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서문
제1장 정보사회의 행정모형 = 11
제1절 정보화와 국가행정 = 12
1. 정보화와 행정역할 = 13
2. 정보화와 조직구조 = 17
제2절 이 책의 분석시각 = 19
1. 정보화, 행정모형, 그리고 행위결과 = 19
2. 개방시스템으로서의 국가모형 = 21
3. 분석의 단위 = 22
4. 행정패러다임과 행정모형 = 23
제2장 정보사회의 국가행정모형 = 25
제1절 정보사회의 국가행정 패러다임 = 26
1. 정보사회와 국가행정 = 26
2. 발전행정에 대한 이념적 반성 = 28
3. 정보사회의 국가행정이념 = 30
4. 정보사회에서의 국가행정의 역할과 위상 = 33
제2절 정보사회의 국가행정모형 : 네트워크 정부모형 = 35
제3절 결론 = 40
제3장 정보사회의 조직모형 = 41
제1절 서론 = 42
1. 현행 행정조직의 한계 = 42
2. 조직개편의 필요성 = 43
제2절 정보사회의 조직 변화방향 = 45
1. 조직구조 측면 = 45
2. 직무구조 측면 = 49
제3절 새로운 행정조직 = 51
1. 비전구동형 조직 = 52
2. 프로세스 조직 = 57
3. 네트워크 조직 = 59
4. 학습조직 = 60
5. 팀조직 = 61
제4절 결론 : 평가 및 행정조직 개혁방향 = 66
1. 평가 = 66
2. 행정조직의 개혁방향 = 67
제4장 정보사회의 행정문화 = 71
제1절 행정문화, 행정윤리, 미래의 행정문화 = 72
1. 행정문화의 구성내용 = 72
2. 새로운 업무형태와 행정문화 = 73
3. 미래의 행정문화와 행정윤리 = 74
제2절 새로운 업무형태 및 처리방식 = 79
1. 새로운 행정서비스의 동향 = 79
2. 정보사회의 새로운 행정업무형태 = 80
3. 새로운 행정업무처리에서 오는 부작용 = 82
4. 대응방향 = 84
제3절 결론 : 새로운 행정정보시스템과 행정문화 = 87
제5장 정보사회의 법ㆍ제도적 패러다임 = 89
제1절 새로운 행정모형의 지향점 = 90
1. 행정이념적 차원 : 사회적 형평성 추구의 행정 = 91
2. 행정제도적 차원 : 민주적 절차 중시의 행정 = 91
3. 행정환경적 차원 : 고객 지향적 행정 = 92
제2절 법ㆍ제도 수용방향 = 94
1. 사회적 형평성 추구 = 94
2. 민주적 절차 중시 = 98
3. 고객지향적 행정 = 102
제6장 에필로그 = 109
참고문헌 =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