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미국 민사소송법

미국 민사소송법 (12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서철원.
서명 / 저자사항
미국 민사소송법 = Civil procedure / 서철원 저.
발행사항
서울 :   法元社 ,   2005.  
형태사항
viii, 406 p. ; 23 cm.
ISBN
899151202X
일반주기
색인: p. 401-406  
000 00547camccc200205 k 4500
001 000045171760
005 20100806022243
007 ta
008 050310s2005 ulk 001d kor
020 ▼a 899151202X ▼g 93360
035 ▼a KRIC09796818
040 ▼a 211062 ▼d 211009
082 0 4 ▼a 347.7305 ▼2 22
090 ▼a 347.7305 ▼b 2005
100 1 ▼a 서철원. ▼0 AUTH(211009)115637
245 1 0 ▼a 미국 민사소송법 = ▼x Civil procedure / ▼d 서철원 저.
260 ▼a 서울 : ▼b 法元社 , ▼c 2005.
300 ▼a viii, 406 p. ; ▼c 23 cm.
500 ▼a 색인: p. 401-406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7.7305 2005 등록번호 11131995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7-03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7.7305 2005 등록번호 11131995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02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7.7305 2005 등록번호 11134066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08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서철원(지은이)

<미국 형사소송법>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Ⅰ. 서론 = 1
 1 개념 = 1
 2. 재판소 = 1
 3. 주요 이슈 = 4
Ⅱ. 인적 관할권(personal jurisdiction) = 17
 1. 개관 = 17
 2. 대인관할(in personal jurisdiction) = 21
  (1) 헌법상의 요건 = 21
  (2) 성문법상의 요건 = 34
  (3) 연방법원의 대인관할권(in personal jurisdiction) = 51
  (4) 인터넷을 사업에서의 in personal jurisdiction = 60
 3. 대물관할권(in rem jurisdiction) = 64
  (1) 개념 = 64
  (2) 요건 = 66
 4. 준대물관할권(quasi in rem jurisdiction) = 68
  (1) 개념 = 68
  (2) 유형 = 69
  (3) 헌법상의 요건 = 69
  (4) 효력 = 72
  (5) 사례분석 = 73
Ⅲ. 물적 관할권 (subject matter jurisdiction) - diversity of citizenship jurisdiction = 77
 1. 개설 = 77
  (1) 물적 관할권 (subject matter jurisdiction)의 개관 = 77
  (2) diversity of citizenship jurisdiction개관 = 79
 2. 당사자 사이의 diversity = 81
  (1) diversity의 의미 = 81
  (2) 주적을 정하는 기준 = 82
  (3) diversity의 조작 = 86
 3. 소가(jurisdictional amount) = 89 
  (1) 원고의 시각에서 평가(good faith plaintiff's viewpoint) = 89
  (2) 소가결정 기준 = 90
  (3) diversity of citizenship jurisdiction의 예외 = 93
Ⅳ. 물적 관할권(subject matter jurisdiction) - 연방문제 관할권(federal question jurisdiction) = 95
 1. 연방문제 (federal question) = 95
 2. 배타적 연방관할권(exclusive federal jurisdiction) = 98
Ⅴ. 보충관할권(supplemental jurisdiction) = 101
 1. 개관 = 101
 2. pendent jurisdiction = 105
 3. ancillary jurisdiction = 107
 4. 재량적 소각하(discretionary rejection) = 114
 5. 기타 = 115
Ⅵ. 물적 관할권(subject matter jurisdiction) - removal jurisdiction = 117
 1. removal의 요건 = 117
 2. removal의 절차 = 121
 3. removal된 후의 절차 = 122    
 4. 반송(remand) = 123
Ⅶ. 준거법 = 125
 1. 개설 = 125
 2. diversity of citizenship 사건 - Erie rule = 126
 3. 주법의 확인 = 131 
 4. 절차법과 실체법의 구별 = 134
 5. 연방의 common law = 153
Ⅷ. 재판적(venue) = 159
 1. 개념 = 159
 2. 기준 = 160
  (1) 주 법원 = 160
  (2) 연방법원 = 162
 3. 이송(transfer) = 169
Ⅸ. 소의 제기 = 171
 1. 개설 = 171
 2. 소의 제기 = 171
  (1) 소장제출 = 171
  (2) 소장송달 = 172
 3. Pleading = 175
  (1) 개설 = 175
  (2) complaint = 177
  (3) 항변(motion) = 181
  (4) 답변서(answer) = 185
  (5) reply = 187  
  (6) pleading의 변경과 보충 = 188
  (7) 법원에 제출된 서면에 대한 certification = 190
  (8) verification = 193
Ⅹ. 중간 보전조치(provisional remedies) = 195
 1. 개설 = 195
 2. attachment = 196
 3. preliminary injunction = 200
 4. receivership = 202  
 5. notice of pendency(lis pendens) = 203
 6. replevin = 204
 7. 중간보전조치에 대한 헌법적 한계 = 205
ⅩⅠ. 다수당사자 / 다수청구 소송 = 209
 1. 개설 = 209
 2. counterclaim = 210
  (1) 개설 = 210
  (2) 유형과 요건 = 211
  (3) counterclaim에서의 jurisdiction = 214
  (4) 제3자에 의한 counterclaim = 216
  (5) counterclaim 에서 statute of limitation = 217
 3. 소의 객관적 병합(joinder of claims) = 219
 4. cross-claim = 221
 5. 주관적 병합(joinder of parties) = 223
  (1) 개설 = 223
  (2) compulsory joinder = 223
  (3) permissive joinder = 228 
 6. class action = 231
  (1) 개론 = 231
  (2) 요건 = 233
  (3) FRCP 23(b)의 요건 = 237
  (4) 송달(notice) = 241
  (5) 구속력(binding effect) = 243
  (6) 관할권 = 246
  (7) class action의 인정 = 247
  (8) 화해(Settlement) = 250
  (9) 변호사 비용 = 250
  (10) mass tort case = 251
 7. interpleader = 256
 8. third party practice - impleader = 261
 9. 소송참가(intervention) = 264
  (1) 개설 = 264
  (2) intervention of right = 264
  (3) permissive intervention = 268
 10. real parth in interest = 268
ⅩⅡ. 증거조사(discovery) = 271
 1. 개설 = 271
 2. discovery와 disclosure를 하는 범위 = 274
 3. discovery의 방법 = 286
  (1) 분류 = 286
  (2) oral deposition = 288
  (3) written depositiond = 290
  (4) interrogatories to the parties = 291
  (5) 물증의 제출 (production of materials) = 292
  (6) 신체와 정신의 검사(physical and mental examination) = 293
  (7) 승인의 요청(request for admission) = 294
 4. discovery된 결과의 사용 = 296
 5. disclosure와 discovery의 강제 = 299
 6. discovery절차의 하자와 치유 = 302
 7. discovery order에 대한 항고(appeal) = 303
 8. pretrial conference = 304
ⅩⅢ. 공판절차(trial) = 307
 1. 입증책임(burden of proof) = 307
 2. 추정(presumption) = 309
 3. 비정상적인 소송의 종결 = 312
  (1) 개설 = 312
  (2) voluntary dismissal by plaintiff = 313
  (3) involuntary dismissal = 314
  (4) summary judgement = 314
  (5) judgement as a matter of law = 318
  (6) renewed motion for judgement as a matter of law = 320
  (7) new trial = 322
 4. 배심원재판(jury trial) = 329
  (1) jury trial이 인정되는 경우 = 329
  (2) 배심원의 구성 = 339
  (3) instruction = 341
  (4) juror misconduct = 342
 5. 비배심원재판(non-jury trial) = 343
  (1) 개설 = 343
  (2) appellate review of judge's finding = 344
 6. 판결(judgement) = 347  
ⅩⅣ. 항소(appeal) = 349
 1. 대상 = 349
 2. 항소 중 집행정지 = 351
 3. 상고 = 352
ⅩⅤ. 판결의 후속사건에 대한 효력 = 355
 1. 개설 = 355
 2. 기판력 = 356  
  (1) 개론 = 356
  (2) 동일한 소송의 원인 = 357
  (3) 본안에 대한 판결 = 363
  (4) 기타 = 365
 3. collateral estoppel = 366
  (1) 개설 = 366
  (2) 동일한 문제(same issue) = 367
  (3) 실질적인 심리(actually litigated) = 368
  (3) 판결에 중요한 문제(essential to the judgement) = 369
  (4) 기타 = 371
 4. 인적 범위 = 376
  (1) 당사자와 관련자(party and privy) = 376
  (2) 제3자(stranger) = 380
 5. full faith and credit = 387
  (1) 개설 = 387
  (2) 주 법원간의 효력 = 388
  (3) 연방법원에서의 full faith and credit = 391
  (4) 연방법원의 결정이 주 법원에서 가지는 full faith and credit = 398


관련분야 신착자료

사법연수원. 교육발전연구센터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