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162776 | |
005 | 20170511105948 | |
007 | ta | |
008 | 050408s2005 ulka b 001c kor | |
020 | ▼a 8959090034 ▼g 03400 | |
035 | ▼a KRIC09768953 001.4097496 | |
040 | ▼a 211059 ▼d 211009 ▼d 211010 ▼c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001.4/09749 ▼2 22 |
085 | ▼a 001.409749 ▼2 DDCK | |
090 | ▼a 001.409749 ▼b 2005 | |
100 | 1 | ▼a Regis, Edward, ▼d 1944- ▼0 AUTH(211009)81181 |
245 | 1 0 | ▼a 누가 아인슈타인의 연구실을 차지했을까? : ▼b 프린스턴 고등학술연구소의 천재 과학자들 / ▼d 에드 레지스 지음 ; ▼e 김동광, ▼e 박진희 옮김 |
246 | 1 9 | ▼a Who got Einstein's office? : ▼b eccentricity and genius at the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
260 | ▼a 서울 : ▼b 지호, ▼c 2005. | |
300 | ▼a [8], 426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407-416)과 색인수록 | |
650 | 0 | ▼a Research institutes ▼z New Jersey ▼z Princeton ▼x History |
650 | 0 | ▼a Research ▼z New Jersey ▼z Princeton ▼x History |
700 | 1 | ▼a 김동광, ▼e 역 ▼0 AUTH(211009)113345 |
700 | 1 | ▼a 박진희, ▼e 역 |
900 | 1 0 | ▼a 레지스, 에드,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409749 2005 | 등록번호 11131782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001.409749 2005 | 등록번호 1410435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 청구기호 001.409749 2005 | 등록번호 1113178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에드 레지스(지은이)
오랫동안 OMNI지에서 집필을 맡고 있는 사이언스 라이터이다. 어릴 때부터 동경해 온 위대한 과학자들과 만나기 위해 만든 이 책에는 과학에의 꿈과 동경으로 가득 채워져 있다. 그는 철학박사이자 파일럿 개인 면허를 보유할 정도로 비행기에 남다른 취미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메릴랜드 주에 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누가 아인슈타인의 연구실을 차지했을까?>, <나노>, <바이러스 그라운드 제로>, <메사에 대하여> 등이 있다.
김동광(옮긴이)
70년대에 대학에서 문학을 공부하다가 세월이 허락하지 않아 오랫동안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에 몸을 담았다. 90년대에 출판 기획집단 과학세대에 참여해서 과학책을 번역하면서 과학이 세상을 보는 중요한 통로라는 것을 깨달았다. 마흔이 넘어 대학원에 진학해 과학사회학을 공부했고, 과학기술 민주화를 추구하는 시민단체에도 관여했다. 여러 학교에서 20년 넘게 과학과 사회에 대한 주제로 강의하고, 책을 썼다. 지금은 은퇴해서 뜻이 맞는 동학들과 함께 공부하고, 호시탐탐 다시 문학으로 돌아갈 기회를 엿보고 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생명의 사회사―분자적 생명관의 수립에서 생명의 정치경제학까지』, 『불확실한 시대의 과학읽기(공저)』, 『과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 토마스 쿤』, 『사회생물학 대논쟁(공저)』, 『낯선 기술들과 함께 살아가기』, 옮긴 책으로는 『원더풀 라이프』, 『인간에 대한 오해』, 『언던 사이언스(공역)』 등이 있다.
박진희(옮긴이)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베를린 공과대학교에서 수학한 뒤 같은 학교에서 과학기술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와 국민대학교 사회과학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는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사)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소장, 한국과학기술학회 회장, 환경부 친환경에너지전환 자문위원,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서울시 원전하나 줄이기 실행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사)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이사장, 서울시 에너지정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녹색전환』(2020), Energy Transition in East Asia(2018), 『근대엔지니어의 성장』(2014), 『근대엔지니어의 탄생』(2013), 『환경운동과 생활세계』(2013), 『한국의 과학자 사회』(2010)를 함께 집필했고, 『역사학, 사회과학을 품다』(2015),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재생에너지』(2014), 『테크노페미니즘』(2009),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2004), 『생태적 경제기적』(2004)을 우리말로 옮겼다. 주요 논문으로 「녹색기술정책의 지속가능성」, 「독일과 한국의 재생에너지 정책 거버넌스 비교」, 「원자로 진흥에 속박된 원전의 안전」, 「재생에너지협동조합의 현황과 과제」, 「지구공학기술의 윤리적 쟁점들」, 「한국 여성 과학자의 ‘과학자 되기’에서 보이는 특징」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지은이의 말 = 4 한국어판 서문 = 7 프롤로그 : 학자들의 천국 = 13 Ⅰ. 우주의 성직자들 물리학의 교황 = 33 찬양받는 신비의 지배자 = 68 보라, 이 모양을 = 106 Ⅱ. 이단자들 유쾌한 자니 = 145 님-님-님 선생 = 183 Ⅲ. 통찰의 극한 거품 우주를 본다 = 231 빛을 들고 나아가다 = 267 진리란 무엇인가 = 304 Ⅳ. 생명, 우주, 만물 자연 자신의 소프트웨어 = 333 볼 수 없는 것을 넘어서 = 368 고등학술연구소는 지금 : 물리학의 혁명은 계속된다 = 397 옮긴이의 말 = 405 참고문헌 = 407 찾아보기 =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