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신화·전설 속 술의 유래
1. 신화·전설·실존의 술을 기술한 고문헌 = 11
2. 술의 어원 = 11
3. 주(酒) 자(字)의 기원 = 14
4. 신화·전설 속의 술의 유래 = 15
참고문헌 = 26
제2장 고대 중국의 누룩과 술
1. 고대 중국 술과 누룩을 기술한 고문헌 = 27
2. 고대 중국의 누룩과 술(서기 0년∼기원전 1000년) = 27
3. 고대 중국의 술과 누룩(서기 500년 전후) = 32
4. 당(唐)·송(宋)·원(元) 시대의 술(600∼1350년) = 38
참고문헌 = 44
제3장 고문헌 속의 고조선·원삼국 시대의 술
1. 고조선·원삼국 역사의 개요 = 45
2. 고조선·원삼국 시대의 술을 기록한 고문헌 = 46
참고문헌 = 49
제4장 삼국 시대·통일신라 시대의 술
1. 삼국·통일신라 역사의 개요 = 51
2. 삼국·통일신라 시대의 술을 기술한 중국 고문헌 = 52
3. 고문헌 속의 삼국·통일신라 시대의 술 = 53
4. 술에 얽힌 희노애락 = 55
5. 고조선·원삼국·삼국·통일신라 시대 술의 정리 = 56
참고문헌 = 58
제5장 고려 시대의 술
1. 고려 역사의 개요 = 59
2. 고려 시대 술을 기술한 고문헌 = 60
3. 고문헌 속의 고려 시대 술 = 62
4. 시문집·가요집 속의 고려 시대의 술 = 68
5. 고려 시대의 주점과 사원의 술 = 76
6. 술에 얽힌 여담 = 78
7. 고려 시대에 유입된 외래주 = 80
8. 고려 시대의 술의 정리 = 81
참고문헌 = 84
제6장 조선 시대(朝鮮時代, 1392∼1910)의 술
1. 조선 시대 술을 기술한 고문헌 = 85
2. 고문헌 속의 조선 시대의 술 = 90
3. 조선 시대의 술을 기술한 언어서·시문집·어학서·총서·연행록 선집 = 123
4. 조선 시대에 유입한 외래주 = 139
5. 조선 시대 술의 정리 = 141
참고문헌 = 147
제7장 누룩
1. 막누룩의 일반 제법 = 151
2. 고대 중국의 누룩 = 152
3. 중국 고문헌 『제민요술』 속의 삼국과 통일신라 시대 누룩 = 155
4. 조선 시대의 누룩 = 158
5. 누룩 만들기(製麴) = 164
참고문헌 = 177
제8장 한말·일제하의 주세법·누룩과 술·주조협회(1910∼1945년대)
1. 주세법의 발포 = 180
2. 일제 시대의 술 = 183
3. 일제 시대 술의 생산량 = 184
4. 일제 시대 주세 징수 = 185
5. 한말의 곡자 = 186
6. 한말의 상용주 = 189
7. 한말의 술집 = 193
8. 일제 시대의 국자와 술 = 198
참고문헌 = 208
제9장 주류의 분류
1. 제조법에 따른 주류의 분류 = 210
2. 당화와 발효의 조합에 따른 분류 = 210
3. 주세법에 따른 분류 = 211
4.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분류 = 212
5. 『임원십육지』에 의한 분류 = 212
6. 이(병)교수의 조선 시대의 술분류 = 215
7. 『고사십이집』에 의한 분류 = 217
8. 이(갑)교수에 의한 고문헌에 수록된 우리 술의 분류 = 218
9. 이(을)교수에 의한 전통민속주의 분류 = 220
10. 장교수에 의한 전통주의 양조기술에 따른 분류 = 224
참고문헌 = 225
제10장 술 빚을 때 유의할 일
1. 주조상의 유의 사항 = 227
2. 주조일의 길흉 = 228
3. 주조 용수 = 229
4. 술맛과 길흉(吉凶) = 230
5. 술 빨리 고이게 하는 법 = 230
6. 신 술 고치는 법(救酸酒法) = 230
7. 술맛 고치는 법(變濁酒爲淸酒法) = 231
8. 술 항아리 저장법 = 232
9. 술 병(病)을 예방하는 법 = 233
10. 술 끊는 방법(斷酒方) = 235
11. 소줏불 끄는 법 = 235
참고문헌 = 235
제11장 주류 산업의 현황과 주세
1. 현재 우리나라의 주세법·주세법 시행령·주세법 시행규칙 = 237
2. 탁·약주 제조장과 시장 규모 = 242
3. 주정 생산 = 245
4. 주류(술) 규격 = 246
5. 정부수립 후의 주류 정책 = 258
6. 주류 시장의 변천 = 260
7. 주류의 수출과 수입 = 262
8. 주류 유통업의 종사자 = 263
9. 주세와 조세징수 = 264
10. 주조사제도 = 266
11. 주류업 단체 = 267
참고문헌 = 268
제12장 알코올 발효 미생물·누룩 미생물
1. 알코올 발효 = 269
2. 발효 미생물의 개요 = 276
3. 알코올 발효 미생물 = 281
4. 누룩 속의 미생물 = 283
참고문헌 = 286
제13장 양조기술
1. 청주 = 289
2. 맥주 = 291
3. 포도주 = 294
4. 위스키 = 296
5. 브랜디 = 297
6. 소주 = 297
7. 약·탁주 = 298
8. 민속주 제조 허가 주류와 술빚기 = 305
8.1 감홍로 = 306
8.2 강원 평창 감자술 = 308
8.3 강원 횡성 의이인주 = 308
8.4 경기 옥로주 = 309
8.5 경기 계명주 = 310
8.6 계룡 백일주 = 311
8.7 교동법주 = 312
8.8 궁궁주 또는 천궁주 = 313
8.9 김제 송순주 = 314
8.10 김천 과하주 = 315
8.11 남해 유자주 = 317
8.12 달성 하향주 = 317
8.13 면천 두견주 = 318
8.14 문경 호산춘주 = 320
8.15 문배주 = 321
8.16 (부산)금정(산성)막걸리 = 323
8.17 삼해주 = 324
8.18 서울 송절주 = 327
8.19 송죽 오곡주 = 327
8.20 송화 백일주 = 329
8.21 승주 사삼주 = 330
8.22 신선주 = 330
8.23 아산 연엽주 = 331
8.24 안동 소주 = 332
8.25 안양 옥미주 = 333
8.26 용인 동동주 = 334
8.27 이리 이강고 = 335
8.28 인삼주 = 336
8.29 전주 과하주 = 338
8.30 전주 이강주 = 339
8.31 제주 오메기술 = 340
8.32 중원 청명주 = 341
8.33 진도 홍주 = 342
8.34 청양 구기자주 = 343
8.35 청주 대추술 = 344
8.36 춘천 강냉이엿술 = 344
8.37 인천 칠선주 = 345
8.38 한주 = 346
8.39 한산 소국주 = 347
8.40 함양 국화주 = 349
8.41 해남 진양주 = 350
8.42 황금주 = 350
참고문헌 = 352
제14장 조선 시대의 시대별 주요 주류 = 353
부록 : 한말(1906)부터 2003년까지의 우리 누룩과 술의 연구문헌
1. 일제 통감부시대(1906)부터 해방(1945)까지의 술과 누룩 연구문헌과 관련 서적 = 487
2. 건국(1947) 이후 2003년까지의 주류 연구문헌과 관련 서적 = 497
3. 건국(1947) 이후 2003년까지의 술과 건강·음주문화·술과 문학·음주예법·속담·고사성어와 관련된 문헌 = 513
찾아보기 = 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