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 1
1. 심리학의 범위 = 3
중간 요약 = 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
2. 심리학의 역사적 기원 = 5
선천-후천 논쟁 = 5
과학적 심리학의 대두 = 6
구성주의와 기능주의 = 6
행동주의 = 6
형태심리학 = 7
정신분석학 = 8
20세기 중반의 심리학 = 8
중간 요약 = 8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9
3. 현대심리학의 관점들 = 9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생물학적 관점 = 9
행동주의적 관점 = 10
인지주의적 관점 = 11
정신분석적 관점 = 11
주관주의적 관점 = 12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심리학적 관점과 생물학적 관점의 관계 = 13
심리학의 주요 하위 영역 = 13
중간 요약 = 15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6
4. 심리학의 연구방법 = 16
가설의 생성 = 16
실험 = 16
상관 = 17
관찰 = 19
문헌개관 = 20
심리학 연구의 윤리 = 20
중간 요약 = 21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4
2 심리학의 생물적 기초 = 28
1. 뉴런, 신경계의 형성단위 = 30
활동전위 = 31
시냅스 전달 = 33
중간 요약 = 3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4
2. 신경전달물질 = 34
중간 요약 = 35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5
3. 신경계의 체제 = 36
신경계의 구분 = 36
뇌의 조직화 = 36
중심핵 = 36
변연계 = 39
대뇌 = 39
살아 있는 뇌의 모습 = 42
뇌의 비대칭성 = 44
언어와 뇌 = 46
자율신경계 = 47
중간 요약 = 47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7
4. 내분비체계 = 49
중간 요약 = 50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0
5. 진화, 유전자 및 행동 = 50
행동의 진화 50
염색체와 유전자 = 51
행동의 유전적 연구 = 52
중간 요약 = 56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6
3 심리 발달 = 60
1. 유전 대 환경 = 62
발달의 단계 = 64
중간 요약 = 6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65
2. 신생아의 능력 = 65
시각 = 65
청각 = 66
미각과 후각 = 66
학습과 기억 = 67
중간 요약 = 68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69
3. 아동기의 인지발달 = 69
피아제의 단계 이론 = 70
피아제 이론에 대한 비판 = 73
피아제 이론에 대한 대안 = 74
마음 이론 = 76
도덕판단의 발달 = 78
중간 요약 = 79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80
4. 성격과 사회성 발달 = 80
기질 = 80
초기의 사회행동 = 81
애착 = 83
양육방식 = 84
후기 발달 = 85
탁아의 효과 = 85
성 정체감과 성 유형화 = 86
중간 요약 = 89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89
5. 청소년 발달 = 90
중간 요약 = 9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95
4 감각 과정 = 98
1. 감각양상의 특징 = 100
민감도 = 100
신호탐지이론 = 102
감각부호화 = 104
중간 요약 = 106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06
2. 시각 = 107
빛과 시각 = 107
시각체계 = 107
빛의 감지 = 109
패턴의 감지 = 110
색채의 감지 = 111
중간 요약 = 116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16
3. 청각 = 116
음파 = 116
청각체계 = 117
소리의 강도 = 118
소리의 높이 = 119
중간 요약 = 122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22
4. 다른 감각들 = 122
후각 = 122
미각 = 124
압각과 온각 = 125
통각 = 126
중간 요약 = 127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30
5 지각 = 134
1. 지각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 136
중간 요약 = 137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37
2. 주의 = 137
선택적 주의 = 138
청각적 주의 = 139
주의, 지각, 그리고 기억 = 139
중간 요약 = 139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40
3. 위치파악 = 140
대상의 분리 = 141
거리의 지각 = 142
운동지각 = 145
중간 요약 = 147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47
4. 재인 = 147
결합문제:전주의적 과정과 주의과정 = 148
대상의 파악 = 149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149
재인의 후기단계 : 네트워크 모형 = 150
자연물의 재인과 하향처리 = 152
재인의 실패 = 155
중간 요약 = 156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56
5. 추상화 = 156
중간 요약 = 158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59
6. 지각항등성 = 159
색채항등성과 밝기항등성 = 159
형태항등성 = 160
크기항등성 = 160
착각 = 161
다른 감각양상에서의 항등성 = 163
중간 요약 = 163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63
7.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뇌에서 일어나는 분업 = 163
주의의 신경과학적 기반 = 164
시각피질 = 165
재인 체계와 위치파악 체계 = 166
중간 요약 = 167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67
8. 지각 발달 = 167
유아의 변별능력 = 167
통제된 자극부여 = 169
중간 요약 = 173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73
6 의식 = 176
1. 의식의 측면 = 178
의식 = 178
전의식 기억 = 179
무의식 = 179
자동성과 해리 = 180
중간 요약 = 180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81
2. 수면과 꿈 = 181
행동의 신경학적 기반 : 수면 단계 = 181
수면이론 = 183
수면 장애 = 184
꿈 = 185
꿈의 이론 = 187
중간 요약 = 188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88
3. 명상 = 188
중간 요약 = 189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89
4. 최면 = 190
최면의 유도 = 190
최면성 암시 = 191
숨은 관찰자 = 192
중간 요약 = 193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193
5. 향정신성 약물 = 193
진정제 = 195
아편제 = 198
흥분제 = 200
환각제 = 201
대마 = 202
중간 요약 = 203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03
6. 초심리현상 = 203
실험적 증거 = 204
승리에 대한 논쟁 = 204
일화적인 증거 = 206
중간 요약 = 207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07
7 학습과 조건형성 = 212
1. 학습에 대한 조망 = 214
중간 요약 = 21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14
2. 고전적 조건형성 = 214
파블로프 실험 = 215
현상과 적용 = 215
조건반응의 획득과 소거 = 216
예언가능성과 인지적 요인 = 218
생물학적 제약 = 219
중간 요약 = 220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20
3. 도구적 조건형성 = 221
효과의 법칙 = 221
스키너의 실험 = 221
현상과 적용 = 223
혐오적 조건형성 = 226
통제와 인지적 요인 = 227
생물학적 제약 = 228
중간 요약 = 228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29
4. 복합학습 = 229
인지도와 추상개념 = 229
통찰학습 = 230
사전 신념 = 231
중간 요약 = 233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33
5.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학습과 조건형성 = 233
습관화와 민감화 = 233
고전적 조건형성 = 233
학습의 세포학적 토대 = 238
중간 요약 = 238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38
8 기억 = 242
1. 세 가지 중요한 구분 = 244
기억의 세 단계 = 244
세 가지 기억저장소 = 244
서로 다른 유형의 정보에 대한 서로 다른 기억 = 245
중간 요약 = 245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45
2. 감각기억 = 246
스펄링의 실험 : 부분보고 실험 = 246
시각적 지속 : 시간적 통합 실험 = 247
부분보고, 시각적 지속, 그리고 통합이론 = 247
중간 요약 = 248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48
3. 작업기억 = 248
부호화 = 248
저장 = 250
인출 = 251
작업기억과 사고 = 252
작업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의 전이 = 253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작업기억과 장기기억의 뇌 활동 영역 = 254
중간 요약 = 25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55
4. 장기기억 = 255
부호화 = 255
인출 = 256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망각-저장된 정보의 상실 = 258
부호화와 인출 사이의 상호작용 = 259
망각에서 정서적 요인 = 260
중간 요약 = 261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62
5. 암묵기억 = 262
기억상실증 환자의 기억 = 262
기억시스템의 다양성 = 265
정상인의 암묵기억 = 265
중간 요약 = 266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66
6. 구성기억 = 266
피아제의 아동기 기억 = 266
기억 부호화에서 구성적 과정 = 267
사건후 기억 재구성 = 268
구성적 기억과 법체계 = 270
중간 요약 = 272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73
7. 기억 증진 = 273
청크만들기와 기억폭 = 273
심상과 부호화 = 274
정교화와 부호화 = 274
맥락과 인출 = 275
체제화 = 275
인출 연습하기 = 278
중간 요약 = 279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79
9 언어와 사고 = 282
1. 언어와 의사소통 = 284
언어의 수준 = 284
언어단위와 처리과정 = 284
이해와 산출에서 맥락효과 = 286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언어 = 287
중간 요약 = 288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89
2. 언어발달 = 289
무엇이 획득되는가? = 289
학습과정 = 290
생득적 요인 = 291
중간 요약 = 29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294
3. 개념과 범주화 : 사고의 기본단위 = 294
개념의 기능 = 294
원형 = 295
개념의 위계 = 297
상이한 범주화 과정 = 297
개념의 획득 = 298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개념과 범주화 = 299
중간 요약 = 301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01
4. 추리 = 301
연역추리 = 301
귀납추리 = 302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추리 = 305
중간 요약 = 306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06
5. 심상적 사고 = 306
심상 조작 = 307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심상 = 308
중간 요약 = 309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09
6. 행위 속의 사고 : 문제해결 = 309
문제해결 전략 = 309
문제 표상 = 310
전문가 대 초보자 = 311
중간 요약 = 313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13
10 동기 = 318
1. 보상과 유인동기 = 320
약물중독과 보상 = 321
중간 요약 = 32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24
2. 항상성과 추동 = 324
체온과 항상성 = 324
항상성 과정으로서 갈증 = 325
중간 요약 = 326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26
3. 배고픔 = 326
항상성과 유인 사이의 상호작용 = 327
생리적 배고픔 단서 = 328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배고픔 신호의 통합 = 328
비만 = 330
식욕부진과 폭식 = 333
중간 요약 = 336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36
4. 성별과 성욕 = 336
초기의 성적 발달 = 336
호르몬 대 환경 = 337
성인의 성욕 = 338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340
성적 지향 = 342
중간 요약 = 346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46
11 정서 = 350
1. 정서의 요소 = 352
중간 요약 = 353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53
2. 인지평가와 정서 = 353
평가의 발견 = 354
평가의 주제와 차원 = 355
의식적 및 무의식적 평가 = 356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뇌에서 평가 = 357
중간 요약 = 357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57
3. 주관적 경험과 정서 = 357
사고와 행동 경향성 = 358
감정은 주의와 학습을 수정한다 = 358
감정은 평가와 판단을 수정한다 = 359
중간 요약 = 362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62
4. 신체변화와 정서 = 362
정서의 강도 = 363
정서의 분화 = 363
중간 요약 = 366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66
5. 얼굴표정과 정서 = 366
얼굴표정을 통한 정서의 의사전달 = 366
안면 피드백 가설 = 367
중간 요약 = 368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68
6. 정서에 대한 반응 : 정서조절 = 368
중간 요약 = 370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70
7. 정서, 성별 및 문화 = 370
성별차이 = 370
문화차이 = 372
중간 요약 = 373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73
8. 공격성 = 373
추동으로서 공격성 = 373
학습된 반응으로서 공격성 = 375
공격성의 표현과 카타르시스 = 376
중간 요약 = 381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81
12 지능 = 384
1. 지적 능력의 측정 = 386
신뢰도 = 386
타당도 = 386
초기 지능 검사 = 387
스탠포드-비네 지능 검사 = 387
웩슬러 지능 검사 = 389
집단 능력 검사 = 390
요인분석 접근 = 390
문화에 대한 고려 = 391
중간 요약 = 392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93
2. 현대의 지능 이론 = 393
가드너의 다중 지능 이론 = 393
앤더슨의 지능 이론과 인지 발달 = 394
스턴버그의 삼원 이론 = 395
세시의 생물생태학 이론 = 396
지능 이론들간의 비교 = 397
지능에 대한 횡문화적 조망 = 398
중간 요약 = 399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399
3. 유전과 지능 = 399
유전성 = 400
중간 요약 = 40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04
13 성격 = 408
1. 성격의 평가 = 410
성격검사 = 411
중간 요약 = 41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14
2. 정신분석학적 접근 = 414
성격의 구조 = 415
성격의 역동 = 415
성격 발달 = 418
프로이트 이론의 수정 = 418
투사 검사 = 420
투사검사의 문제점 = 421
인간 본질에 관한 정식분석학적 시각 = 421
정신분석학적 접근의 평가 = 422
중간 요약 = 423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23
3. 행동주의적 접근 = 423
사회학습과 조건형성 = 423
인간 행동에 관한 행동주의적 시각 = 424
행동주의적 접근의 평가 = 424
중간 요약 = 425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25
4. 인지적 접근 = 425
사회학습 이론 = 425
켈리의 개인적 구성개념 이론 = 426
자기-도식 = 427
인지적 접근의 평가 = 428
중간 요약 = 429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29
5. 인본주의적 접근 = 429
칼 로저스 = 429
아브라함 매슬로 = 431
인간 본질에 관한 인본주의적 시각 = 431
인본주의적 접근의 평가 = 432
중간 요약 = 433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33
6. 진화론적 접근 = 433
인간 본질에 관한 진화론적 시각 = 434
진화론적 접근의 평가 = 434
중간 요약 = 435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35
7. 성격의 유전학 = 435
성격과 환경간의 상호작용 = 435
중간 요약 = 440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41
14 스트레스, 건강 및 대처 = 444
1. 스트레스 상황의 특징 = 446
정신적 외상 사건 = 446
통제가능성 = 447
예측가능성 = 447
삶의 큰 변화 = 448
내적 갈등 = 449
중간 요약 = 449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50
2.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 반응 = 450
불안 = 450
분노와 공격성 = 452
무감정과 우울 = 453
인지 손상 = 453
중간 요약 = 453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53
3. 행동의 신경생물학적 기반 :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 = 454
투쟁 또는 도피 반응 = 454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생리학 = 455
스트레스는 어떻게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가 = 456
중간 요약 = 460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60
4. 심리적 요인과 스트레스 반응 = 460
정신분석학적 이론 = 460
행동주의적 이론 = 461
인지 이론 = 461
A 유형 행동 양식 = 463
중간 요약 = 46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65
5. 대처 방법 = 465
문제 중심형 대처 = 465
정서 중심형 대처 = 465
중간 요약 = 467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67
6. 스트레스 관리법 = 467
행동적 기법 = 467
인지적 기법 = 469
A 유형 행동 완화 = 472
중간 요약 = 472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72
15 심리장애 = 476
1. 이상과 정상 = 478
문화적 규준으로부터의 일탈 = 478
통계적 규준으로부터의 일탈 = 478
행동상의 부적응 = 478
사적 고민 = 478
무엇이 정상인가? = 479
이상행동의 분류 = 479
정신장애에 대한 조망들 = 481
중간 요약 = 483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83
2. 불안장애 = 483
공황장애 = 484
공황장애와 광장공포증의 이해 = 485
공포증 = 487
공포증의 이해 = 488
강박장애 = 488
강박장애의 이해 = 489
중간 요약 = 491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91
3. 기분장애 = 491
우울증 = 491
양극성 장애 = 493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493
중간 요약 = 498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498
4. 정신분열병 = 499
정신분열병의 특징 = 499
운동 증상과 현실로부터의 철수 = 501
문화와 정신분열병의 진행추이 = 502
정신분열병의 이해 = 502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502
중간 요약 = 505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05
5. 성격장애 = 506
반사회 성격장애 = 506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반 = 507
병적 성격장애 = 508
병적 성격장애의 이해 = 509
중간 요약 = 510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10
6. 정체해리장애 = 510
중간 요약 = 512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12
7. 합법적 방어책으로서의 정신이상 = 512
중간 요약 = 513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13
16 심리장애의 치료 = 518
1. 역사적 배경 = 520
초기 정신병원 = 520
현대 치료시설 = 521
심리치료 전문가 = 523
중간 요약 = 523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24
2. 심리치료 기법 = 524
정신역동치료 = 524
행동치료 = 525
인지-행동치료 = 528
인본치료 = 531
사회문화적 접근 = 532
절충적 접근 = 535
아동 치료에서의 특별 쟁점 = 536
심리치료의 효과성 = 537
심리치료의 공통 요인들 = 538
중간 요약 = 539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40
3. 행동의 신경과학적 기초 : 생물학적 치료 = 540
심리치료 약물 = 540
전기경련치료 = 543
생물학적 치료와 심리학적 치료의 조합 = 544
중간 요약 = 54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45
4. 문화와 성이 치료에 미치는 효과 = 545
중간 요약 = 546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46
5. 정신건강의 증진 = 546
중간 요약 = 547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47
17 사회영향 = 552
1. 타인이 존재함의 효과 = 554
사회촉진 및 사회억제 = 554
몰개성화 = 556
방관자 효과 = 558
중간 요약 = 561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61
2. 응종 및 복종 = 561
다수집단에의 동조 = 561
소수집단의 영향 = 564
권위에의 복종 = 566
중간 요약 = 573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73
3. 내면화 = 573
자기정당화 = 573
참조집단과 동일시 = 578
중간 요약 = 579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80
4. 집단 상호작용 = 580
조직규범 = 580
집단의사결정 = 581
중간 요약 = 585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85
요점 재정리 : 불가사의한 현상들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견해 = 585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588
18 사회인지 = 582
1. 인상형성 = 594
고정관념 = 594
개인화 = 600
귀인 = 602
중간 요약 = 60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605
2. 태도 = 605
설득적 의사소통 = 605
태도와 행동 = 609
중간 요약 = 611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611
3. 대인매력 = 611
호감과 매력 = 611
사랑하기와 짝짓기 = 615
중간 요약 = 619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619
요점 재정리 : 사회인지의 두 가지 양식에 관한 이야기 = 619
비판적 사고를 위한 물음 = 619
첨단연구
1장 21세기 심리학 = 14
2장 새로운 뇌를 성장시키기 = 42
3장 발달취약 아이를 위한 마사지 치료 = 68
4장 인공 귀와 인공 눈 = 120
5장 가상현실에 의한 주의분산이 심각한 통증을 경감시킨다 = 140
6장 흡연 유전자의 발견 = 196
7장 똑똑한 두뇌 만들기 = 234
8장 기억상실의 약초 치료? = 264
9장 의사결정과 두뇌 = 304
10장 원하기 대 좋아하기 = 322
11장 정적 정서의 이점 = 360
12장 정서 지능 = 396
13장 약물로 성격을 바꿀 수 있는가? = 436
14장 종교는 건강에 유익한가? = 468
15장 자살의 생물학 = 496
16장 약초로 정신장애의 치료가 가능한가? = 542
17장 방관자 모두의 무지 및 대학가 음주 = 564
18장 문화와 인지 = 606
찬반논쟁
1장 우리는 본래 이기적인가? = 22
우리는 본래 이기적이다 / George C. Williams[State University of New York, Stony Brook]
우리는 본래 이기적이지 않다 / Frans B. M. de Waal[Emory University]
2장 공격적 행동은 생물학적 또는 환경적 기초를 갖는가? = 54
공격적 행동은 생물학적 기초를 가질 수 있다 / L. Rowell Huesmann[University of Michigan]
공격적 행동은 환경에 기초를 둘 수 있다 / Russel Geen[University of Missorui]
3장 부모는 아동 발달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 92
부모는 자녀의 성격이나 지능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Judith Rich Harris[심리학자, 작가(환경론적 입장)]
부모는 자녀의 발달에 도구가 된다 / Jerome Kagan[Harvard University]
4장 만성통증의 치료에 아편제를 사용해야 하는가? = 128
아편제는 적절한 치료방법이다 / Robert N. Jamison[Harvard Medical School]
아편제는 적절한 치료방법이 아니다 / Dennis C. Turk[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Medicine]
5장 지각발달은 선천적 과정인가 사회적 과정인가 = 170
지각발달은 선천적 과정이다 / Elizabeth S. Spelke[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지각발달은 습득된 과정이다 / Mark Johnson[University of London]
6장 초심리는 실재할까? = 280
초심리 현상에 대한 회의는 주로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 Daryl Bem[Cornell University]
초심리와 머피의 법칙? / Ray Hyman[Professor Emeritus, University of Oregon]
7장 공포증은 조건형성 되는가 아니면 생득적인가? = 236
조건형성이 기존 공포에 민감하게 만든다 / N. J. Mackintosh[University of Cambridge]
공포증은 생득적 방어기제이다 / Michael S. Fanselow[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8장 억압기억은 타당한 것인가? = 276
억압된 기억은 위험한 신념이다 / Elizabeth F. Loftus[University of Washington]
억압된 기억은 타당할 수 있다 / Kathy Pezdek[Claremont Graudate University]
9장 언어가 사고를 주도하는가 아니면 사고가 언어를 주도하는가? = 314
어떻게 언어가 사고를 주도할 수 있는가? / Dan I. Slobin[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어떻게 사고가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가? / Eleanor Rosch[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0장 성적 지향은 선천적인가 또는 사회적으로 결정되는가? = 344
성적 정체성은 선천적일 수 있다 / J. Michael Bailey[Northwestern University]
성적 지향은 사회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 Daryl J. Bem[Cornell University]
11장 정서의 배후구조는 무엇인가? = 378
정서의 차원적 조직화 / Peter J. Lang[University of Floroda]
불연속적 정서에 대한 주장 / Robert W. Levenson[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2장 지능검사는 정확하게 적성을 반영하는가? = 402
SAT와 GRE는 지능의 정확한 측정치이다 / Douglas K. Detterman[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IQ, SAT, 그리고 GRE는 일반 지능의 측정치가 아니다 / Stephen J. Ceci[Cornell University]
13장 프로이트가 심리학에 미친 영향은 아직도 살아있는가? = 438
프로이트가 심리학에 미친 영향은 아직도 살아 움직인다 / Joel Weinberger[Adelphi University]
프로이트는 심리학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 / John F. Kihlstrom[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4장 비현실적인 낙관주의는 건강에 이로울까? = 470
비현실적인 낙관주의는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 Neil D. Weinstein[Rutgers University]
비현실적인 낙관주의는 건강에 이롭다 / Shelley E. Talor[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5장 주의결핍/과활동장애(ADHD)의 진단은 남발되고 있는가? = 514
ADHD의 진단이 남발되고 있다 / Caryn L. Carlson[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DHD의 진단과 치료는 남발되고 있지 않다 / William Pelham[SUNY Buffalo]
16장 알코올중독자재활협회(AA)는 알코올 남용 방지에 효과적인 개입이 되는가? = 548
AA는 문제가 있는 음주자에게 도움이 된다 / Keith Humphreys[Stanford University, Veterans Affairs Affairs Palo Alto Health Care System]
AA가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 / G. Alan Marlatt[University of Washington]
17장 차별철폐조치의 효과는 긍정적인 것인가? 부정적인 것인가? = 586
부정적이라고 보는 측 / Madeline E. Heilman[New York University]
긍정적이라고 보는 측 / Faye J. Crosby[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lara]
18장 짝 선택에서의 성차는 주로 진화에 기인한 것인가 사회학습에 기인한 것인가? = 620
짝 선호에서의 성차의 기원이 진화에 있다는 입장 / David M. Buss[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짝선택에 미치는 사회학습과 사회역할의 영향 / Janet S. Hyde[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