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韓國史: 분류사 및 기출문제 분해

韓國史: 분류사 및 기출문제 분해 (1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희천
서명 / 저자사항
韓國史: 분류사 및 기출문제 분해 / 李熙天 著.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   2004.  
형태사항
xxiv,1271 p. : 삽도 ; 26 cm.
ISBN
8910950110
서지주기
참고문헌:p.1270-1271
000 00536namccc200193 k 4500
001 000045158568
005 20100806123904
007 ta
008 050316s2004 ulka 000a kor
020 ▼a 8910950110 ▼g 93910: ▼c \36,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82 0 4 ▼a 951.90076 ▼2 22
090 ▼a 953.0076 ▼b 2004
100 1 ▼a 이희천
245 1 0 ▼a 韓國史: ▼b 분류사 및 기출문제 분해 / ▼d 李熙天 著.
260 ▼a 서울 : ▼b 博英社 , ▼c 2004.
300 ▼a xxiv,1271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p.1270-1271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953.0076 2004 등록번호 1511730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보존서고/ 청구기호 953.0076 2004 등록번호 1511730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희천(지은이)

1960년 경북 의성군에서 태어났다. 1979년 경북대 법과대를 입학했는데, 그해 말 10·26사태를 겪었다. 1985년 말 입대할 때까지 학교생활을 했기 때문에 1980년대 대학가 상황을 관찰할 수 있었다. 1990년부터의 국가정보기관 경험과 2000년부터 17년간 국가정보대학원 정신교육 담당 교수로서 국가관, 역사관 등을 연구, 강의하면서 축적한 이해와 자료가 이 책을 쓰는 바탕이 되었다. 특히 1997년부터 몇 권의 한국사 책을 쓴 경험과 자료가 큰 도움이 되었다. 2008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학 박사과정에서 한국정치사분야 전문가인 양동안 교수님을 만난 것이 반체제세력을 집중 탐색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2008년 5월 광우병 촛불시위를 계기로 배후의 반체제세력 실체를 파헤친 『반대세의 비밀, 그 일그러진 초상』을 출간했는데, 이 책의 출발점이다. 2016년 퇴직한 후 박근혜 대통령 탄핵과 문재인 정권의 집권기를 통해 자유민주주의체제가 허물어지는 실상을 생생한 목격했다. 이러한 14여 년의 자료, 연구, 저술, 강의 경험이 이 책으로 결실을 맺은 것이다. 현재 주민자치법반대연대 대표, 자유수호포럼 공동대표, 구국제자훈련원 원장 등을 역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분류한국사』(성민사, 2001), 『한국사』(박영사, 2004), 『반대세의 비밀, 그 일그러진 초상』(인영사, 2009), 『6·25동란과 트로이목마』(인영사, 2010), 『교양분류한국사』(인영사, 2011), 『박정희 대통령 100대 치적』(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공저, 2018), 『종북세력과 위기의 대한민국』(대추나무, 2019), 『주민자치기본법, 공산화의 길목』(대추나무, 2021)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민족·국가형성사
 제1장 민족형성사
  제1절 구석기시대 = 3
   Ⅰ.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개관 = 3
   Ⅱ. 한반도 구석기시대 유적지 및 발굴유물 분석 = 5
   Ⅲ. 만주지역의 구석기유적지 = 8
   Ⅳ. 구석기인의 생활 = 8
  제2절 중석기시대 = 10
  제3절 신석기시대 = 11
   Ⅰ. 의의(5대 문화권의 형성시작) = 11
   Ⅱ. 유물·유적 기준 신석기시대 분석 = 11
  제4절 청동기시대 = 22
   Ⅰ. 청동기시대 개관 = 22
   Ⅱ. 청동기시대의 구분과 사회·문화 주체 = 23
   Ⅲ. 청동기시대의 유물 = 24
   Ⅳ. 청동기시대 특징 = 28
  제5절 철기시대 = 37
   Ⅰ. 철기문화의 시대구분 = 37
   Ⅱ. 철기문화의 전래 및 확산 과정 = 38
   Ⅲ. 철기시대의 유물 = 39
   Ⅳ. 철기시대의 특징 = 42
 제2장 국가형성사
  제1절 국가형성단계 = 47
   Ⅰ. 국가형성 이전 사회 : 씨족·부족사회 = 47
   Ⅱ. 군장국가(부족국가·성읍국가) = 48
   Ⅲ. 연맹왕국(연맹체왕국·부족연맹체·초기국가·부족국가) = 49
   Ⅳ. 고대국가 = 51
  제2절 각 연맹왕국 = 52
   Ⅰ. 고조선 = 52
   Ⅱ. 부여 = 68
   Ⅲ. 고구려 = 73
   Ⅳ. 옥저와 동예 = 76
   Ⅴ. 삼한 = 79
   Ⅵ. 백제·사로·가야(삼한의 변화) = 86
제2편 고대국가(삼국·통일신라)
 제1장 서론
  [1] 고대국가 개관 = 97
  [2] 고대국가의 특징 = 99
 제2장 고대 왕조사
  제1절 고구려 왕조사 = 102
   제1. 1·2세기 = 102
    6대 태조왕(53-146) = 102
    9대 고국천왕(179-197, 2세기) = 103
   제2. 3세기 = 104
    10대 산상왕(197-227, 3세기) = 104
    11대 동천왕(227-248, 3세기) = 104
    제14대 봉상왕(292-300, 3세기) = 105
   제3. 4세기 = 105
    15대 미천왕(300-331, 4세기) = 105
    16대 고국원왕(331-371, 4세기) = 105
    17대 소수림왕(371-384, 4세기) = 106
   제4. 5세기 = 107
    19대 광개토왕(391-413, 4세기-5세기) = 107
    20대 장수왕(413-491, 5세기) = 109
   제5. 6세기 = 110
    21대 문자명왕(491-519, 5세기-6세기) = 110
    24대 양원왕(545-559, 6세기) = 110
    25대 평원왕(평강왕 : 559-590, 6세기) = 111
   제6. 7세기 = 111
    26대 영양왕(590-618, 6세기-7세기) = 111
    27대 영류왕(618-642, 7세기) = 113
    28대 보장왕(642-668, 7세기) = 113
    고구려 멸망 후 유민의 활동(7세기 후반) = 114
  제2절 백제 왕조사 = 115
   제1. 3세기 = 116
    8대 고이왕(234-286, 3세기) = 116
   제2. 4세기 = 117
    13대 근초고왕(346-375, 4세기) = 117
    15대 침류왕(384-385, 4세기) = 120
    17대 아신왕(392-405, 4세기-5세기) = 121
   제3. 5세기 = 121
    20대 비유왕(427-455, 5세기) = 121
    21대 개로왕(455-475, 5세기) = 121
    22대 문주왕(475-477, 5세기) = 122
    24대 동성왕(479-501, 5세기-6세기) = 122
   제4. 6세기 = 123
    25대 무령왕(501-523, 6세기) = 123
    26대 성왕(523-554, 6세기) = 123
    27대 위덕왕(554-598, 6세기) = 125
   제5. 7세기 = 126
    30대 무왕(600-641, 7세기) = 126
    31대 의자왕(642-660, 7세기) = 126
    백제멸망 이후(백제부흥 운동과 당의 백제지역 통치) = 127
  제3절 신라 왕조사 = 128
   제1. 4세기 = 129
    17대 내물마립간(356-402, 4세기-5세기) = 129
   제2. 5세기 = 131
    19대 눌지마립간(417-458, 5세기) = 131
    21대 소지마립간(479-500, 5세기-6세기) = 131
   제3. 6세기 = 132
    22대 지증왕(500-514, 6세기) = 132
    23대 법흥왕(514-540, 6세기) = 133
    24대 진흥왕(540-576, 6세기) = 135
   제4. 7세기 = 138
    26대 진평왕(579-632, 6세기-7세기) = 138
    27대 선덕여왕(632-647, 7세기) = 138
    28대 진덕여왕(647-654, 7세기) = 139
    29대 무열왕(654-661, 7세기) = 140
    30대 문무왕(661-681, 7세기) = 141
  제4절 통일신라 왕조사 = 143
   제1. 개관 = 144
   제2. 통일신라 왕별 분석 = 147
    31대 신문왕(681-692, 7세기) = 147
    32대 효소왕(692-702, 7세기-8세기) = 149
    33대 성덕왕(702-737, 8세기) = 149
    35대 경덕왕(742-765, 8세기) = 150
    36대 혜공왕(765-780, 8세기) = 150
    37대 선덕왕(780-785, 8세기) = 151
    38대 원성왕(785-798, 8세기) = 151
    41대 헌덕왕(809-826, 9세기) = 151
    42대 흥덕왕(826-836, 9세기) = 152
    43대 희강왕(836-838, 9세기) = 153
    45대 신무왕(839, 9세기) = 153
    46대 문성왕(839-857, 9세기) = 153
    51대 진성여왕(887-897, 9세기) = 153
    52대 효공왕(897-912, 9세기-10세기) = 154
    53대 신덕왕(912-917, 10세기) = 154
    54대 경명왕(917-924, 10세기) = 154
    55대 경애왕(924-927, 10세기) = 155
    56대 경순왕(927-935, 10세기) = 155
   제3. 신라 하대 분석 = 155
    Ⅰ. 신라 하대의 특징 = 155
    Ⅱ. 후삼국의 정립 = 158
 제3장 고대 통치사
  제1절 고대 통치제도사 = 162
   Ⅰ. 고대 인사제도 = 162
   Ⅱ. 고대 중앙통치조직 = 166
   Ⅲ. 고대 지방통치제도 = 172
   Ⅳ. 고대 군사제도 = 178
   Ⅴ. 고대 교육제도 = 181
   Ⅵ. 고대 관리 충원제도 = 182
 제4장 고대 경제사
  제1절 고대 토지사 = 184
   Ⅰ. 삼국의 토지사 = 184
   Ⅱ. 통일신라의 토지사 = 185
  제2절 고대 수취제도사 = 188
   Ⅰ. 삼국의 수취제도사 = 188
   Ⅱ. 통일신라의 수취제도 = 189
  제3절 고대 화폐·금융사 = 194
   Ⅰ. 삼국의 화폐금융사 = 194
   Ⅱ. 통일신라의 화폐·금융사 = 194
  제4절 고대 산업사 = 195
   Ⅰ. 삼국의 산업사 = 195
   Ⅱ. 통일신라의 산업사 = 196
 제5장 고대 사회사
  제1절 고대 신분제도사 = 200
   Ⅰ. 삼국의 사회신분제도 = 200
   Ⅱ. 통일신라의 신분제도 = 207
  제2절 고대 사회실태사 = 207
   제1. 고대 사회생활 = 207
   제2. 고대 사회문화 = 208
   제3. 고대 사회운동사 = 209
 제6장 고대 문화사
  제1절 고대 문화사 개관 = 214
  제2절 고대 신앙·종교사 = 124
   Ⅰ. 고대 재래 신앙 = 214
   Ⅱ. 고대 불교사 = 216
   Ⅲ. 고대 도교사 = 235
   Ⅳ. 풍수지리사상 = 237
  제3절 고대 학술사 = 238
   Ⅰ. 고대 유학사 = 238
   Ⅱ. 고대 역사학 = 243
   Ⅲ. 고대 기술사 = 244
   Ⅳ. 고대 금석문 = 246
  제4절 고대 문학사 = 251
   Ⅰ. 삼국의 문학 = 251
   Ⅱ. 통일신라의 문학 = 252
  제5절 고대 예술사 = 254
   Ⅰ. 삼국의 예술사 = 254
   Ⅱ. 통일신라의 예술사 = 264
  제6절 고대 음악사 = 270
   Ⅰ. 삼국의 음악 = 270
   Ⅱ. 통일신라의 음악 = 270
  제7절 우리 고대문화와 일본 = 271
   Ⅰ. 고대문화의 일본 전래 = 271
   Ⅱ. 임나 일본부설 = 275
 제7장 발해사
  제1절 발해 왕조사 = 277
   Ⅰ. 개관 = 277
   Ⅱ. 발해 왕별 분석 = 281
    1대 고왕(대조영 698-719) = 282
    2대 무왕(대무예 719-737) = 282
    3대 문왕(대흠무 737-793) = 283
    10대 선왕(대인수 818-831) = 284
    15대 애왕(대인선 906-926) = 285
    발해 멸망 이후 = 285
  제2절 발해의 통치사 = 286
   Ⅰ. 발해의 대외관계 = 286
   Ⅱ. 발해의 통치제도사 = 289
  제3절 발해의 경제사 = 294
   Ⅰ. 발해의 화폐·금융사 = 294
   Ⅱ. 발해의 산업사 = 294
  제4절 발해의 사회·문화사 = 295
   Ⅰ. 발해의 사회사 = 295
   Ⅱ. 발해의 문화사 = 295
제3편 중세사Ⅰ(고려)
 제1장 서론
  [1] 고려의 후삼국 통일의 의미 = 301
  [2] 고려의 전체적 특징 = 303
 제2장 고려 왕조사
  제1. 호족시기(나말여초·고려초기 태조-성종 때) = 306
   1대 태조(918-943, 10세기) = 306
   2대 혜종(943-945, 10세기) = 313
   3대 정종(945-949, 10세기) = 313
   4대 광종(949-975, 10세기) = 314
   5대 경종(975-981, 10세기) = 316
  제2. 문벌귀족시기 = 317
   6대 성종(981-997, 10세기)-문벌귀족 성립시기 = 317
   7대 목종(997-1009, 10-11세기) = 324
   8대 현종(1009-1031, 11세기) = 324
   9대 덕종(1031-1034, 11세기) = 327
   10대 정종(1034-1046, 11세기) = 327
   11대 문종(1046-1083, 11세기) = 327
   13대 선종(1083-1094, 11세기) = 330
   15대 숙종(1095-1105, 11세기-12세기) = 330
   16대 예종(1105-1122, 12세기) = 331
   17대 인종(1122-1146, 12세기) = 332
   18대 의종(1146-1170, 12세기) = 336
  제3. 무신정권기(1170-1270) = 336
   19대 명종(1170-1197, 12세기) = 339
   20대 신종(1197-1204, 12세기-13세기) = 342
   21대 희종(1204-1211, 13세기) = 342
   23대 고종(1213-1259, 13세기) = 343
   24대 원종(1259-1274, 13세기) = 347
  제4. 원간섭기(권문세족 주도기) = 348
   24대 원종(1259-1274, 13세기) = 348
   25대 충렬왕(1274-1298.1, 1298.7-1308, 13세기-14세기) = 349
   26대 충선왕(1298.1-1298.7, 1308-1313, 13세기-14세기) = 351
   27대 충숙왕(1313-1330, 1332-1339, 14세기) = 353
   29대 충목왕(1344-1348, 14세기) = 353
   31대 공민왕(1351-1374, 14세기) = 354
   32대 우왕(1374-1388, 14세기) = 357
   33대 창왕(1388-1389, 14세기) = 360
   34대 공양왕(1389-1392, 14세기) = 360
 제3장 고려 통치사
  제1절 고려의 정치주체 = 362
   Ⅰ. 고려 초기의 정치주체 = 362
   Ⅱ. 고려 전기의 정치주체 = 362
   Ⅲ. 무신집권기의 정치주체 = 364
   Ⅳ. 고려 후기의 정치주체 = 364
  제2절 고려의 대외관계사 = 370
  제3절 고려의 통치제도사 = 372
   제1. 고려의 인사제도 = 372
    Ⅰ. 관리·관직 분류체계 = 372
    Ⅱ. 관리 임용원칙 = 376
    Ⅲ. 관리 충원제도 = 376
   제2. 고려 중앙통치제도 = 382
    Ⅰ. 개관 = 382
    Ⅱ. 고려 중앙통치 기본조직 = 383
    Ⅲ. 고려 중앙통치 특별조직 = 387
    Ⅳ. 무신집권기의 특징적 중앙제도 = 390
    Ⅴ. 고려 후기 통치제도 = 392
   제3. 고려 지방제도 = 395
   제4. 고려 군사제도 = 402
   제5. 고려 교통·통신 = 407
   제6. 고려 교육제도 = 408
 제4장 고려 경제사
  제1절 고려의 토지제도 = 412
   제1. 고려의 수조권 분급제도 = 412
    Ⅰ. 수조권 분급제도의 의의 = 412
    Ⅱ. 수조권 분급제도의 변천 = 413
    Ⅲ. 수조권 분급토지의 종류 = 418
   제2. 고려의 사유지 운영실태 = 423
  제2절 고려의 재정사 = 429
  제3절 고려의 화폐·금융사 = 432
   Ⅰ. 고려의 화폐 = 432
   Ⅱ. 고려의 금융사 = 434
  제4절 고려의 산업사 = 435
 제5장 고려 사회사
  제1절 고려의 사회정책 = 441
  제2절 고려의 신분사 = 445
   Ⅰ. 고려 신분질서의 특징 = 445
   Ⅱ. 고려 신분질서의 내용 = 446
   Ⅲ. 여말 선초 신분질서의 변화 내용 = 452
  제3절 고려의 사회실태사 = 453
   제1. 고려의 사회문화 = 453
   제2. 고려의 향촌사회사 = 456
   제3. 고려의 사회운동사 = 457
    Ⅰ. 고려 전기 = 457
    Ⅱ. 무신집권기 = 457
    Ⅲ. 고려 후기 = 461
 제6장 고려 문화사
  제1절 고려의 신앙·종교사 = 462
   Ⅰ. 고려의 불교 = 462
   Ⅱ. 고려의 유교 = 473
   Ⅲ. 고려의 도교 = 473
   Ⅳ. 고려의 풍수지리사상 = 474
   Ⅴ. 고려 전통신앙 = 474
  제2절 고려의 학술사 = 475
   Ⅰ. 고려의 유학사 = 475
   Ⅱ. 고려의 역사학 = 481
   Ⅲ. 고려의 과학·기술사 = 493
  제3절 고려의 문학사 = 496
   Ⅰ. 고려 전기 및 중기의 문학 = 496
   Ⅱ. 고려 후기의 문학 = 497
  제4절 고려의 예술사 = 500
  제5절 고려의 대외 문화교류사 = 513
제4편 중세사Ⅱ(조선)
 제1장 서론
  [1] 조선 건국의 배경과 의미 = 517
  [2] 조선의 전체적 특징 = 517
 제2장 조선 왕조사
  제1. 14세기 = 521
   1대 태조(1392-1398, 14세기) = 521
   2대 정종(1398-1400, 14세기-15세기) = 522
  제2. 15세기 = 522
   제3대 태종(1400-1418, 15세기) = 522
   4대 세종(1418-1450, 15세기) = 523
   5대 문종(1450-1452, 15세기) = 528
   6대 단종(1452-1455, 15세기) = 528
   7대 세조(1455-1468, 15세기) = 528
   9대 성종(1469-1494, 15세기) = 530
  제3. 16세기 = 532
   10대 연산군(4494-1506, 15세기-16세기) = 532
   11대 중종(1506-1544, 16세기) = 533
   12대 인종(1544-1545, 16세기) = 535
   13대 명종(1545-1567, 16세기) = 536
   14대 선조(1567-1608, 16세기-17세기) = 536
  제4. 17세기 = 547
   15대 광해군(1608-1623, 17세기) = 547
   16대 인조(1623-1649, 17세기) = 549
   17대 효종(1649-1659, 17세기) = 552
   18대 현종(1659-1674, 17세기) = 553
   19대 숙종(1674-1720, 17세기-18세기) = 555
  제5. 18세기 = 557
   20대 경종(1720-1724, 18세기) = 557
   21대 영조(1724-1776, 18세기) = 557
   22대 정조(1776-1800, 18세기-19세기) = 560
  제6. 19세기 = 564
   23대 순조(1800-1834, 19세기) = 564
   24대 헌종(1834-1849, 19세기) = 566
   25대 철종(1849-1863, 19세기) = 566
   26대 고종(1863-1907, 19세기-20세기) = 567
   대원군 집권(1863-1873, 11년간) = 568
   민비(1873-1882, 10년) = 574
 제3장 조선 통치사
  제1절 조선의 정치사 = 575
   Ⅰ. 조선의 정치주체 = 575
   Ⅱ. 조선의 정치변동 개관 = 580
  제2절 조선의 대외관계사 = 586
  제3절 조선의 통치제도사 = 591
   제1. 조선, 국가통치법에 따른 법치운영 = 591
   제2. 조선의 통치제도사 = 596
    Ⅰ. 조선 인사제도 = 596
    Ⅱ. 조선의 관리충원제도 = 603
    Ⅲ. 중앙제도 = 610
    Ⅳ. 조선의 지방제도 = 622
    Ⅴ. 조선의 군사제도 = 631
    Ⅵ. 조선의 교통·통신제도 = 644
    Ⅶ. 조선의 교육제도 = 646
 제4장 조선 경제사
  제1절 조선의 토지사 = 651
   Ⅰ. 개관 = 651
   Ⅱ. 수조권 분급제도 = 652
   Ⅲ. 조선의 사유지 실태 = 657
   Ⅳ. 조선 후기 사유지 실태 = 660
  제2절 조선의 재정사 = 662
   Ⅰ. 수취제도 개관 = 662
   Ⅱ. 조선의 조세제도 = 663
   Ⅲ. 조선의 공물징수(貢納·貢賦)제도 = 670
   Ⅳ. 조선의 역역징발제도 = 675
  제3절 조선의 화폐·금융사 = 677
   Ⅰ. 조선의 화폐사 = 677
   Ⅱ. 조선의 금융사 = 679
  제4절 조선의 산업사 = 681
   Ⅰ. 조선 전기(15-16세기)의 산업 = 681
   Ⅱ. 조선 후기(17-18세기)의 산업 = 688
 제5장 조선 사회사
  제1절 조선의 사회정책사 = 706
  제2절 조선의 신분사 = 713
   Ⅰ. 조선의 신분질서 특징 = 713
   Ⅱ. 각 신분별 실태 = 715
  제3절 조선의 사회실태사 = 727
   제1. 조선의 사회문화 = 727
   제2. 조선의 향촌사회사 = 731
    Ⅰ. 향촌사회 개관 = 731
    Ⅱ. 사족들의 향촌지배수단 = 735
   제3. 사회운동사 = 745
    Ⅰ. 개관 = 745
    Ⅱ. 19세기 농민항쟁의 분석 = 748
 제6장 조선 문화사
  제1절 조선의 종교·사상사 = 754
   Ⅰ. 불교 = 754
   Ⅱ. 도교 = 755
   Ⅲ. 전통신앙 = 756
   Ⅳ. 풍수지리설 = 757
   Ⅴ. 천주교 = 757
   Ⅵ. 동학 = 762
  제2절 조선의 학술사 = 764
   제1. 조선의 유학사 = 764
    Ⅰ. 15세기 유학의 전개 = 764
    Ⅱ. 16세기 사림의 유학 = 765
    Ⅲ. 17세기의 유학 = 773
    Ⅳ. 18세기의 유학 = 776
    Ⅴ. 19세기 유학 = 778
   제2. 유학의 실천적 부분 = 779
    Ⅰ. 윤리학 = 779
    Ⅱ. 예학 = 781
   제3. 보학 = 782
   제4. 국어학 = 784
   제5. 역사학 = 785
   제6. 과학기술사 = 796
   제7. 실학사 = 807
    Ⅰ. 실학의 개관 = 807
    Ⅱ. 실학의 학파별 내용분석 = 811
    Ⅲ. 실학의 연구대상별 내용분석 = 815
  제3절 조선의 문학사 = 826
  제4절 조선의 예술사 = 831
   Ⅰ. 조선예술의 특징 = 831
   Ⅱ. 조선 전기(15-16세기) 예술 = 831
   Ⅲ. 조선 후기(17-19세기) 예술 = 838
제5편 근대사Ⅰ(한말)
 제1장 서론(한말의 특징)
 제2장 근대(한말) 정치변동사
  제1절 고종·민씨정권 = 851
  제2절 대원군 재집권 = 863
  제3절 고종·민씨정권의 회복 = 863
  제4절 개화당 정권 = 868
  제5절 고종·민씨정권 = 872
  제6절 1차 김홍집 내각 = 879
  제7절 2차 김홍집 내각 = 884
  제8절 고종·민씨정권 = 888
  제9절 4차 김홍집 내각 = 889
  제10절 친러내각 = 891
  제11절 대한제국 성립·활동기 = 892
  제12절 일본의 국권침탈 추진기 = 900
 제3장 근대(한말) 통치사
  제1. 근대(한말) 정치사 = 912
  제2. 근대(한말) 통치제도사 = 913
 제4장 근대(한말) 경제사
  제1절 개관 = 914
   Ⅰ. 근대(한말) 경제적 특징 = 914
   Ⅱ. 열강의 경제침탈 = 914
  제2절 분야별 경제실태 변화 = 916
   Ⅰ. 근대 토지사 = 916
   Ⅱ. 근대 화폐·금융사 = 917
   Ⅲ. 근대 산업사 = 919
 제5장 근대(한말) 사회사
  제1절 도시 중심의 사회운동 = 928
   제1. 초기 개화사상가에 의한 개화운동 = 928
   제2. 개화 정부 내 개화세력의 개화운동 = 930
   제3. 개화운동의 저변화 = 937
   제4. 개화운동의 확산과 질적 변화(애국계몽운동) = 946
  제2절 향촌(지방) 중심의 사회운동 = 964
   제1. 지방(향촌) 유생들의 위정척사운동 = 964
   제2. 의병운동 = 989
  제3절 해외 이민 및 민족운동 = 996
 제6장 근대(한말) 문화사
  제1절 근대(한말)의 종교·사상사 = 1000
  제2절 근대의 학술사 = 1003
  제3절 근대 문학사 = 1007
  제4절 근대 예술사 = 1008
제6편 근대사Ⅱ(일제시대)
 제1장 서론(일제시대의 특징)
 제2장 일제 통치변동사
  제1절 1910년대 일제통치(무단통치기) = 1012
   Ⅰ. 개관 = 1012
   Ⅱ. 일제의 무단통치수단 확보 = 1012
   Ⅲ. 일제의 민족운동 억압정책 = 1013
   Ⅳ. 일제의 경제정책 = 1014
  제2절 1920년대 일제통치(소위 문화정치기) = 1015
   Ⅰ. 개관 = 1015
   Ⅱ. 20년대 "문화정치기" 일제통치의 특징 = 1016
   Ⅲ. 1920년대 경제침탈 강화실태 = 1020
  제3절 1930년대 일제통치(대륙침략기·병참기지화기) = 1021
   Ⅰ. 개관 = 1021
   Ⅱ. 만주사변 이후 일제통치 내용 = 1022
   Ⅲ. 중일전쟁 전후부터의 일제통치 내용 = 1024
  제4절 1940년대 일제통치(총동원 전시체제) = 1027
   Ⅰ. 개관 = 1027
   Ⅱ. 일제의 조선 내 통치내용 = 1028
   Ⅲ. 1940년대 국제관계의 변화 = 1030
 제3장 일제시대 통치사
  제1절 일제시대의 통치세력 = 1034
  Ⅰ. 통치주체세력 = 1034
  Ⅱ. 통치보조세력 = 1034
  제2절 일제시대의 조선통치제도 = 1037
 제4장 일제시대 경제사
  제1절 일제시대의 토지·재정·금융사 = 1043
   제1. 토지사 = 1043
    Ⅰ. 일제의 토지정책 = 1043
    Ⅱ. 토지 소유실태 = 1046
   제2. 재정사 = 1047
    Ⅰ. 일제의 조세정책 = 1047
    Ⅱ. 일제의 관세정책 = 1048
   제3. 화폐·금융사 = 1048
  제2절 일제시대의 산업사 = 1049
   Ⅰ. 산업시설 및 공기업 = 1049
   Ⅱ. 농업 = 1049
   Ⅲ. 어업 = 1054
   Ⅳ. 임업 = 1054
   Ⅴ. 광업 = 1054
   Ⅵ. 상업 = 1055
   Ⅶ. 무역 = 1055
   Ⅷ. 상공업 = 1056
 제5장 일제시대 사회사
  제1절 1910년대 사회운동(민족운동) = 1061
   제1. 1910년대 국내 민족운동 = 1061
    Ⅰ. 1910년대(무단통치기) 국내 민족운동 특징 = 1061
    Ⅱ. 1910년대 국내 민족운동단체 활동 = 1061
    Ⅲ. 비밀결사단체 이외의 국내 민족운동 = 1064
   제2. 1910년대 해외 민족운동 = 1064
    Ⅰ. 1910년대 해외민족운동 개관 = 1064
    Ⅱ. 연해주에서의 민족운동 = 1066
    Ⅲ. 북간도(동만주)에서의 민족운동 = 1068
    Ⅳ. 서간도(남만주)에서의 민족운동 = 1069
    Ⅴ. 중국본토에서의 민족운동 = 1070
    Ⅵ. 미국에서의 민족운동 = 1071
    Ⅶ. 일본에서의 민족운동 = 1072
   제3. 3·1운동 = 1072
  제2절 1920년대 사회운동(민족운동) = 1078
   제1. 1920년대 국내 민족운동 = 1078
    Ⅰ. 1920년대 국내 민족운동 개관 = 1078
    Ⅱ. 부르주아민족주의계열(우익)의 민족운동 = 1079
    Ⅲ. 사회주의운동 = 1084
    Ⅳ. 민족주의계열 좌파와 사회주의계열 통합 = 1090
    Ⅴ. 부문별 새로운 형태의 민족운동 전개 = 1097
   제2. 1920년대 해외 민족운동 = 1104
    Ⅰ. 개관 = 1104
    Ⅱ. 임시정부 수립과 전개 = 1105
    Ⅲ. 만주지역 독립군 활동 = 1114
    Ⅳ. 좌우통합운동(민족통일전선운동) = 1119
    Ⅴ. 애국열사의 폭력(테러) 항일투쟁(의거) = 1121
  제3절 1930년대 사회운동(민족운동) = 1124
   제1. 1930년대 국내 민족운동 = 1124
    Ⅰ. 1930년대 부르주아민족주의운동 = 1124
    Ⅱ. 1930년대 사회주의운동 = 1127
    Ⅲ. 민중운동(노동운동 및 농민운동) = 1127
   제2. 1930년대 해외 민족운동 = 1129
    Ⅰ. 중국과의 협력, 대일항쟁 = 1129
    Ⅱ. 1930년대 통일전선운동 = 1132
  제4절 1940년대 사회운동(민족운동) = 1134
   제1. 1940년대 국내 민족운동 = 1134
   제2. 1940년대 해외 민족운동 = 1135
    Ⅰ. 1940년대 임시정부의 활동 = 1135
    Ⅱ. 1940년대 한인공산세력 활동 = 1138
 제6장 일제시대 문화사
  제1절 일제시대의 종교·사상사 = 1140
  제2절 일제시대의 학술사 = 1143
   제1. 역사학 개관 = 1143
   제2. 식민사관 = 1143
    Ⅰ. 식민사관의 전개과정 = 1143
    Ⅱ. 식민사관의 내용 = 1144
   제3. 반식민사학의 형성과 발전 = 1146
    Ⅰ. 민족주의사학 = 1146
    Ⅱ. 마르크스주의사학(사회경제학적 사학) = 1155
    Ⅲ. 실증주의사학(문헌고증사학) = 1157
    Ⅳ. 신민족주의 사학 = 1158
  제3절 일제시대의 예술사 = 1160
제7편 현대(해방 이후)
 제1장 현대 정치 변동사
  제1절 해방 공간 = 1165
   제1. 해방과 무정부상태 = 1165
   제2. 미군정 = 1169
    Ⅰ. 개관 = 1169
    Ⅱ. 모스크바 삼상회의 이전 = 1170
    Ⅲ. 삼상회의 이후, 미소공위 이전 = 1172
    Ⅳ. 1차 미소공위 이후 = 1177
    Ⅴ. 2차 미소공위 이후 = 1183
  제2절 대한민국 = 1189
   제1. 1공화국 = 1189
    Ⅰ. 이승만의 정치노선 = 1189
    Ⅱ. 정부수립-6·25전쟁 이전 = 1190
    Ⅲ. 한국전쟁 발발 = 1194
    Ⅳ. 한국전쟁 종전-4·19혁명 = 1202
   제2. 4·19 이후 과도정부와 제2공화국 = 1207
   제3. 박정희 군사정부 = 1212
   제4. 제3공화국 = 1214
   제5. 제4공화국 = 1224
   제6. 최규하 과도정권 = 1226
   제7. 전두환 군사정권 = 1227
   제8. 제5공화국 = 1228
   제9. 제6공화국 = 1229
    Ⅰ. 노태우 정부 = 1229
    Ⅱ. 김영삼 정부(문민정부) = 1232
    Ⅲ. 김대중 정부(국민의 정부) = 1235
 제2장 현대 정치·행정사
 제3장 현대 경제사
  Ⅰ. 미군정기 경제사 = 1239
  Ⅱ. 이승만 정권의 경제사 = 1241
  Ⅲ. 장면 정권의 경제사 = 1248
  Ⅳ. 박정희 정권의 경제사 = 1248
  Ⅴ. 전두환 정권의 경제사 = 1252
  Ⅵ. 노태우 정권의 경제사 = 1252
  Ⅶ. 김영삼 정권의 경제사 = 1252
  Ⅷ. 김대중 정권의 경제사 = 1253
 제4장 북한의 역사
  제1절 북한의 정치변동사 = 1254
   Ⅰ. 해방공간 북한의 역사 = 1254
   Ⅱ. 남한 제1공화국시기 북한의 역사 = 1258
   Ⅲ. 남한 제3공화국시기 북한의 역사 = 1260
   Ⅳ. 남한 제4공화국시기 북한의 역사 = 1263
   Ⅴ. 남한 제5공화국시기 북한의 역사 = 1264
   Ⅵ. 남한 제6공화국시기 북한의 역사 = 1265
  제2절 북한의 통치·사회·문화사 = 1267
   [1] 북한의 통일 방안 = 1267
   [2] 북한의 역사학 = 1268
참고문헌 = 127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