법을 알아야 한다-방법론의 전환

개헤엄이 자유형을 이길 수 있을까? 어떤 일을 열심히 하면 어느 정도까지는 실력도 늘고 성적도 올라가고 공부도 잘할 수 있지만 한 인간이 갖고 있는 재능의 최대치까지는 발휘할 수 없다. 단지 자기가 쓰는 방법의 한계치까지만 가능할 뿐이다. 방법론을 전환하지 않고 열심히만 한다면 오히려 자신이 갖고 있는 능력을 제한시켜 버리는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수영에 아무리 큰 재능을 가진 사람이라 할지라도 개헤엄으로는 세계 신기록을 기대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일반적으로 무언가를 잘하기 위해서는 열심히, 오랜 시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 작업의 결과를 보면 열심히만 한다고 해서 실력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어떤 일을 하든지,그 일에 적합한 방법과 원리를 구체적으로 알아야 하는 것이다. 한 걸음 도약을 위해서는 그 내용을 잘 아는 전문인에게서 원리와 특성을 배우고 가장 좋은 방법을 익혀야 한다. 그래야만 훨씬 효과적으로 공부하고 자기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았다.다면적 접근이어야 한다.

여러 개의 나무 조각으로 만들어진 물통이 있다. 이 물통의 나무 조각들이 완전하면 물통에 물을 가득 담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물통에서 한 부분이라도 부러진 조각이 있으면 아무리 물을 많이 부어도 물은 이 부러진 나무 조각의 높이만콤만 채워지게 된다.

교육에 있어서도 같은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인간을 구성하고 있는 근본적인 요소들이 있다. 물통의 나무 조각 같은 것이다. 인간은 지력, 심력, 체력, 자기 관리 능력, 인간 관계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 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어느 한 가지가 약하면 그것 하나만 약한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들도 영향을 받아서 전체의 능력을 약화시킨다.

이렇게 인간의 실력이 복합적인 요소를 통해 구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면적' 으로 접근한다면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키지 못한다.

구체적인 커리큘럼이 있어야 한다.

아이에게 당장 '너 이제부터 마음을 강하게 해야 한다' 라고 말만 한다고 해서 실제 어떤 변화가 오지는 않는다. 5차원 전면 교육은 인간을 이루는 5가지 요소를 강하게 만들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 프로그램을 개발하려 노력하고 있다. 전인적인 훈련이 아무리 중요한 것이라고 해도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 '바른 원리'를 '삶의 변화'로 이끌어 줄 수 있는 '커리큘럼'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자신의 약점(최소량)을 파악할 수 있는 측정 프로그램을 통해 지력, 심력, 체력, 자기관리 능력, 인간관계 능력 중 부족한 부분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집중적으로 개선하도록 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원동연(지은이)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졸업, KAIST(한국과학기술원) 공학박사 한국원자력연구소 초전도체 연구실장 중국 연변과학기술대학교 부총장 몽골국제대학교 총장 탄자니아연합대학교 설립총장 세인고등학교ㆍ동두천고등학교 교장, DGA(디아글로벌학교) 헤드마스터 국제교육문화교류기구 이사장 KAIST 미래교육연구위원회 위원장 연구위원 이일주(삼성전자) 정희순(5차원전면교육협회 연구위원) 한연숙(동두천고등학교 교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001. [프롤로그-새로운 공부길을 찾아서]...9
002. 어떤 사람이 되는가...10
003. 인생에서 성공하는 행복한 자신을 찾는 방법...13
004. 변화를 주도하는 참된 지도력...16
005. 자신의 능력을 극대화하는 3가지 원리와 5차원 전면교육...17
006. 다이아몬드 칼라를 꿈꾸며...27
007. [지력]...33
008. 참된 거짓을 구별할 수 있는 지적인 힘
009. 지식이 아닌 지혜 위주의 학습...36
010. 국어 공부와 정보처리 능력...50
011. 역사 공부와 전체를 보고 부분을 이해하는 능력...69
012. 수학 공부와 추상적 개념의 구체화 능력...78
013. 영어 공부와 외국어 능력...85
014. 과학 공부와 자연세계이해...99
015. [심력]...105
016. 알고 있는 지식을 내 것으로 만드는 마음의 힘
017. 삶의 목표 확립...108
018. 사회를 호흡하는 반응력....115
019. 풍부한 정서력...120
020. 남 중심의 삶...123
021. 지식을 내면화하여 나의 것으로...125
022. [체력]...127
023. 바른 삶을 실천할 수 있는 몸의 힘
024. 건강의 다섯 가지 핵심원칙...130
025. 바른 자세를 위한 효과적인 척추 운동법...133
026. 부드러운 몸을 위한 관절운동...138
027. 튼튼한 오관 만들기...145
028. 잘 배설하는 능력...152
029. 깊이 숙면하기 ...157
030. 효과적으로 5차원 건강법을 실시하는 방법...163
031. 바른 삶을 실천할 수 있는 힘...167
032. [자기관리 능력]....169
033. 자신의 능력을 가치 있는 곳에 사용할 수 있는 힘
034. 시간 관리...172
035. 재정 관리...179
036. 언어 관리...181
037. 태도 관리...185
038. 진정한 적성을 찾는 법...188
039. 인간관계 능력...193
040. 공동체 의식을 갖고 남을 섬길 수 있는 힘
041. 나와 나...196
042. 나와 가족...207
043. 세계를 품은 다이아몬드 칼라의 인간...209
044. 에필로그...213
045.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용기 있는 사람들의 선택...216
046. 몸으로 체득하고 자신에게 축적되는 교육...220
047. 제2의 5차원 전면교육의 현장 : 한국대학교...226
048. [부록]...239
049. DQ 측정을 통한 전인지수 확인...231
050. 한민족 교육 공동체를 꿈꾸는 DIA...241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민지 (202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23)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