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72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160075 | |
005 | 20100806125824 | |
007 | ta | |
008 | 050124s2004 ulka 001a kor | |
020 | ▼a 8988336372 | |
020 | 1 | ▼a 8988336321(전26권) |
035 | ▼a KRIC09673063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4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270.1 ▼2 22 |
090 | ▼a 270.1 ▼b 2004 | |
100 | 1 | ▼a Brown, Peter. |
245 | 0 0 | ▼a 기독교 세계의 등장 / ▼d 피터 브라운 지음 ; ▼e 이종경 옮김. |
246 | 1 9 | ▼a (The) rise of West Christendom |
260 | ▼a 서울 : ▼b 새물결 , ▼c 2004. | |
300 | ▼a 520 p. : ▼b 삽도 ; ▼c 22 cm. | |
440 | 0 0 | ▼a 유럽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 ▼v 05 |
504 | ▼a 참고문헌(p. 476-480)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이종경.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270.1 2004 | Accession No. 1113136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270.1 2004 | Accession No. 11131363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유럽 5개 언어권을 대표하는 다섯 개 명문 출판사 (파이의 르 쇠유, 뮌헨의 벡, 옥스퍼드의 바질 블랙웰, 바르셀로나의 크리티카, 로마의 라테르차)가 공동 기획하여 펴내는 '유럽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시리즈의 다섯 번째 권. 서구 중심적인 역사서술에서 벗어나 균형잡힌 시각으로 유럽 형성사를 서술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전세계 15개 국어로 번역된 바 있는 기획이다.
312년 콘스탄티누스의 개종부터 1000년 아일랜드에 기독교가 정착하기까지의 과정을 문명의 교류와 확장에 초점을 맞춰 서술했다. '로마제국', '기독교' 중심의 시각에서 벗어나 페르시아 제국의 성장과 이슬람의 성립, 동로마 제국의 비잔틴 문명으로 시선을 넓혀, 제국과 제국, 문명과 문명이 만나 영향을 주고 받는 모습을 역동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이 특징이다.
방대한 사료을 동원하고, 콥트어, 시리아어, 아르메니아어, 그루지아어, 소그드어, 터키어, 중국어 등을 넘나들며, 역사, 철학, 종교, 문화 등 다양한 측면을 아울러 서술했다. 이른바 '후기 고대' 분야의 개척자로 평가받는 지은이의 진가를 확인할 기회가 될 책.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피터 브라운(지은이)
1935년 아일랜드의 더블린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근대사를 공부하였다. 1966년(31세)에 옥스퍼드 대학교의 근대사 교수로 시작하여, 런던 대학교, U. C. 버클리 대학교 교수를 거쳐 1986년(51세)부터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가르쳤다. 브라운 교수는 초기에 프랑스 사료학파의 영향을 받아 인류학과 사회학을 역사적 분석의 도구로 삼아, ‘문화와 종교’를 사회현상이나 역사적 변천과 변혁의 일부분으로 해석하였다. 그 후 『고대 후기의 세계(The World of Late Antiquity)』(1971)라는 책에서 주후 3세기에서 8세기까지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이 시기는 에드워드 기번이『로마제국 쇠망사』(1779)를 쓴 이후에, 고대 문명의 황금기를 벗어나서 쇠퇴하는 시대로 해석되었다. 하지만 브라운 교수는 이 시기를 ‘거대한 문명의 혁신’이라는 긍정적인 입장에서 보도록 제안한다. 2012년 최근 그의 연구는 로마제국의 후기와 유럽 중세 초기의 종교적 문화와 종교적 변혁에 집중되어 있다. 그는『성인숭배(Cult of the Saints)』(1981)를 통하여 로마제국의 후기와 비잔틴 문명의 초기 시대에 기독교 금욕주의자인 성인들이 지역사회와 신의 중개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주장하였다.
이종경(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생활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오스틴 소재 텍사스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서양사 강의』(공저), 『서양 중세사 강의』(공저)가 있으며 역서로 『중세 이야기』, 『메로빙거 세계』, 『민족의 신화, 그 위험한 유산』, 『서유럽 기독교의 등장』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총서 편집자 서문 = 5 한국어 판을 펴내며 = 7 서문 = 13 제1부. 제국과 그 이후 : AD 200~500 제1장. 여러 나라의 법률 = 23 제2장. 기독교와 로마제국 = 43 제3장. 템포라 크리스티아나 : 기독교의 시대 = 65 제4장. 성인의 덕행, 민족의 도살 : 험난한 세상과 성인의 보호 = 93 제5장. 변경 지역 : 노리쿰, 아일랜드, 프랑키아 = 125 제2부. 다양한 유산 : AD 500~750 제6장. 존숭과 촌스러움 : 아를의 카이사리우스에서 투르의 그레고리우스로 = 151 제7장. 주교, 도시 그리고 사막 : 동로마제국 = 175 제8장. 영혼의 처방 : 그레고리우스 교황 = 205 제9장. 참회의 약 : 콜롬바누스 = 227 제10장. 아시아에서의 기독교 = 255 제11장. 왕국들의 흥망성쇠 : 이슬람 하의 기독교인들 = 279 제12장. 북방의 기독교 : 아일랜드와 색슨 브리튼 = 299 제13장. 마이크로 기독교 세계 = 327 제3부. 고대 세계의 종말 : AD 750~1000 제14장. 이미지의 위기 : 비잔티움의 성상파괴논쟁 = 355 제15장. 변경의 닫힘 : 프리지아와 통일 = 383 제16장. 기독교도 신민을 통치하기 : 샤를마뉴 = 413 제17장. 아주 먼 옛날에 : 북유럽 기독교와 그 과거 = 445 참고문헌 = 476 연표 = 481 주 = 489 옮긴이 후기 = 510 찾아보기 = 514 지도 목록 지도1 : 중앙 유럽과 그 주변 = 17 지도2 : 갈리아, 이탈리아, 스페인 그리고 북아프리카, AD 200∼700 = 18 지도3 : 영국 제도 = 19 지도4 : 동방 기독교 세계 =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