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호모 에코노미쿠스 시대의 교육: 교육과정과 학교에 대한 시장선택 논쟁

호모 에코노미쿠스 시대의 교육: 교육과정과 학교에 대한 시장선택 논쟁 (Loan 4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성열관
Title Statement
호모 에코노미쿠스 시대의 교육: 교육과정과 학교에 대한 시장선택 논쟁 / 성열관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문음사 ,   2004.  
Physical Medium
434 p. ; 23cm.
ISBN
898168373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523namccc200193 4500
001 000045160086
005 20100806125841
007 ta
008 050324s2004 ulk 000a kor
020 ▼a 8981683735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5 ▼2 22
090 ▼a 375 ▼b 2004b
100 1 ▼a 성열관 ▼0 AUTH(211009)53066
245 1 0 ▼a 호모 에코노미쿠스 시대의 교육: ▼b 교육과정과 학교에 대한 시장선택 논쟁 / ▼d 성열관 지음.
260 ▼a 서울 : ▼b 문음사 , ▼c 2004.
300 ▼a 434 p. ; ▼c 23cm.
504 ▼a 참고문헌 수록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04b Accession No. 1113135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04b Accession No. 11131359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성열관(지은이)

경희대학교 교수이며, 교육대학원장을 역임했다.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에서 교육과정 및 수업(Curriculum & Instruction)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표 저서로는 『호모 에코노미쿠스 시대의 교육』, 『혁신학교: 한국교육의 희망과 미래』(공저), 『국가와 공적 지식(The State and the Politics of Knowledge)』(공저)가 있으며, 역서로는 『미국 교육개혁, 옳은 길로 가고 있나』가 있다. 최근에는 여러 국제 학자들과 함께 『강한 국가와 교육과정 개혁(The Strong State and Curriculum Reform)』과 『국제 성취도평가 제도에 대한 관심을 이해하기(Understanding PISA’s Attractiveness)』 집필에 참여했다. 2008년 세계인명사전 『마르키스 후즈후(Marquis Who’s Who)』에 등재되었고, 2011년과 2017년에 한국교육학회에서 수여하는 운주논문상을 수상했다. 국내에서는 혁신학교, 교육과정 개혁, 평가 혁신 등 한국교육의 새로운 경로를 제시하는 많은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국제적으로는 ≪Curriculum Inquiry≫, ≪Comparative Education≫, ≪International Social Work≫ ≪Oxford Review of Education≫ 등 세계적으로 저명한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실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선택 담론 '수출국'의 이상과 현실
 제1장 시장형 교육개혁과 전통적 교육과정 = 15
  선택의 자유 = 17
  선택의 사회적 배경 = 26
  선택의 이론적 배경 = 30
  시장주도 교육개혁 = 34
  영국으로부터의 교훈 = 41
  정리하며 = 51
 제2장 시장경쟁과 학교선택 = 55
  들어가며 = 57
  관료주의인가, 민주적 통제인가? = 59
  시장만능론 = 63
  만병통치약(panacea) 은유 = 66
  권한이양의 실제 = 68
  바우처 : 부당한 오명인가? = 70
  또 하나의 학교선택론 = 73
  누진적 원리로 바우처를 주자 = 75
  정리하며 = 79
 제3장 마그넷스쿨의 성공, 시장효과인가? = 83
  동상이몽(同床異夢) = 85
  마그넷스쿨의 역사 및 유형 = 87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 센트럴파크이스트 중등학교 = 89
  과학적 행동주의 對 사회적 구성주의 = 98
  책무성 평가 對 형성적 평가 = 101
  시장효과 對 헌신성 = 105
  나가며 = 108
 제4장 양날의 칼, 차터스쿨 = 111
  허쉬의 차터스쿨 = 113
  4S 교육과정 = 120
  진보주의 차터스쿨 = 124
  차터스쿨의 탈규제 : 웨이버 = 128
  연방 차원의 밑그림 : 에드플렉스 = 131
  차터스쿨의 책임 : 학업성취 = 136
  차터스쿨법과 실제 = 140
  찬반논쟁 = 145
  정리하며 = 150
 제5장 바우처, 시장 - 인권 - 종교의 삼각법 = 155
  교육과정과 종교 = 157
  바우처와 종교 = 163
  법정에 선 바우처 : 종교의 꼭지점 = 165
  바우처의 환금성 = 171
  소비자 주권 : 시장의 꼭지점 = 172
  세련화된 선별기제 = 179
  가난 속의 바우처 : 인권의 꼭지점 = 181
  밀워키 실험의 교훈 = 183
 제6장 학교선택제도의 실제 = 189
  시장 對 개입 = 191
  개입에 대한 해석 = 193
  학교선택제의 유형 = 197
  학교선택제의 실제 = 204
  워싱톤 교육클리닉 = 205
  세인트루이스 선택제 = 206
  밀워키 선택제 = 208
  메사추세츠 선택제 = 209
  미네소타 선택제 = 212
  나가며 = 215
제2부 선택 담론 '수입국'의 맥락과 적합성
 제7장 학교선택과 문화자본 = 223
  학부모들이 "학교선택"을 지지하는가? = 225
  학부모들이 무엇을 선택하는가? = 229
  문화자본의 교훈 = 237
  사회자본의 교훈 : 콜맨의 번복 = 242
  자립형 사립학교에 주는 교훈 = 246
 제8장 능력별 교육과정과 학교효과의 실체 = 253
  제7차 교육과정이 신자유주의적인가? = 255
  참여적 교육과정 선택 = 261
  수준별 교육과정과 능력별 반편성 = 265
  학교선택효과 연구의 정치학 = 273
  첩과 모오 회귀방정식의 오류 = 277
  미네소타 선택제의 교훈 = 279
  학교간 경쟁 = 285
  학교효과의 의미 = 291
  특정 학교 선택의 이유 = 293
  정리하며 = 299
 제9장 학교선택의 윤리적 긴장과 능력공개념 = 307
  공교육의 이념 = 309
  교육의 이중성 = 314
  자유와 선택 = 316
  노직의 소유권리론(entitlement theory) = 319
  논증의 모순 = 326
  자유(liberty) = 332
  선택(choice) = 333
  능력주의의 윤리성 검토 = 338
  공리주의 비판 = 341
  차등의 원리 = 345
  윤리적 긴장 = 352
  학교선택제에서 국가의 역할 = 355
  능력공개념을 향하여 = 357
 제10장 집합적 행위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 = 363
  구조와 행위 = 365
  호모 에코노미쿠스 = 367
  경제적 합리성과 의도적 합리성 = 372
  첩과 모오 제안서의 한국적 적합성 = 379
  집합적 행위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 = 384
참고문헌 = 403
부록 = 41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