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교육, 교육학, 교사 = 13
제1절 교육의 개념 = 15
1. 성장으로서 교육 = 15
2. 사회화, 수업으로서 교육 = 17
3. 도야로서의 교육 = 20
제2절 교육학의 흐름과 체계 = 22
1. 교육과 교육학의 기원 = 22
2. 교육학의 흐름 = 24
3. 교육학의 체계 = 30
제3절 교직과 교사 = 36
1. 교직의 성격 = 36
2. 교사의 기본 자질 = 39
3. 교사의 미래상 = 43
제2장 교육사 = 47
제1절 서양교육의 역사 = 49
1. 고대 교육체제의 형성 = 49
2. 종교적 전통 = 53
3. 근대 공교육제도의 형성 = 55
제2절 서양근대교육의 사상 = 58
1. 르네상스 인문주의적 전통 = 58
2. 자연주의적 전통 = 59
제3절 한국교육의 역사 = 62
1. 전통교육제도의 형성과 발달 = 62
2. 근ㆍ현대교육체제의 형성 = 73
제3장 교육철학 = 89
제1절 철학과 교육 = 91
1. 철학과 교육철학 = 91
2. 교육문제의 철학적 성격 = 96
3. 철학의 영역 및 기능 = 98
제2절 현대 교육철학 = 104
1. 현대 교육사조 = 104
2. 분석적 교육철학 = 114
3. 현대 자유교육론 = 117
제3절 교육철학의 연구 영역 = 120
1. 지식이론과 교육 = 120
2. 윤리학과 교육 = 124
3. 사회ㆍ정치철학과 교육 = 130
제4장 교육사회학 = 137
제1절 교육사회학 입문 = 139
1. 교육, 사회, 교육사회학 = 139
2. 교육사회학의 거시-구조적 접근 = 143
3. 교육사회학의 미시-해석적 접근 = 146
제2절 교육사회학의 연구 영역 = 149
1. 교육과 평등 = 149
2. 교육과 교육경쟁 = 152
3. 교육과정의 사회학 = 154
제3절 교육사회학의 실제 = 156
1. 청소년과 교육 = 156
2. 학교교육과 교육개혁 = 159
제5장 교육심리학 = 165
제1절 교육심리학의 기초 = 167
1. 교육심리학의 정의 = 167
2.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 169
3.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 172
제2절 교육심리학의 이론 = 175
1. 행동주의이론 = 175
2. 인지이론과 정보처리이론 = 177
3. 현상학적ㆍ인본주의적 접근방법 = 178
제3절 인간발달과 교육 = 179
1. 발달의 개념과 원리 = 179
2. 피아제의 인지발달 = 181
3.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 = 184
4.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 186
5.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 190
제6장 교육과정 = 195
제1절 교육과정의 의미와 유형 = 197
1. 교육과정의 의미 = 197
2. 교육과정의 유형 = 202
제2절 교육과정 개발 = 209
1.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와 원리 = 209
2.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 212
3. 교육과정 내용의 선정과 조직 = 214
제3절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 = 218
1. 해방 직후 과도기(1945∼1946) = 219
2. 교수요목기(1946∼1954) = 219
3. 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 220
4. 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3) = 221
5. 제3차 교육과정기(1973∼1981) = 221
6. 제4차 교육과정기(1981∼1987) = 222
7. 제5차 교육과정기(1987∼1992) = 223
8. 제6차 교육과정기(1992∼1997) = 224
9. 제7차 교육과정(1997∼ ) = 225
제7장 교육방법 = 229
제1절 교수와 학습 = 231
1. 교수-학습의 정의 = 231
2. 교수-학습의 과정 = 232
3. 교수-학습의 이론 = 234
제2절 교수방법 = 240
1. 대집단 교수 = 240
2. 개별학습 = 241
3. 협동학습 = 244
제3절 ICT 활용교육 = 250
1. 정보ㆍ의사소통ㆍ공학 = 251
2. ICT 활용수업 = 253
3. 교실에서의 ICT 활용수업 = 254
제8장 교육공학 = 259
제1절 교육공학의 이해 = 261
1. 교육공학의 정의 = 261
2. 교육공학의 연구 영역 = 263
3. 교육공학의 발달과정 = 269
제2절 교수매체 = 272
1. 교수매체의 개념과 기능 = 272
2. 교수매체의 종류 = 274
3. 교수매체의 선택 및 활용절차 = 277
제3절 컴퓨터와 교육 = 281
1.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 281
2. 멀티미디어 = 283
3. 원격교육 = 286
제9장 교육평가 = 291
제1절 교육평가의 기초 = 293
1. 교육평가 관련 개념 = 293
2. 교육평가의 정의와 목적 = 295
3. 교육평가의 유형 = 297
제2절 평가도구 = 302
1. 문항의 제작 = 302
2. 문항의 유형 = 304
3. 평가도구의 양호도 = 308
제3절 평가결과의 해석 = 315
1. 문항분석 = 315
2. 기술통계 = 317
3. 표준화된 점수 = 321
제10장 생활지도와 학교상담 = 327
제1절 생활지도와 학교상담의 이해 = 329
1. 생활지도와 학교상담의 개념 = 329
2. 생활지도와 학교상담의 발달과정 = 333
3. 우리나라의 생활지도와 학교상담의 발전방향 = 336
제2절 생활지도와 학교상담의 주요 활동 = 338
1. 학생조사활동 = 339
2. 정보제공활동 = 341
3. 진로교육활동 = 343
제3절 상담활동 = 348
1. 학교상담의 이론 = 348
2. 학교상담의 종류 = 352
3. 학생상담의 기법 = 355
제11장 교육행정 = 361
제1절 교육행정의 기초이론 = 363
1. 동기론 = 364
2. 지도성론 = 372
3, 조직론 = 382
제2절 교육행정의 실제 = 387
1. 학교제도 = 388
2. 장학 = 389
3. 교육재정 = 395
제3절 학교경영 및 학급경영 = 399
1. 학교경영 = 399
2. 학급경영 = 403
제12장 평생교육 = 405
제1절 평생교육의 이해 = 407
1. 평생교육의 등장배경 = 407
2. 평생교육의 의미 = 411
3. 평생교육의 전개동향 = 413
제2절 평생교육의 실제 = 419
1. 평생교육의 법적 제도화 = 419
2. 평생교육 진흥을 위한 제도적 기반 = 421
3. 대상별 평생교육의 실제 = 422
제3절 평생교육의 한계 및 과제 = 430
1. 소외계층에 대한 평생교육기회 확대 = 430
2. 다양한 학습 영역에 대한 인정 및 지원 강화 = 432
3. 평생교육의 질적 발전 도모 = 433
찾아보기 = 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