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노동경제학 : 이론과 공공정책

노동경제학 : 이론과 공공정책 (14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Ehrenberg, Ronald G. Smith, Robert S. 한흥순 김중렬
서명 / 저자사항
노동경제학 : 이론과 공공정책 / Ronald G. Ehrenberg ; Robert S. Smith [공]지음 ; 한흥순 ; 김중렬 [공]옮김.
발행사항
서울 :   교보문고 ,   2003   (2007).  
형태사항
xxii, 681 p. : 삽도 ; 25 cm.
원표제
Modern labor economics. 8th ed.
ISBN
8970855092
일반주기
찾아보기: p. 673-681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수록
000 00842namccc200277 k 4500
001 000045157588
005 20100806122458
007 ta
008 030625s2003 ulka b 001a kor
020 ▼a 8970855092 ▼g 93320
035 ▼a KRIC08708167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31 ▼2 22
090 ▼a 331 ▼b 2003d
100 1 ▼a Ehrenberg, Ronald G.
245 1 0 ▼a 노동경제학 : ▼b 이론과 공공정책 / ▼d Ronald G. Ehrenberg ; ▼e Robert S. Smith [공]지음 ; ▼e 한흥순 ; ▼e 김중렬 [공]옮김.
246 1 9 ▼a Modern labor economics. 8th ed.
260 ▼a 서울 : ▼b 교보문고 , ▼c 2003 ▼g (2007).
300 ▼a xxii, 681 p. : ▼b 삽도 ; ▼c 25 cm.
500 ▼a 찾아보기: p. 673-681
504 ▼a 서지적 각주 수록
700 1 ▼a Smith, Robert S. ▼0 AUTH(211009)72392
700 1 ▼a 한흥순
700 1 ▼a 김중렬 ▼0 AUTH(211009)107592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31 2003d 등록번호 1113136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 2003d 등록번호 1113136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 2003d 등록번호 11142205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Ronald G. Ehrenberg(지은이)

<노동경제학>

한홍순(옮긴이)

<노동경제학>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 ⅴ
역자서문 = ⅸ
제1장 서론 = 1
  노동시장 = 2
  노동경제학 : 기본개념 = 3
    실증경제학 = 3
    실증경제학의 모형과 예측 = 4
    규범경제학 = 8
    규범경제학과 정부정책 = 12
  이 책에서 다루게 될 내용 = 15
  예문 1.1 실증경제학 : 행태를 '이해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6
  부록 1A 노동시장 가설들에 대한 통계적 검정 = 18
제2장 노동시장 개관 = 28
  노동시장 : 정의, 현실, 추세 = 29
    경제활동인구와 실업 = 30
    산업과 직종 : 변화에 대한 적응 = 33
    노동에 의한 근로소득 = 35
  노동시장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 40
    노동수요 = 41
    노동공급 = 45
    임금의 결정 = 48
  이론의 응용 = 54
    보수의 과소지급과 과대지급 = 54
    실업의 국제적 차이 = 60
  예문 2.1 흑사병과 노동임금 = 52
  예문 2.2 미국 청년들에 대한 징병의 종결 : 경제학자들의 역할 = 58
제3장 노동수요 = 65
  이윤극대화 = 66
    생산요소 추가 한 단위로부터의 한계소득 = 67
    추가생산요소에 대한 한계지출 = 69
  생산물시장과 노동시장이 모두 완전경쟁일 때 단기노동수요 = 70
    중요한 가정 MPL 의 하락 = 70
    이윤극대화로부터 노동수요로 = 72
  다른생산요소들의 투입량이 변하는 경우 완전경쟁시장에서의 노동수요 = 78
    장기노동수요 = 78
    생산요소가 세 종류 이상일 경우 = 80
  생산물시장이 불완전경쟁일 때의 노동수요 = 82
    독점이윤의 극대화 = 83
    독점기업들은 더 높은 임금을 지급하는가? = 84
  노동시장의 수요독점 = 85
    이윤극대화 = 85
    공급변화와 강제적 임금인상에 대한 수요독점기업의 대응 = 88
  정책에의 응용 : 사용자의 급여세와 임금보조금의 노동시장효과 = 91
    급여세의 부담 = 92
    급여세가 유럽의 실업을 초래하였는가? = 95
    빈곤한 자를 돕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고용보조금 = 96
  예문 3.1 대학 미식축구 스타선수의 한계수입생산 = 68
  예문 3.2 메이저리그(Major-League)와 니그로리그(Negro-League) 야구에서의 수요독점과 경쟁 = 87
  부록 3A 기업의 노동수요곡선의 그래프에 의한 도출 = 101
제4장 노동수요의 탄력성 = 111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 = 112
    힉스-마샬의 파생수요법칙 = 115
    노동수요의 임금탄력성 추정치 = 118
    파생수요법칙의 응용 : 추론적 분석 = 120
  노동수요의 교차탄력성 = 123
    파생수요의 법칙들이 교차탄력성에 적용될 수 있는가? = 124
    교차탄력성과 관련된 추정치 = 126
  정책에의 응용 : 최저임금법의 효과 = 128
    역사와 개요 = 128
    고용효과 : 이론분석 = 129
    고용효과 : 실증추정치 = 133
    최저임금이 빈곤을 퇴치하는가? = 136
  노동수요탄력성 개념의 기술변화문제에의 적용 = 137
  예문 4.1 트럭운송산업의 두 부문에서 노동조합원의 임금이 왜 크게 차이가 나는가? = 122
  예문 4.2 첫 번째 연방최저임금의 고용효과 = 134
  부록 4A 국제무역과 노동수요 : 고임금국가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가? = 142
제5장 준고정적 노동비용이 노동수요에 미치는 효과 = 150
  비임금노동비용 = 151
    채용 및 훈련비용 = 151
    부가급여 = 153
    많은 비임금노동비용의 준고정적 성격 = 154
  고용수준/근로시간의 상충관계 = 155
    근로자 수 및 근로시간의 조합 결정 = 156
    정책분석 : 초과근무수당 = 158
    정책분석 : 파트타임고용과 강제적 부가급여 = 160
  기업의 노동에 대한 투자와 노동수요 = 163
    현재가치 개념 = 164
    다기간 노동수요 = 167
    다기간 임금지급에 있어서의 제약 = 169
  일반훈련과 특수훈련 = 171
    특수훈련과 임금곡선 = 173
    이론의 시사점 = 177
    사용자들은 과연 일반훈련비용을 부담할까? = 179
  채용투자 = 180
    증명서의 사용 = 180
    내부노동시장 = 182
    사용자는 채용에 대한 투자비용을 어떻게 회수할 수 있는가? = 183
  예문 5.1 채용비용에 대한 대처방안으로서의 근로자 '임대' = 157
  예문 5.2 부당해고 관련정책은 고용을 감소시키는가? = 162
  예문 5.3 미국과 기타 지역의 도제제도 = 173
  예문 5.4 임시직 모집대행기관들은 일반숙련도를 위한 훈련을 왜 무료로 제공할까? = 181
제6장 노동공급 : 근로에 대한 의사결정 = 187
  경제활동참가와 근로시간의 추세 = 187
    경제활동참가율 = 188
    근로시간 = 189
  근로에 대한 의사결정 이론 = 192
    몇 가지 기본개념들 = 193
    노동/여가 선택 분석 = 198
    소득효과와 대체효과의 실증증거 = 214
  정책에의 응용 = 217
    '스파이크'가 달린 예산제약선 = 218
    순임금이 0인 프로그램들 = 220
    순임금이 정(+)인 보조금프로그램들 = 226
  예문 6.1 비둘기들의 노동공급 = 196
  예문 6.2 대규모 상속재산은 경제활동참가를 취소시키는가? = 206
  예문 6.3 야구장에서의 일일 노동공급 = 213
  예문 6.4 소득세감면이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 = 215
  예문 6.5 켄터키 집에 머무르기 : 근로자보상급여와 근로로의 복귀 = 221
  예문 6.6 전쟁기간 중의 식량징발과 농업의 근로유인 = 225
제7장 노동공급 : 가계내생산, 가정, 생애주기 = 232
  가계내생산이론 = 232
    모형의 그래프화 = 233
    모형의 시사점 = 235
  세 가지 대안 중에서의 선택 : 시장근로, 가계근로, 여가 = 237
    여성들과 남성들의 시간사용 = 237
    두 가지 대체효과 = 238
  가계내에서의 노동공급에 대한 공동의사결정 = 240
    기능의 전문화 = 241
    파트너 둘 다 보수를 위해 일하여야 하는가? = 243
    공동결정과 교차효과 = 244
    경기침체시의 노동공급 : '실망' 근로자와 '부가' 근로자 = 245
  생애주기 측면에서의 노동공급 = 248
    기혼여성들의 경제활동참가 유형 = 248
    대체효과와 생애주기에서의 근로시기 = 251
    퇴직연령의 선택 = 253
  정책에의 응용 : 육아와 노동공급 = 256
    육아보조금 = 257
    자녀양육보증(Child Support Assurance) = 259
  예문 7.1 근로와 여가 : 과거 대 현재 = 238
  예문 7.2 남편, 아내, 이웃, 그리고 켈로그(Kellogg)에서의 하루 6시간 근무의 종결 = 245
  예문 7.3 가정주부의 시간의 가치 = 250
제8장 보상임금격차와 노동시장 = 265
  일자리연결 : 근로자선호와 정보의 역할 = 265
    개인의 선택과 선택의 결과 = 266
    가정 및 예측 = 269
    보상임금격차의 실증검정 = 272
  헤도닉임금이론과 부상위험 = 274
    고용인의 고려사항 = 275
    사용자의 고려사항 = 277
    사용자들과 고용인들의 연결 = 279
    규범적 분석 : 직업안전위생규정(Occupational Safety Health Regulation) = 285
  헤도닉임금이론과 부가급여 = 290
    고용인의 선호 = 290
    사용자의 선호 = 292
    임금과 부가급여의 동시결정 = 295
  예문 8.1 철로에서의 근로 : 좋지 못한 일자리를 좋게 만들기 = 274
  예문 8.2 자녀양육(parenthood), 직종선택, 그리고 위험 = 282
  예문 8.3 19세기 영국에서의 보상임금격차 = 284
  부록 8A 보상임금격차와 일시해고 = 300
제9장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 : 교육과 훈련 = 306
  인적자본투자 : 기본모형 = 308
  대학교육에 대한 수요 = 311
    대학교육의 비용과 편익 비교 = 311
    이론의 예측 = 312
    대학재학자 수의 변화에 대한 시장의 반응 = 318
  교육, 근로소득, 학교교육 이후의 인적자본투자 = 318
    평균근로소득과 교육수준 = 320
    현장실무훈련과 연령/근로소득곡선의 오목성 = 321
    부채가 펼쳐진 형태의 연령/근로소득곡선 = 324
    여성들의 인적자본 획득 = 324
  교육은 훌륭한 투자인가? = 329
    교육이 개인들을 위한 훌륭한 투자인가? = 329
    교육은 훌륭한 사회적 투자인가? = 332
    공공부문훈련은 훌륭한 사회적 투자인가? = 342
  예문 9.1 전쟁과 인적자본 = 307
  예문 9.2 G. I. Bill이 제2차 세계대전 퇴역군인들의 교육수준을 증가시켰는가? = 315
  예문 9.3 인적자산에 대한 가치부여 : 이혼하는 의사의 사례 = 329
  예문 9.4 교육투자의 사회적 최적수준 = 339
  부록 9A 노동시장 조정에 관한 '거미집' 모형 = 347
  부록 9B 근로소득 및 교육수준의 헤도닉모형 = 352
제10장 근로자의 이동 : 국내이주, 해외로부터의 이주, 이직 = 357
  근로자이동의 결정요인 = 358
  지리적 이동 = 358
    이주흐름의 방향 = 360
    이주자들의 개인적 특성 = 361
    거리의 역할 = 363
    숙련도, 근로소득분배, 국제이주 = 363
    국제 및 국내이주로부터의 수익 = 365
  정책에의 응용 : 해외로부터의 이주 제한 = 370
    해외로부터 미국으로의 이주의 역사 = 370
    해외로부터의 이주에 대한 단순한 견해 = 373
    이익을 보는 자와 손실을 입는 자에 대한 분석 = 376
    해외로부터의 이주에서 발생하는 전체적인 이익이 손실을 초과하는가? = 378
  고용인의 이직과 일자리의 연결 = 383
    재직기간(Job Tenure)과 연령의 효과 = 383
    일자리이동의 기타 유형 = 385
    사직은 일시해고와 상이한가? = 388
    국제비교 = 389
    보다 높은 이동성이 바람직한가? = 391
    이직비용과 수요독점모형 = 391
  예문 10.1 대이주(The Great Migration) : 남부흑인들의 북부로의 이동 = 361
  예문 10.2 이주와 개인의 시간범위(time horizon) = 364
  예문 10.3 해외로부터의 경제적 이주자 대 정치적 이주자 = 366
  예문 10.4 마리엘항으로부터의 보트승선에 의한 이주가 마이애미의 임금과 실업률에 미친 효과 = 379
  예문 10.5 석탄광산은 수요독점 상태인가? 아마도 아닐 것이다 = 394
제11장 보수와 생산성 : 기업 내에서의 임금결정 = 399
  근로자들에 대한 동기부여 : 기초사항에 대한 개관 = 401
    고용계약 = 401
    정보의 비대칭성에 대한 대처방안 = 402
    근로자들에 대한 동기유발 = 405
    그룹 내의 개인에 대한 동기유발 = 408
    보수지급계획 : 이 장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개관과 지침 = 410
  생산성과 연간보수의 기준 = 410
    고용인의 선호 = 410
    사용자의 고려사항 = 412
  생산성과 보수수준 = 419
    더 높은 보수가 근로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유 = 419
    효율성임금(Efficiency Wages) = 420
  생산성과 경력에 따른 보수(Productivity and the Sequencing of Pay) = 423
    초기에 보수를 과소지급한 후 후기에 보수를 과대지급하기 = 423
    승진토너먼트 = 427
    생애근로경력에 대한 관심과 생산성 = 431
  이론의 응용 : 세 가지 수수께끼에 대한 설명 = 433
    왜 재직기간에 따라 근로소득은 증가하는가? = 434
    왜 대기업들은 더 많은 보수를 지급하는가? = 436
    사용자들에 의한 수요독점적 행태 = 438
  예문 11.1 상황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생산성 : 산출량을 줄일 수 없었던 공장의 사례 = 400
  예문 11.2 칼로리 소비와 보수지급 형태 = 407
  예문 11.3 셰이커교도들의 운명을 결정한 빈약한 그룹인센티브 = 415
  예문 11.4 헨리 포드는 효율성임금을 지급하였는가? = 421
  예문 11.5 요구사항이 많은 사용자들, 과도하게 일하는 고용인들, 그리고 버려지는 가족들 = 430
제12장 노동시장에서의 성, 인종, 종족 = 441
  근로소득차이 중 측정되는 부분과 측정되지 않는 부분 = 443
    성별 근로소득차이 = 443
    미국의 흑인과 백인 사이의 근로소득차이 = 453
    종족별 근로소득차이 = 458
  시장차별의 이론 = 461
    개인편견모형 : 사용자차별 = 461
    개인편견모형 : 고객차별 = 467
    개인편견모형 : 고용인차별 = 467
    통계적 차별 = 469
    차별에 대한 불완전경쟁모형 = 471
    차별이론에 대한 최종평가 = 477
  차별을 없애기 위한 연방프로그램 = 477
    1963년의 동일임금법 = 477
    민권법 제7조(Title Ⅶ of the Civil Rights Act) = 478
    연방정부 계약이행프로그램 = 484
    연방정부 차별방지프로그램들의 유효성 = 485
  예문 12.1 심포니오케스트라(Symphony Orchestra)의 단원선발에 있어서의 편의(Bias) = 447
  예문 12.2 국가간 성별 근로소득차이 = 449
  예문 12.3 미시간주 가구산업에서의 공포와 편가르기 = 469
  예문 12.4 동등가치와 대학교 = 482
  부록 12A '동등가치' 근로소득격차의 추정 : 회귀분석의 응용 = 491
제13장 노동조합과 노동시장 = 495
  노동조합의 구조와 조합원의 자격 = 496
    조합주의의 국제비교 = 496
    미국 노동조합의 법적 구조 = 498
  노동조합 목표달성의 제약요소 = 502
    독점-노동조합모형(The Monopoly-Union Model) = 505
    효율적 계약모형(The Efficient Contracts Model) = 506
  단체교섭의 활동과 수단 = 511
    노동조합원 : 수요 및 공급 분석 = 511
    노동수요곡선을 변화시키기 위한 노동조합의 활동 = 518
    협상과 파업의 위협 = 520
    공공부문에서의 협상 : 중재의 위협 = 526
  노동조합의 효과 = 530
    노동조합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이론 = 530
    노동조합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증거 = 535
    노동조합이 총보수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증거 = 538
    노동조합이 고용수준에 미치는 효과 = 537
    노동조합이 생산성과 이윤에 미치는 효과 = 540
    노동조합에 대한 규범경제학적 분석 = 541
  예문 13.1 규제완화가 트럭운송사업과 항공산업에 미치는 효과 = 515
  예문 13.2 파업근로자의 영구대체 = 524
  예문 13.3 노동권법(Right-to-Work Laws)들이 문제인가? = 542
  부록 13A 중재와 협상의 계약영역 = 548
제14장 근로소득의 불균등 = 553
  불균등의 측정 = 554
  1980년 이래의 근로소득불균등 : 서술적 통계 = 557
    직종별분배 = 559
    상대임금의 변화 = 560
    근로시간의 상대적 변화 = 562
    인적자본그룹 내에서의 근로소득불균등의 증가 = 563
    불균등증가의 내용요약 = 564
  불균등증가의 근본원인 = 565
    공급의 변화 = 566
    제도적 요인의 변화 = 568
    수요의 변화 = 570
  불균등변화의 국제비교 = 576
    영국과 미국의 불균등이 가장 심화된 이유 = 578
    미숙련근로자들의 실질임금이 상이하게 변화한 원인과 결과 = 580
  예문 14.1 총소득 중 노동소득의 비중 : '경험 없는(Raw)' 노동 대 인적자본 = 565
  예문 14.2 20세기 초 교육에 대한 프리미엄의 변화 = 576
  부록 14A 로렌즈곡선과 지니계수 = 585
제15장 실업 = 590
  노동시장의 저량-유량 모형 = 592
    실업의 원천 = 593
    이동의 속도가 실업수준에 미치는 영향 = 594
  마찰적 실업 = 596
    일자리탐색이론 = 597
    실업보험급여의 효과 = 601
  구조적 실업 = 606
    직종별, 지역별 실업률의 차이 = 606
    장기실업의 국제적 차이 = 608
    효율성임금(Efficiency Wages)이 구조적 실업을 야기시키는가? = 609
  수요부족(경기적) 실업 = 612
    임금의 하방경직성 = 613
    미국의 실업보상에 대한 재정지원 = 618
  계절적 실업 = 621
  완전고용이란 어떤 상태인가? = 623
    자연실업률의 정의 = 624
    실업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 624
    인구통계학적 변화와 자연실업률 = 626
    자연실업률이란 무엇인가? = 626
  예문 15.1 실업보험이라는 보너스지급 실험 = 604
  예문 15.2 실업보험과 계절적 실업 : 역사적 시각 = 622
복습문제와 연습문제 해답 = 631
찾아보기 = 673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영중 (2023)
한국. 국회. 예산정책처 (2023)
한윤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