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탐구한국사: 이론편 개정11판

탐구한국사: 이론편 개정11판 (2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윤수
서명 / 저자사항
탐구한국사: 이론편 / 김윤수 편저.
판사항
개정11판
발행사항
서울 :   형설 ,   2003.   (2005 4쇄)  
형태사항
xiv,793 p. ; 26 cm.
기타표제
행시·외시·입법·기술고시 7급
ISBN
8947210714 8947210692(세트)
서지주기
참고문헌:p.793
000 00628namccc200229 k 4500
001 000045169692
005 20100806021153
007 ta
008 050509s2003 ulk 000a kor
020 ▼a 8947210714 ▼g 94900: ▼c \26,000
020 1 ▼a 8947210692(세트)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82 0 4 ▼a 951.90076 ▼2 22
090 ▼a 953.0076 ▼b 2003
245 0 0 ▼a 탐구한국사: ▼b 이론편 / ▼d 김윤수 편저.
246 0 3 ▼a 행시·외시·입법·기술고시 7급
250 ▼a 개정11판
260 ▼a 서울 : ▼b 형설 , ▼c 2003. ▼g (2005 4쇄)
300 ▼a xiv,793 p. ; ▼c 26 cm.
504 ▼a 참고문헌:p.793
700 1 ▼a 김윤수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076 2003 등록번호 14102810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953.0076 2003 등록번호 14102810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953.0076 2003 등록번호 1511782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953.0076 2003 등록번호 1511782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076 2003 등록번호 14102810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953.0076 2003 등록번호 14102810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953.0076 2003 등록번호 1511782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953.0076 2003 등록번호 1511782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윤수(지은이)

저자약력 現 아모르이그잼고시학원 한국사 전임 97년, 98년, 99년 2001년, 2002년 연세대학교 특강 교수 2000년, 2001년, 2002년 고려대학교 특강 교수 99년, 2000년, 2001년, 2003년 이화여자대학교 특강 교수 99년, 2000년 한양대학교 특강 교수 99년 국민대학교 특강 교수 2002년, 2006 년 서울시립대학교 특강 교수 2002년 부산대학교 특강 교수 2000년, 2001년 성균관대학교 특강 교수 에듀스파 한국사 담당 교수 주요저서 9·7급 탐구한국사(이론편) 9·7급 탐구한국사(문제편) 7급 탐구한국사(문제편) 경찰 탐구한국사(이른편) 7·9급 탐구근현대사(이른편) 7·9급 탐구근현대사(문제편) 1·2급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집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기본이론서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선사문화와 국가의 형성
 제1장 선사문화의 전개 = 3
  제1절 자연환경과 한민족의 형성 = 3
   Ⅰ. 자연환경 = 3
   Ⅱ. 한민족의 형성 = 6
  제2절 구석기 문화 = 8
   Ⅰ. 구석기시대 = 8
   Ⅱ. 생활과 문화 = 9
   Ⅲ. 중석기시대 = 11
  제3절 신석기문화 = 12
   Ⅰ. 신석기시대 = 12
   Ⅱ. 신석기시대의 생활과 문화 = 13
  제4절 청동기문화 = 17
   Ⅰ. 청동기시대 = 17
   Ⅱ. 청동기시대의 생활과 문화 = 19
  제5절 초기 철기 문화(청동기 후반) = 22
   Ⅰ. 초기 철기시대(청동기 후반) = 22
 제2장 국가의 형성과 문화 = 24
  제1절 고조선 = 24
   Ⅰ. 군장국가의 성격 = 24
   Ⅱ. 고조선의 건국과 변천 = 25
   Ⅲ. 고조선의 사회 = 31
  제2절 한 4군과 낙랑문화 = 33
   Ⅰ. 한 4군의 변동 = 33
   Ⅱ. 한의 문화 = 33
  제3절 여러 초기 국가의 성립 = 35
   Ⅰ. 연맹체국가의 성격 = 35
   Ⅱ. 부여 = 37
   Ⅲ. 고구려 = 39
   Ⅳ. 옥저(함흥평야 일대) = 40
   Ⅴ. 동예(강원도 북단과 영흥, 안변일대) = 41
   Ⅵ. 삼한 = 42
제2편 고대사회의 발전
 제1장 고대사회의 형성 = 47
  제1절 고대국가의 성격 = 47
   Ⅰ. 성립배경 = 47
   Ⅱ. 고대국가의 과정과 완성 = 48
  제2절 초기의 삼국 = 52
   Ⅰ. 초기의 고구려 = 52
   Ⅱ. 초기의 백제 = 53
   Ⅲ. 초기의 신라 = 53
   Ⅳ. 가야연맹 = 54
 제2장 고대의 정치와 그 변천 = 56
  제1절 삼국의 변천과 통일 = 56
   Ⅰ. 2C = 56
   Ⅱ. 3C = 57
   Ⅲ. 4C = 58
   Ⅳ. 5C 삼국의 항쟁 1기 = 59
   Ⅵ. 삼국의 대중국 외교 = 67
   Ⅶ. 고구려의 대중국 전쟁 = 67
   Ⅷ.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 68
   Ⅸ. 나·당전쟁과 삼국통일 = 69
  제2절 통일신라의 시대사 = 71
   Ⅰ. 상대 = 71
   Ⅱ. 중대 = 71
   Ⅲ. 신라하대 = 73
   Ⅳ. 후삼국의 성립 = 80
  제3절 발해의 시대사 = 82
   Ⅰ. 발해의 정치적 변동 = 82
   Ⅱ. 발해의 성격 = 84
   Ⅲ. 발해의 대외관계 = 86
  제4절 고대의 정치구조 = 88
   Ⅰ. 기본적인 성격 = 88
   Ⅱ. 관등조직 = 89
   Ⅲ. 중앙의 관제 = 94
   Ⅳ. 지방 통치 = 98
   Ⅴ. 군사조직 = 102
 제3장 고대의 사회와 경제 = 104
  제1절 고대의 사회체제 = 104
   Ⅰ. 고대사회의 성격 = 104
   Ⅱ. 고구려의 사회 = 105
   Ⅲ. 백제의 사회 = 106
   Ⅳ. 신라의 사회 = 107
   Ⅴ. 발해의 사회 = 108
  제2절 고대의 경제생활 = 109
   Ⅰ. 삼국의 경제 = 109
   Ⅱ. 통일신라의 경제 = 112
   Ⅲ. 발해의 경제 = 116
  제3절 대외무역의 발달 = 117
   Ⅰ. 삼국시대 = 117
   Ⅱ. 통일신라 = 117
   Ⅲ. 발해의 무역 = 119
 제4장 고대문화의 발달 = 120
  제1절 고대문화의 성격 = 120
   Ⅰ. 삼국시대 = 120
   Ⅱ. 남·북국 문화의 성격 = 121
  제2절 사상의 발달 = 122
   Ⅰ. 토착신앙과 제사의례 = 122
   Ⅱ. 불교 = 123
   Ⅲ. 도교 = 132
  제3절 학문과 기술의 발달 = 134
   Ⅰ. 학문 = 134
   Ⅱ. 유학 = 137
   Ⅲ. 역사서 = 139
   Ⅳ. 기술학 = 141
   Ⅴ. 발해의 학문 = 143
  제4절 예술의 발달 = 144
   Ⅰ. 고분 = 144
   Ⅱ. 탑파 = 148
   Ⅲ. 불상 = 149
   Ⅳ. 삼국의 건축 = 150
   Ⅴ. 통일신라의 미술 = 151
   Ⅵ. 발해의 미술 = 152
   Ⅶ. 신가·향가·설화문학·음악 = 153
  제5절 고대문화의 일본 전파 = 156
   Ⅰ. 삼국시대 = 156
   Ⅱ. 통일신라 = 157
제3편 중세사회로의 발전
 제1장 중세사회의 이행 = 161
  제1절 고려의 성립 = 162
   Ⅰ. 고려의 건국 = 162
   Ⅱ. 민족의 재통일 = 162
   Ⅲ. 중세사회의 성격과 의의·특징 = 163
 제2장 중세의 정치와 그 변천 = 164
  제1절 고려의 체제정비 과정 = 164
   Ⅰ. 태조 = 164
   Ⅱ. 혜종 = 167
   Ⅲ. 정종 = 167
   Ⅳ. 광종 = 168
   Ⅴ. 경종 = 168
   Ⅵ. 성종 = 169
   Ⅶ. 목종 = 171
   Ⅷ. 현종 = 172
   Ⅸ. 정종 = 172
   Ⅹ. 문종 = 172
  제2절 통치조직의 정비 = 173
   Ⅰ. 중앙의 관제 = 173
   Ⅱ. 지방제도 = 179
   Ⅲ. 군사제도 = 185
   Ⅳ. 교육제도 = 188
   Ⅴ. 과거제도 = 191
  제3절 귀족지배체제의 동요와 무신정권 = 196
   Ⅰ. 귀족정치의 전개 = 196
   Ⅱ. 이자겸의 난 = 196
   Ⅲ.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 197
   Ⅳ. 무신정변 = 198
   Ⅴ. 사회동요 = 201
   Ⅵ. 최씨 무신정권 = 203
  제4절 대외관계의 변천 = 206
   Ⅰ. 북진정책과 친송정책 = 206
   Ⅱ. 거란의 침입과 격퇴 = 207
   Ⅲ. 여진정벌과 동북 9성 = 208
   Ⅳ. 고려와 몽고의 접촉 = 208
   Ⅴ. 몽고와의 전쟁 = 209
   Ⅵ. 자주성의 시련 = 211
   Ⅶ. 원 간섭기의 개혁정치 = 214
   Ⅷ. 공민왕의 반원개혁정치 = 217
 제3장 중세의 사회와 경제 = 220
  제1절 사회구조와 지배세력 = 220
   Ⅰ. 사회구조의 개편 = 220
   Ⅱ. 신분구조 = 225
  제2절 사회시책의 법속 = 233
   Ⅰ. 사회시책 = 233
   Ⅱ. 사회시설 = 234
   Ⅲ. 법률과 풍습 = 234
  제3절 경제정책과 경제구조 = 239
   Ⅰ. 토지제도의 정비 = 239
   Ⅱ. 수취체제의 확립 = 245
  제4절 경제활동의 진전 = 248
   Ⅰ. 농업 = 248
   Ⅱ. 상업과 금융 = 249
   Ⅲ. 대외무역 = 251
 제4장 중세문화의 발달 = 253
  제1절 불교의 발달 = 253
   Ⅰ. 고려불교의 성격 = 253
   Ⅱ. 고려초의 불교 = 253
   Ⅲ. 고려중기의 불교 = 255
   Ⅳ. 고려후기 = 256
   Ⅴ. 원간섭기 이후 = 260
   Ⅵ. 대장경의 조판 = 261
  제2절 도교와 풍수지리사상·무속 = 263
   Ⅰ. 도교 = 263
   Ⅱ. 풍수지리사상 = 264
   Ⅲ. 무속 = 265
  제3절 역사, 문학, 유학의 발달 = 266
   Ⅰ. 역사의 발달 = 266
   Ⅱ. 문학의 발달 = 272
   Ⅲ. 유학의 발달 = 274
  제4절 과학과 예술의 발달 = 278
   Ⅰ. 과학과 기술학 = 278
   Ⅱ. 건축과 조각 = 279
   Ⅲ. 공예 = 282
   Ⅳ. 서화와 음악 = 283
제4편 근세사회의 발전
 제1장 근세사회로의 전환 = 289
  제1절 신진사대부 = 289
   Ⅰ. 신진사대부의 대두 = 289
   Ⅱ.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 = 292
   Ⅲ. 위화도 회군과 이성계의 집권 = 293
  제2절 조선의 성립과 근세조건 = 294
   Ⅰ. 근세사회의 전개 = 294
   Ⅱ. 집권체제의 정비 = 300
 제2장 근세의 정치와 그 변천 = 304
  제1절 정치체제의 확립 = 304
   Ⅰ. 양반관료체제의 확립 = 304
   Ⅱ. 중앙정치구조 = 310
   Ⅲ. 지방통치조직 = 315
   Ⅳ. 군사조직과 군역제도 = 321
   Ⅴ. 교육과 과거제도 = 325
  제2절 사림의 대두 = 333
   Ⅰ. 사림의 대두 = 333
   Ⅱ. 사림의 정치적 성장 = 334
   Ⅲ. 서원과 향약 및 사족의 향촌지배 = 337
  제3절 조선초기의 대외관계 = 342
   Ⅰ. 명과의 관계 = 342
   Ⅱ. 여진과의 관계 = 344
   Ⅲ. 일본과의 관계 = 345
   Ⅳ. 동남아시아 = 347
  제4절 왜란 = 348
   Ⅰ. 왜란전의 대일관계 = 348
   Ⅱ. 왜란전의 정세 = 348
   Ⅲ. 임진왜란 = 349
   Ⅳ. 왜란의 영향 = 351
 제3장 근세의 사회와 경제 = 353
  제1절 사회구조와 향촌사회 = 353
   Ⅰ. 신분제도 = 353
   Ⅱ. 가족제도와 의식 = 359
   Ⅲ. 향촌사회 = 363
  제2절 사회시설과 법속 = 365
   Ⅰ. 사회정책과 사회시설 = 365
   Ⅱ. 법률 = 368
   Ⅲ. 민간신앙과 종교 = 369
  제3절 경제정책과 경제구조 = 375
   Ⅰ. 토지제도 = 375
   Ⅱ. 조세제도와 재정 = 382
  제4절 경제활동 = 389
   Ⅰ. 농업 = 389
   Ⅱ. 수공업 = 392
   Ⅲ. 상업과 화폐 = 393
 제4장 근세문화의 발달 = 396
  제1절 성리학의 발달 = 396
   Ⅰ. 성리학의 흐름 = 396
   Ⅱ. 성리학의 발달 = 397
   Ⅲ. 예학과 보학의 발달 = 405
  제2절 민족문화 창달 = 407
   Ⅰ. 한글의 창제 = 407
   Ⅱ. 역사서 편찬 = 408
   Ⅲ. 지리서, 법, 윤리서 = 414
   Ⅳ. 과학 기술 = 416
   Ⅴ. 과학서적 = 418
  제3절 문학과 예술활동 = 421
   Ⅰ. 문학 = 421
   Ⅱ. 음악과 무용 = 423
   Ⅲ. 그림과 글씨 = 424
   Ⅳ. 건축과 공예 = 427
제5편 근대사회의 태동
 제1장 근대사회로의 지향 = 431
  제1절 근대사회로의 움직임 = 431
   Ⅰ. 근대지향적 움직임 = 431
   Ⅱ. 조선후기 사회변화의 특징 = 433
 제2장 정치체제의 변화 = 434
  제1절 통치기구의 변화 = 434
   Ⅰ. 비변사의 기능강화 = 434
   Ⅱ. 5군영 = 435
   Ⅲ. 지방군 = 437
  제2절 붕당정치와 정치적 변동 = 438
   Ⅰ. 붕당정치의 시작 = 438
   Ⅱ. 선조 = 443
   Ⅲ. 광해군 = 445
   Ⅳ. 인조 = 446
   Ⅴ. 효종 = 450
   Ⅵ. 현종 = 452
   Ⅶ. 숙종 = 454
   Ⅷ. 경종 = 458
   Ⅸ. 영조 = 458
   Ⅹ. 정조 = 461
   XI. 세도정치의 전개 = 468
 제3장 경제구조의 변화와 사회변동 = 470
  제1절 수취체제의 개편 = 470
   Ⅰ. 수취체제 개편의 배경 = 470
   Ⅱ. 전세제도의 개편 = 472
   Ⅲ. 공납제도의 개편 = 473
   Ⅳ. 군역제도의 개편 = 476
   Ⅴ. 조선후기 세제의 특징 = 478
  제2절 경제생활의 향상 = 482
   Ⅰ. 농업의 발달 = 482
   Ⅱ. 수공업의 발달 = 488
   Ⅲ. 광업의 발달 = 489
   Ⅳ. 상업의 발달 = 492
   Ⅴ. 대외무역 = 495
   Ⅵ. 화폐의 보급 = 497
  제3절 사회구조의 변동 = 498
   Ⅰ. 농민사회의 성장과 향촌사회의 변동 = 498
   Ⅱ. 신분제의 변동 = 503
   Ⅲ. 요호부민의 대두와 중간계층의 성장 = 506
   Ⅳ. 농민의 항거 = 510
   Ⅴ. 민란의 발생 = 512
  제4절 사회불안과 종교계의 변화 = 516
   Ⅰ. 민간신앙의 성행 = 516
   Ⅱ. 천주교의 전파 = 517
   Ⅲ. 동학의 발생 = 519
 제4장 문화의 새 기운 = 521
  제1절 성리학계의 동향과 양명학 수용 그리고 수련도교 = 521
   Ⅰ. 성리학의 발달과 학통 = 521
   Ⅱ. 양명학 수용 = 527
   Ⅲ. 수련도교의 재유행 = 528
  제2절 실학사상의 발달 = 529
   Ⅰ. 실학의 연구 = 529
   Ⅱ. 농업중심의 개혁사상 = 533
   Ⅲ. 상공업중심의 개혁사상 = 536
   Ⅳ. 19세기 전반기의 개혁사상 = 538
   Ⅴ. 실사구시의 국학연구 확대 = 540
  제3절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549
   Ⅰ. 서민문화의 대두 = 549
   Ⅱ. 예술의 새 경향 = 553
  제4절 과학과 기술의 발달 = 557
   Ⅰ. 서양문물의 수용 = 557
   Ⅱ. 천문학과 의학 = 557
   Ⅲ. 기술의 개발과 보급 = 559
제6편 근대사회의 발전
 제1장 근대사회의 전개 = 563
  제1절 1863년 흥선대원군의 집정 = 563
   Ⅰ. 전제왕권의 강화 = 563
   Ⅱ. 쇄국정책과 양요 = 565
  제2절 1876년 강화도조약과 정부의 동도서기 추진 = 568
   Ⅰ. 강화도조약과 개방 = 568
   Ⅱ. 각국과의 조약체결 = 572
   Ⅲ. 정부의 동도서기 정책 추진 = 576
  제3절 1882년 임오군란과 위정척사운동 = 580
   Ⅰ. 위정척사운동 = 580
   Ⅱ. 임오군란 = 584
  제4절 1884년 갑신정변과 개화당의 개혁운동 = 587
   Ⅰ. 개화당의 개혁운동 = 587
   Ⅱ. 갑신정변 = 592
   Ⅲ. 갑신정변 이후 = 597
  제5절 1894년 갑오동학운동과 갑오개혁, 을미개혁 = 600
   Ⅰ. 동학운동 = 600
   Ⅱ. 갑오개혁 = 606
  제6절 1896년 아관파천과 독립협회 = 612
   Ⅰ.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 = 612
   Ⅱ. 독립협회의 활동 = 615
  제7절 1897년 대한제국과 광무개혁·민중의 저항 = 622
   Ⅰ. 대한제국의 성립 = 622
   Ⅱ. 광무개혁(대한제국의 근대화 시책) = 622
   Ⅲ. 대한제국기 민중의 저항 = 627
  제8절 1905년 제2차 한일협약 = 629
   Ⅰ. 러시아의 남하와 일본의 대응 = 629
   Ⅱ. 일제의 국권침탈 = 630
   Ⅲ. 통감정치하의 식민지 정책과 민족경제의 몰락 = 636
  제9절 항일의병전쟁의 전개 = 638
   Ⅰ. 무력항일운동의 시작 = 638
   Ⅱ. 의병항전의 확대 = 639
   Ⅲ. 항일의병전쟁의 의의·한계·인식의 변화 = 643
  제10절 애국계몽운동 = 644
   Ⅰ. 애국계몽운동의 성격·한계·그 실천방법의 분화 = 644
   Ⅱ. 정치·사회단체의 활동 = 646
   Ⅲ. 경제활동 = 650
   Ⅳ. 교육운동 = 655
   Ⅴ. 언론 활동 = 657
   Ⅵ. 국학운동 = 659
   Ⅶ. 문예와 종교의 새 경향 = 662
   Ⅷ. 근대문명의 수용 = 664
제7편 민족운동의 전개
 제1장 일제의 식민통치 = 669
  제1절 무단정치(헌병경찰통치) = 669
   Ⅰ. 정치 = 669
   Ⅱ. 경제 = 673
  제2절 문화정치 = 676
   Ⅰ. 정치 - 식민지체제의 변화 = 676
   Ⅱ. 경제 = 681
  제3절 민족말살 = 683
   Ⅰ. 정치 = 683
   Ⅱ. 경제 = 685
 제2장 독립운동의 성장과 3·1운동 = 689
  제1절 항일비밀결사조직 = 689
   Ⅰ. 의병활동 = 689
   Ⅱ. 국내의 민족해방운동 = 689
  제2절 1910년대 해외민족운동 = 695
   Ⅰ. 만주·연해주지역 = 695
   Ⅱ. 중국·미국지역 = 698
  제3절 3·1운동 = 700
   Ⅰ. 배경 = 700
   Ⅱ. 3·1운동 전개 = 701
   Ⅲ. 3·1운동의 의의·한계·교훈 = 702
 제3장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독립전쟁 = 704
  제1절 임시정부의 활동 = 704
   Ⅰ. 임시정부의 수립 = 704
   Ⅱ. 임시정부의 통합과 헌정 = 705
   Ⅲ. 임시정부의 활동 = 706
   Ⅳ. 임시정부의 시련과 재정비 = 708
  제2절 국내의 민족해방운동 = 710
   Ⅰ. 무장항일투쟁과 상황 = 710
   Ⅱ. 애국지사의 활동 = 711
  제3절 국외의 민족해방운동 = 713
   Ⅰ. 각지의 독립군 조직 = 713
   Ⅱ. 20년대 무장독립전쟁과 민족유일당운동 = 714
   Ⅲ. 30년대 무장독립전쟁과 민족유일당운동 = 716
   Ⅳ. 1940년대 임시정부와 민족해방운동 = 721
 제4장 경제·사회적 저항운동 = 727
  제1절 민족실력양성운동 = 727
   Ⅰ. 문화운동·실력양성론의 대두 = 727
   Ⅱ. 소년·학생·청년회운동 = 728
   Ⅲ. 신교육운동 = 730
   Ⅳ. 경제자립운동 = 731
   Ⅴ. 타협적 민족주의 세력의 자치운동 = 733
  제2절 사회운동 = 735
   Ⅰ. 6·10 만세 = 735
   Ⅱ. 광주학생 항일운동 = 736
   Ⅲ. 사회주의운동과 공산당운동 = 737
   Ⅳ. 민족유일당운동 = 741
   Ⅴ. 노동쟁의 = 746
   Ⅵ. 소작쟁의 = 749
   Ⅶ. 여성운동·조선형평사운동·수양동우회 = 751
 제5장 민족문화수호운동 = 753
  제1절 국학운동의 전개 = 753
   Ⅰ. 한글진흥운동 = 753
   Ⅱ. 한국사연구 = 754
  제2절 문화활동 = 763
   Ⅰ. 종교활동 = 763
   Ⅱ. 문학활동 = 764
   Ⅲ. 예술활동 = 765
제8편 현대사회의 전개
 제1장 민주정치의 발전 = 769
  제1절 대한민국의 수립 = 769
   Ⅰ. 건국준비 활동 = 769
   Ⅱ. 해방전후의 움직임과 미·소군의 진주 = 771
   Ⅲ. 각 정치세력의 형성과 대중조직 = 776
   Ⅳ. 신탁통치문제와 자주민족국가 건설운동 = 778
   Ⅴ. 분단정부수립 반대운동과 대한민국정부의 수립 = 782
  제2절 북한정권의 수립과 6·25전쟁 = 785
   Ⅰ. 북한 정권의 수립 = 785
   Ⅱ. 6·25전쟁 = 787
  제3절 민주주의의 발전 = 790
   Ⅰ. 제1공화국 = 790
   Ⅱ. 제2공화국 = 794
   Ⅲ. 5·16군사 정권 = 795
   Ⅳ. 제3공화국 = 797
   Ⅴ. 제4공화국 = 800
   Ⅵ. 제5공화국 = 802
   Ⅶ. 제6공화국 = 803
   Ⅷ. 북한 정권의 변천 = 804
   Ⅸ. 통일 정책의 추진 = 808
 제2장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 = 810
  제1절 경제활동의 진전 = 810
   Ⅰ. 미 군정기의 경제 = 810
   Ⅱ. 경제성장 = 811
  제2절 사회개혁운동의 전개 = 814
   Ⅰ. 의식개혁운동 = 814
   Ⅱ. 언론활동 = 814
   Ⅲ. 노동운동 = 815
 제3장 현대 문화의 동향 = 817
  제1절 교육과 학술활동 = 817
   Ⅰ. 교육활동 = 817
   Ⅱ. 학술활동 = 818
  제2절 종교생활과 문예 체육활동 = 818
   Ⅰ. 종교생활 = 818
   Ⅱ. 문예활동 = 819
   Ⅲ. 올림픽의 개최 = 820
   Ⅳ. 오늘의 역사적 사명 = 820
참고문헌 = 821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국학호남진흥원 (2022)
홍봉한 (2022)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HK+ 사업단 지역인문학센터 (2022)
김민수 (2022)
최보영 (2022)
서종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