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인터넷 미디어: 담론들의 '공론장' 인가 '논쟁의 게토'인가?

인터넷 미디어: 담론들의 '공론장' 인가 '논쟁의 게토'인가? (4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기형.
단체저자명
한국언론재단
서명 / 저자사항
인터넷 미디어: 담론들의 '공론장' 인가 '논쟁의 게토'인가? ; 이기형 연구.
발행사항
서울 :   한국언론재단,   2004.  
형태사항
100 p. : 삽도 ; 23 cm.
총서사항
연구서 ;2004-07
기타표제
Internet media in contemporary South Korea : 'public sphere's or sotes pf 'gjettprozed political discourses?'
ISBN
8957110682
서지주기
참고문헌수록
000 00000cam c2200205 a 4500
001 000045162428
005 20230321093548
007 ta
008 050407s2004 ulka 000a kor
020 ▼a 8957110682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070.40285 ▼2 22
090 ▼a 070.40285 ▼b 2004
100 1 ▼a 이기형. ▼0 AUTH(211009)89321
245 1 0 ▼a 인터넷 미디어: 담론들의 '공론장' 인가 '논쟁의 게토'인가? ; ▼e 이기형 연구.
246 0 3 ▼a Internet media in contemporary South Korea : 'public sphere's or sotes pf 'gjettprozed political discourses?'
260 ▼a 서울 : ▼b 한국언론재단, ▼c 2004.
300 ▼a 100 p. : ▼b 삽도 ; ▼c 23 cm.
490 0 0 ▼a 연구서 ; ▼v 2004-07
504 ▼a 참고문헌수록
710 ▼a 한국언론재단 ▼0 AUTH(211009)75594
830 0 ▼a 연구서(한국언론재단) ; ▼v 2004-07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40285 2004 등록번호 11130323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20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40285 2004 등록번호 1113032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070.40285 2004 등록번호 15117960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청구기호 070.40285 2004 등록번호 1511796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40285 2004 등록번호 11130323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20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40285 2004 등록번호 1113032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070.40285 2004 등록번호 15117960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청구기호 070.40285 2004 등록번호 1511796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제1장 한국 사회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여론과 정치담론의 출현 = 5
 1. 연구목적 = 5
 2. 인터넷 미디어의 변화국면 = 12
 3. 연구방법론 = 15
 4. 문제제기 = 17
제2장 인터넷 미디어와 공론장의 기능 = 19
 1 제도적 민주주의의 신장과 공론장의 활성화 = 19
 2. 인터뎃의 부상과 '넷파워': 네티즌의 자발적인 참여와 '표출적인 저널리즘'의 등장 = 21
 3. 인터넷과 담론들의 생성: '난장'과 공론장 이론의 변화 = 28
 4. 인터넷 공간과 '진보' vs '보수'의 정치: 한국 사회는 '시민혁명중'? = 30
 5. 인터넷 정치담론의 부상과 패러디 문화, 그리고 '디지털 포퓰리즘' 논의 = 34
 6. 인터넷의 약진과 보수세력의 대응 = 38
 7. 뜨거운 감자로서의 언론개혁을 둘러싼 갈등과 대립 = 43
 8. 서영석 사건과 정치웹진의 편향성 논쟁 = 48
 9. 국가 정체성의 정치학 = 52
제3장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인터넷 미디어 들여다보기 = 61
 1. 미디어 순례기 = 62
 2. 인터넷 매체의 의제설정 효과 = 65
 3. 온라인 신문 혹은 정치웹진의 기능 및 역할 = 68
 4. 정치웹진의 문제점 = 70
 5. 서영석 사건과 서프라이즈 = 72
 6. 인터넷 논객(성)과 온라인식 글쓰기 = 75
 7. 인터넷 매체의 '공론장'으로서의 가능성 = 81
제4장 결론: 정당성의 위기와 담론을 매개로 한 투쟁 = 87
참고문헌 = 92
〈부록〉 주요 인터넷 정치웹진과 인터넷 신문 사이트 = 96


관련분야 신착자료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 (2022)
김경모 (2022)
엄기영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