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장 위기와 통합의 정치 : 한국 정당구도 재편성 연구 = 13
1. 머리말 = 13
2. 정당구도의 이론적 배경 = 16
3. 정당정치의 기원 = 20
1) 남한의 정당정치 = 21
2) 북한의 정당정치 = 24
4. 정당구도 재편성의 유형 = 28
1) 통합정당 창립운동 = 29
2) 통일전선 결성 = 33
3) 좌우합작운동 = 39
4) 남·북 노동당의 결성 = 42
5. 맺음말 = 48
제2장 이승만정부하의 정당구도 분석 = 51
1. 머리말 = 51
2. 이승만정부의 성립과 위기요인 = 53
1) 5·10선거 = 54
2) 헌법제정과 대통령 선출 = 60
3) 한민당의 배제와 위기발생 = 64
3. 위기극복과 정치세력의 통합 = 69
1) 민주국민당 결성과 내각제 개헌투쟁 = 70
2) 자유당 창당과 대통령직선제 개헌 = 75
3) 반독재 호헌투쟁과 민주당·진보당의 창립 = 84
4. 이승만정부의 붕괴와 정당구도의 재편성 = 99
1) 이승만정부의 붕괴 = 100
2) 정당구도의 재편성 = 105
5. 맺음말 = 108
제3장 장면정부하의 정당구도 분석 = 111
1. 머리말 = 111
2. 민주당의 집권과 분열 = 113
1) 과도정부 출범과 내각제개헌 = 114
2) 신·구파의 대립과 7·29 선거 = 116
3) 총리 지명과 신민당 창당 = 126
3. 혁신진영의 활동 = 133
1) 7·29총선 이전 = 134
2) 7·29총선 이후 = 137
4. 정당구도의 붕괴와 각 정치세력의 입장 = 140
1) 신파의 입장 = 141
2) 구파의 입장 = 144
3) 혁신진영의 입장 = 146
5. 맺음말 = 148
제4장 박정희정부하의 정당구도 분석 1(1961. 5~1972. 10) = 151
1. 머리말 = 151
2. 군부의 정당구도 개편시도 = 153
1) 장면정권 인수 = 154
2) 중앙정보부 창설 = 158
3) 헌법개정 = 161
4) 정치활동 규제 = 162
5) 정당법 제정과 선거법 개정 = 165
3. 정치활동 재개와 정당구도의 재편성 = 167
1) 민정이양 = 168
2) 여권의 위기와 통합 = 171
3) 야권의 분열과 위기 = 176
4. 공화당의 승리와 신민당 출범 = 181
1) 5대 대선과 6대 총선 = 182
2) 공화당의 승리와 내분 = 185
3) 야권의 내분과 통합 = 189
5. 3선개헌과 40대기수론 = 196
1) 6대 대선과 7대 총선 = 197
2) 3선개헌 = 201
3) 40대기수론 = 206
6. 1971년 선거와 정당의 무력화 = 210
1) 1971년 대선과 총선 = 211
2) 공화당의 무력화 = 217
3) 신민당의 무력화 = 219
7. 맺음말 = 223
제5장 박정희정부하의 정당구도 분석 2(1972. 10 ~ 1979. 10) = 225
1. 머리말 = 225
2. 10월유신과 정당구도의 재편성 = 227
1) 10월유신과 대통령직선제 폐지 = 228
2) 정당구도 재편성과 대의제도의 왜곡 = 232
3. 여권의 분열과 이원화 : 민주공화당과 유신정우회 = 236
1) 공화당의 재출범과 위축 = 236
2) 준정당으로서의 유신정우회 = 239
4. 야권의 분열과 통합 : 신민당·민주통일당·재야 = 244
1) 신민당의 체제정비 = 245
2) 민주통일당의 재편성 시도 = 250
3) 준정당으로서의 재야 = 253
5. 9·10대 총선과 유신체제의 종말 = 257
1) 9대 총선 = 258
2) 10대 총선 = 260
3) 여권의 무력화와 유신체제의 종말 = 263
6. 맺음말 = 266
제6장 최규하정부하의 정당구도 분석 = 269
1. 머리말 = 269
2. 최규하정부의 출범과 정당구도의 변화 = 271
1) 10·26사태와 최규하정부 출범 = 271
2) 정당구도의 변화 = 274
3. 12·12사태의 발생과 정치권의 인식 = 280
1) 12·12사태의 발생 = 280
2) 정치권의 인식 = 283
4. 공화당의 내분과 신민당의 갈등 = 285
1) 정풍운동과 공화당의 내분 = 285
2) 신민당의 갈등 = 288
5. 신군부의 전면적 등장과 이중권력구조 형성 = 292
1) 5·17조치와 신군부의 전면적 등장 = 292
2)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설치 = 296
3) 이중권력구조 형성과 최규하의 하야 = 298
6. 맺음말 = 302
제7장 전두환정부하의 정당구도 분석 = 305
1. 머리말 = 305
2. 개헌과 정당구도 개편 = 306
1) 전두환의 대통령 취임과 헌법개정 = 307
2) 국가보위입법회의 설치 = 312
3) 정당구도 개편시도 = 315
3. 패권정당제의 추진 = 324
1) 패권정당 창당 = 325
2) 위성정당의 출현 = 328
3) 12대 대선과 11대 총선 = 333
4. 패권정당제의 파탄 = 339
1) 민주화추진협의회 결성과 신한민주당 창당 = 340
2) 12대 총선과 패권의 붕괴 = 346
3) 6·29선언과 직선제개헌 = 350
5. 야권의 분열과 패배 = 355
1) 야권의 분열 = 355
2) 13대 대선 : 여당의 승리와 야권의 위기 = 365
6. 맺음말 = 368
제8장 노태우정부하의 정당구도 분석 = 371
1. 머리말 = 371
2. 선거법 개정과 13대 총선 = 373
1) 선거법 개정 = 373
2) 13대 총선 = 375
3) 제1차 여소야대와 여당의 위기 = 379
3. 3당합당과 정당구도 재편 = 384
1) 여권의 재편 : 민주자유당 창당 = 385
2) 야권의 재편 : 민주당 창당 = 391
4. 통일국민당 창당과 14대 총선 = 394
1) 통일국민당 창당 = 395
2) 14대 총선과 제2차 여소야대 = 398
5. 후보경선과 14대 대선 = 403
1) 민자당의 대통령후보 경선 = 403
2) 국민당과 민주당의 대통령후보 선출 = 407
3) 14대 대선 = 410
6. 맺음말 = 415
제9장 김영삼정부하의 정당구도 분석 = 417
1. 머리말 = 417
2. 민주당과 민자당의 분열 = 419
1) 민주당의 분열 : 김대중의 정계복귀와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 419
2) 민자당의 분열 : 김종필의 탈당과 자유민주연합 창당 = 425
3. 신한국당 창당과 15대 총선 = 429
1) 신한국당 창당 = 429
2) 15대 총선 = 432
4. DJP연합과 15대 대선 = 436
1) DJP연합과 후보단일화 = 437
2) 신한국당의 경선과 분열 = 441
3) 15대 대선 = 445
5. 맺음말 = 451
제10장 김대중정부하의 정당구도 분석 = 453
1. 머리말 = 453
2. 공동정권 출범과 6.4지방선거 = 455
1) 공동정권의 출범과 여대야소 추진 = 455
2) 6·4지방선거 = 458
3) 한나라당의 체제정비와 이회창의 복귀 = 460
3. 새천년민주당 창당과 16대 총선 = 463
1) 내각제개헌 갈등 = 463
2) 새천년민주당 창당과 DJP공조 파기 = 466
3) 16대 총선 = 469
4. DJP공조의 복원과 붕괴 = 472
1) DJP공조의 복원과 자민련의 교섭단체 등록 = 473
2) 임동원 해임건의안 통과와 DJP공조 붕괴 = 476
5. 16대 대선 = 479
1) 민주당 경선 = 479
2) 한나라당 경선 = 482
3) 국민통합21 창당과 후보단일화 = 484
6. 맺음말 = 486
후기 = 489
찾아보기 = 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