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k 4500 | |
001 | 000045169702 | |
005 | 20211006170332 | |
007 | ta | |
008 | 050509s2004 ulkf b 001c kor | |
020 | ▼a 8937603217 ▼g 94320 : ▼c \22,000 | |
020 | ▼a 9788937603211(2009 3쇄) ▼g 94320 : ▼c \22,000 | |
020 | 1 | ▼a 8937603160(전5권) |
020 | 1 | ▼a 9788937603167(전5권)(2009 3쇄)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335.4 ▼2 21 |
090 | ▼a 335.4 ▼b 2001c ▼c 3.2 | |
100 | 1 | ▼a Marx, Karl, ▼d 1818-1883 ▼0 AUTH(211009)123002 |
245 | 1 0 | ▼a 자본론 : ▼b 정치경제학 비판. ▼n 제3권. ▼n 하 , ▼p 자본주의적 생산의 총과정 / ▼d 칼 마르크스 저 ; ▼e 김수행 역. |
250 | ▼a 제1개역판 | |
260 | ▼a 서울 : ▼b 비봉, ▼c 2004 ▼g (2008) | |
300 | ▼a ix, 574-1143 p. : ▼b 도판 ; ▼c 23 cm. | |
490 | 0 0 | ▼a 경제학고전선 |
504 | ▼a 참고문헌(p. 1113-1129)및 색인(p. 1130-1143)수록 | |
700 | 1 | ▼a 김수행 ▼g 金秀行, ▼d 1942-, ▼e 역 |
830 | 0 | ▼a 경제학고전선(비봉) |
900 | 1 1 | ▼a 마르크스, 칼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5.4 2001c 3.2 | 등록번호 1114136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5.4 2001c 3.2 | 등록번호 1114136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권장도서 | 청구기호 335.4 2001c 3.2 | 등록번호 151277310 | 도서상태 대출불가(서가)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5.4 2001c 3.2 | 등록번호 1512720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5.4 2001c 3.2 | 등록번호 1114136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5.4 2001c 3.2 | 등록번호 1114136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권장도서 | 청구기호 335.4 2001c 3.2 | 등록번호 151277310 | 도서상태 대출불가(서가)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5.4 2001c 3.2 | 등록번호 1512720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칼 마르크스의 고전적 경제학서. 상품의 분석으로부터 시작해 공황에 이르기까지 `자본주의 멸망의 필연성`을 설파했으며, 이후 국제 공산주의운동의 이론적 경전으로 되었다.
제1권 `자본의 생산과정`에서는 자본주의적 경제관계의 기초적 요인이며 전제이기도한 상품과 화폐에 관하여 설명한 뒤, 자본주의적 생산에 있어서 임금노동자에 의한 잉여가치생산과 자본가에 의한 잉여가치 획득이라는 `잉여가치론`을 중심으로 노동자가 받는 임금, 자본의 축적, 자본주의적 관계 창출로서의 본원적 축적, 자본주의적 발전의 역사적 경향 등을 밝혔다.
제2권 `자본의 유통과정`에서는, 자본의 운동은 생산과정뿐만 아니라 유통과정에서도 창출되는 것으로, 자본의 순환운동이나 회전운동을 일으키는 영향, 개별적 여러 자본이 뒤섞인 사회적 총자본의 재생산운동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제3권 `자본주의적 생산의 총과정`에서는, 생산과정에서 생성된 잉여가치가 이윤·이자·지대와 같은 현실적인 여러 형태로 전화하여 각각 독자적인 형태를 취하게 되는 것을 밝혔다. 즉, 우선 잉여가치가 이윤으로 전형되는 것, 자본경쟁을 통한 평균이윤의 형성, 자본주의적 발전에 따른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를 설명하였다.
이어서 상업자본과 상업이윤, 이자와 신용, 그리고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토지소유와 지대를 해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편 `수입과 그 원천`에서 임금·이자(또는 이윤)·지대는 자본주의적 생산관계에 바탕을 둔 근대사회 특유의 역사적 형태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임금노동자·자본가·토지소유자라는 자본주의사회의 기본적 3대 계급에 관해 총괄적으로 파악하였다.--한메디지털백과사전
정보제공 :

저자소개
카를 마르크스(지은이)
1818년 5월 5일 독일 트리어에서 태어났다. 김나지움을 마치고 1835년에 본 대학에 진학해 법학을 전공했다. 아버지의 압박으로 베를린 대학으로 전학해 철학을 공부했다. 이곳에서 헤겔 철학을 연구하며 청년헤겔파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진보적 성향이 덜한 예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땄다. 1842년 <라인신문>에서 일하기 시작해 편집장이 되었다. 마르크스는 사설을 통해 프로이센 정부와 언론의 검열을 매섭게 비난했다. 그 결과 신문은 이내 폐간됐다. 1843년 프랑스 파리로 이주해 정치경제학과 프랑스혁명의 역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때 <경제학·철학 초고> <헤겔의 법철학 비판> 등의 원고를 썼다. 파리에서 프로이센 정부를 비판하는 글을 쓰다가 프랑스에서 추방되어 벨기에 브뤼셀로 이주했다. 이 무렵 <철학의 빈곤> <자유무역에 대하여>의 원고를 썼다. 1847년 파리에 거주하는 독일 출신 노동자를 중심으로 생겨난 조직 ‘정의 동맹’의 요청을 받고 강령에 해당되는 글을 작성했다. 바로 <공산당 선언>이다. 프랑스를 시작으로 유럽 전역에서 혁명이 일어나자 파리로 잠시 피신했다가 쾰른으로 돌아갔다. <신라인신문>으로 이름을 바꾸고 신문을 재발행하기 시작했다. <임금노동과 자본>은 노동자를 일깨우기 위한 글로, 이 신문에 다섯 편으로 나뉘어 실렸다. 정부 탄압을 받던 <신라인신문>은 이내 기소당해 마르크스는 추방 명령을 받고 영국 런던으로 망명했다. 이곳에서 어려운 생계를 꾸리며 경제학을 연구했다. 1851년 유럽 특파원으로서 영국을 비롯한 유럽 각국의 사정을 분석하는 기사와 사설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이후 몇 년간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정치경제학 비판> 등을 집필했다. 49세 되던 해에 《자본》이 출간됐다. 프랑스 파리에서 최초의 사회주의 자치정부인 파리 코뮌이 수립됐으나, 정부군 진압과 학살로 무너졌다. 마르크스는 파리 코뮌의 기록과 의의를 적은 《프랑스 내전》을 썼다. 국제노동자연맹을 이끌며 아나키스트파와 내분을 겪기도 하고, 독일사회주의 노동자당의 강령을 비판하는 등 사회적 활동을 이어 갔다. 1883년 3월, 엥겔스가 잠시 자리를 비운 새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김수행(옮긴이)
서울대 명예교수. 한국의 대표적인 마르크스 경제학자. 서울대 경제학부 퇴임 후 성공회대 석좌교수로 연구와 강의에 매진하던 중, 2015년 7월 향년 73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주요 저서로 최초의 한국어 전권 완역본인 <자본론>을 비롯하여 <정치경제학원론>, <<자본론>의 현대적 해석>, <자본주의 경제의 위기와 공황>, <마르크스가 예측한 미래사회: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 <세계대공황: 자본주의의 종말과 새로운 사회의 사이>, <자본론 공부>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제2차 개역에 부쳐 = ⅲ 제1차 개역에 부쳐 = ⅵ 번역자의 말 = ⅷ 목차 = xi 제1판 서문 = 3 제2판 후기 = 21 프랑스어판 서문 = 21 프랑스어판 후기 = 22 제3판 서문 = 23 영어판 서문 = 27 제4판 서문 = 33 1편 상품과 화폐 1장 상품 = 43 1절 상품의 두 요소 : 사용가치와 가치(가치의 실체, 가치의 크기) = 43 2절 상품에 포함되어 있는 노동의 이중성 = 52 3절 가치형태 또는 교환가치 = 59 A. 단순한, 개별적인 또는 우연적인 가치형태 = 61 1. 가치표현의 두 극: 상대적 가치형태와 등가형태 = 61 2. 상대적 가치형태 = 62 (a) 상대적 가치형태의 내용 = 62 (b) 상대적 가치형태의 양적 규정성 = 67 3. 등가형태 = 71 4. 단순한 가치형태의 총체 = 77 B. 전체적 또는 전개된 가치형태 = 90 1. 전개된 상대적 가치형태 = 80 2. 특수한 등가형태 = 81 3. 전체적 또는 전개된 가치형태의 결함 = 82 C. 일반적 가치형태 = 83 1. 가치형태의 변화된 성격 = 84 2. 상대적 가치형태의 발전과 등가형태의 발전 사이의 관계 = 86 3. 일반적 가치형태로부터 화폐형태로의 이행 = 89 D. 화폐형태 = 89 4절 상품의 물신적 성격과 그 비밀 = 91 2장 교환과정 = 108 3장 화폐 또는 상품유통 = 120 1절 가치의 척도 = 120 2절 유통수단 = 133 (a) 상품의 변태 = 133 (b) 화폐의 유통 = 147 (c) 주화ㆍ가치의 상징 = 159 3절 화폐 = 165 (a) 퇴장화폐 = 166 (b) 지불수단 = 172 (c) 세계화폐 = 181 2편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환 4장 자본의 일반공식 = 189 5장 자본의 일반공식에서의 모순 = 202 6장 노동력의 구매와 판매 = 218 3편 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7장 노동과정과 가치증식과정 = 235 1절 노동과정(또는 사용가치의 생산) = 235 2절 가치증식과정 = 246 8장 불변자본과 가변자본 = 264 9장 잉여가치율 = 280 1절 노동력의 착취도 = 280 2절 생산물의 가치를 생산물의 비례분배적 부분들로 표시 = 290 3절 시니어의 "최후의 한 시간" = 295 4절 잉여생산물 = 302 10장 노동일 = 304 1절 노동일의 한계 = 304 2절 잉여노동에 대한 갈망, 공장주와 보야르 = 310 3절 착취의 법적 제한이 없는 영국의 생산부문 = 321 4절 주간노동과 야간노동, 교대제 = 341 5절 표준노동일을 위한 투쟁 : 14세기 중엽에서 17세기 말까지 노동일의 연장을 위한 강제법 = 353 6절 표준노동일을 위한 투쟁 : 법률에 의한 노동시간의 강제적 제한(1833∼1864년의 영국의 공장입법) = 372 7절 표준노동일을 위한 투쟁 : 영국의 공장입법이 타국에 준 영향 = 400 11장 잉여가치율과 잉여가치량 = 408 4편 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12장 상대적 잉여가치의 개념 = 423 13장 협업 = 436 14장 분업과 매뉴팩쳐 = 455 1절 매뉴팩쳐의 두 가지 기원 = 455 2절 부분노동자와 그의 도구 = 459 3절 매뉴팩쳐의 두 가지 기본형태 : 이질적 매뉴팩쳐와 유기적 매뉴팩쳐 = 463 4절 매뉴팩쳐의 분업과 사회의 분업 = 474 5절 매뉴팩쳐의 자본주의적 성격 = 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