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통번역과 등가 편혜원 김도훈 [공역]

통번역과 등가 편혜원 김도훈 [공역] (2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Israel, Fortunato. 이향. 편혜원. 김도훈. 최정화.
서명 / 저자사항
통번역과 등가 / Fortunato Israel 편집 ; 이향; 편혜원; 김도훈 [공역].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   2004.  
형태사항
403 p. ; 23 cm.
총서사항
통역번역학 시리즈 ; 5.
원표제
Identite, alterite, equivalence? : la traduction comme relation.
ISBN
8957262393
일반주기
감수자: 최정화.  
서지주기
참고문헌수록
000 00867camccc200301 k 4500
001 000045155213
005 20100806115809
007 ta
008 050204s2004 ulk 001a kor
020 ▼a 8957262393 ▼g 93700: ▼c \16000
035 ▼a KRIC09698582
040 ▼a 211019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418.02 ▼2 22
090 ▼a 418.02 ▼b 2004e
100 1 ▼a Israel, Fortunato. ▼0 AUTH(211009)89473
245 1 0 ▼a 통번역과 등가 / ▼d Fortunato Israel 편집 ; ▼e 이향; ▼a 편혜원; ▼a 김도훈 [공역].
246 1 9 ▼a Identite, alterite, equivalence? : la traduction comme relation.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4.
300 ▼a 403 p. ; ▼c 23 cm.
440 0 0 ▼a 통역번역학 시리즈 ; ▼v 5.
500 ▼a 감수자: 최정화.
504 ▼a 참고문헌수록
700 1 ▼a 이향. ▼0 AUTH(211009)9503
700 1 ▼a 편혜원.
700 1 ▼a 김도훈. ▼0 AUTH(211009)138769
700 1 ▼a 최정화.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8.02 2004e 등록번호 11131353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4-01-10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8.02 2004e 등록번호 1113135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Fortunato Israel(지은이)

<통번역과 등가>

이향(옮긴이)

성신여고를 거쳐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어과,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한불과를 졸업하고 2006년 동 대학원에서 『번역물 감수의 심층 분석을 통한 번역교육 응용방안 연구』 로통번역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7년부터 2013년까지 통번역대학원 한불과 및 동 대학 프랑스어과에서 동시통역, 번역, 순차통역, 등을 가르쳤다. 한국외대 통역대학원 통역번역특화사업단 상임연구원, 고려대학교 BK 21 번역비평가 양성사업팀 연구교수를 거치면서 통번역 교육, 통번역 이론, 통번역 실무 등에 대한 포괄적 경험을 축적해 왔으며 특히 통번역에 대한 이론적 담론과 실무 간의 틈새를 좁히고자 노력해 왔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 프랑스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번역학 국제 학술지 FORUM의 편집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번역이란 무엇인가’, ‘번역에서 번역학으로’가 있으며 공역서로는 ‘번역론: 번역에 관한 철학적 성찰’, ‘낯선 것으로부터 오는 시련’, ‘번역과 문자: 먼 것의 거처’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 언어와 문화, 밀접한 두 가지 기호 체계 = 1
  유사성 = 3 
  상이성 = 8 
  상호 관계 = 10
2. '대응'과 '등가' : 언어차원의 번역과 담화 차원의 번역 = 13
  담화차원의 등가 = 17 
  언어 차원의 대응 = 18
  사전적 대응어와 사후적 대응어 = 21
  등가와 탈언어화 = 21 
  제유 = 23
  언어의 제유 = 23 
  담화의 제유 = 24
3. 번역적 관계(Translational relation) 이론 = 33
  패러독스 = 35 
  관계와 변수 = 36 
  인과성에 대하여 = 40
  가설 = 44 
  사례 = 46 
  결론 = 49
4. 감수 : 번역성찰의 수단 = 57
  감수 입문 = 60 
  전문 감수 = 64 
  감수를 넘어서 = 76
5. 원문과 번역문의 연결고리 = 87
  번역텍스트의 파생성 = 89 
  이질성의 표지 = 91 
  등가 개념 = 94
6. 번역학과 연관성 이론 = 105
  연관성 이론의 번역학에 대한 기여 = 113
  인지적 화용론과 코퍼스의 분석 = 116 
  결론 = 119
7. 번역은 아포리아인가? = 127
8. 시험대에 오른 해석이론 = 157
  통역이론 개괄 = 159 
  경험 = 160 
  설문조사 = 161
  설문조사 결과의 분석 = 162 
  결론 = 165 
  전망 = 167
9. 상황 모델 : 통역사, 연사, 청자 간의 인지적 관계 = 177
  요약 = 179 
  도입 = 179 
  상황 모델 = 181
  원격 통역 연구의 메타분석 = 185 
  결론 = 189
10. 통역사 : 현대의 뱃사공 = 203
11. 수화통역, 치환통역인가 번안인기? = 239
  치환통역 = 242 
  과잉 적응 = 245 
  통역과 등가 = 249
12. 형식이 내용을 만들 때 = 257
13. 특별한 관계에 대한 연구 : 불어로 쓰는 아랍어 작가의 작품에 대한 아랍어 번역, Georges Shehad e · 를 중심으로 = 281
  특별한 관계 = 284 
  유효한 관계 = 288
14. 초텍스트성(transtextuality)과 번역 : 서사의 세계를 번역히기 = 303
15. 번역사의 임무 : 타성과 자아의 조율 = 323
16. 화면 해설 :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통역 = 331
  개념 = 333 
  방법론 = 334 
  온전한 의미의 번역 = 334 
  결론 = 338
17. 원문과 번역문의 공존 = 351
  부재 혹은 죽음 속에서의 번역 : 이론적 고찰 = 353
  원문과 번역문이 공존할 때 = 356
  지구촌 시대에서 원문과 번역문 = 359
  공존으로 인한 제약과 자유 = 362
18. 지나가세요, 구경할 것이 있어요... 영화 '각색'의 다양한 측면 = 367
  뛰어넘어야 할 이분법 = 369 
  '원문'이 없는 번역 = 371
  규범화된 결정 = 377 
  번역사의 존재 = 380
  접근 가능성에 관하여 = 38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