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93camccc200277 k 4500 | |
001 | 000045154526 | |
005 | 20100806114821 | |
007 | ta | |
008 | 041214s2005 ulk 001a kor | |
020 | ▼a 8980384955 ▼g 94680: ▼c \22,000 | |
020 | 1 | ▼a 8980380003(세트)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791.4301 ▼2 21 |
090 | ▼a 791.4301 ▼b 2005 | |
100 | 1 | ▼a Aumont, J. ▼q (Jacques) ▼0 AUTH(211009)80890 |
245 | 1 0 | ▼a 영화감독들의 영화 이론 / ▼d 자크 오몽 [지음] ; ▼e 곽동준 옮김. |
246 | 1 9 | ▼a (Les) theories des cineastes |
260 | ▼a 서울 : ▼b 東文選 , ▼c 2005. | |
300 | ▼a 320 p. ; ▼c 23 cm. | |
490 | 1 0 | ▼a 문예신서 ; ▼v 270 |
504 | ▼a 참고문헌(p. 303-309) 및 색인수록 | |
700 | 1 | ▼a 곽동준 ▼0 AUTH(211009)139674 |
830 | 0 | ▼a 문예신서 (동문선) ; ▼v 270 |
900 | 1 1 | ▼a 오몽,자크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5 | 등록번호 1113685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5 | 등록번호 1113686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791.4301 2005 | 등록번호 1511742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5 | 등록번호 11136859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5 | 등록번호 11136860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791.4301 2005 | 등록번호 1511742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자크 오몽(지은이)
프랑스 영화학자. 영화이론가. 자크 오몽은 파리 3대학(소르본 누벨) 영 화학과 교수로서 여기서 25년 이상 영화미학과 영화이론을 강의했고, 고등사회과학연구소(EHESS) 및 프랑스국립미술학교 등의 교수직도 역임했다. 에이젠슈테인(『몽타주 에이젠슈테인』, 1979)에 대한 저작을 시작으로 『멈추지 않는 눈』(1989), 『이미지』(1990), 『영화 속의 얼굴』(1992), 『영화미학』(미셸 마리 등과 공저, 1994), 『영화감독들의 영화이론』(2002), 『잉마르 베리만』(2004), 『영화와 미장센』(2006), 『픽션의 한계』(2014), 『영화적 픽션』(2018) 등과 같이 영화이론과 영화미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서른 권 남짓한 저작을 출간했다.
곽동준(옮긴이)
부산대 불어불문학과 졸업 후 프랑스 리모주대학에서 석사학위를, 그르노블III대학에서 바로크 시인 생 타망(1594~1661)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산대 불어불문학과에서 프랑스 어와 시를 가르치며, 바로크 예술과 문화를 연구 중이다. 옮긴 책으로 제라르 듀로조이 《세계현대미술사전》(1993, 2008), 마르그리트 뒤라스 《간통》(원제: 여름밤 10시 30분, 1994), 앙드레 빌레 《피카소 기억들과 비밀정원》(1996), 모리스 르베 《프랑스 고전주의 소설의 이해》(1996), 자크 오몽 《영화감독들의 영화이론》(2005), 니콜라 부알로 《부알로의 시학》(2005), 뱅상 아미엘 《몽타주의 미학》(2007), 미셸 옹프레 《바로크의 자유사상가들》(2009), 자크 랑시에르 《사람들의 고향으로 가는 짧은 여행》(2014), 생 타망 《구원받은 모세》(2014), 앙리에트 르빌랭 《바로크란 무엇인가》(2015)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 《텍스트 미시 독서론》(1996), 《지역시대의 지역논단》(2001), 《세계의 도시를 가다1: 베를린과 파리》(공저, 2017), 《미술, 어떻게 읽을까》(2018) 등이 있고, 이 외에도 프랑스 시와 바로크에 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목차
목차 서문 = 9 제1장 이론가들의 이론 = 29 개념 만들기 = 30 브레송과 만남 = 30 베르토프와 간격 = 36 에이젠슈테인과 지적 몽타주 = 41 파졸리니와 '테마 언술' = 48 문제 제기하기 = 55 타르코프스키 : 조각된 시간 = 57 1) 경험적 시간 : 관객의 시간 경험 = 57 2) 새겨진 시간 : 시간은 쇼트의 본질 = 59 3) 조각된 시간 : 감독의 작업 = 60 엡스탱 : 창조된 시간 = 64 체계 세우기 = 73 에이젠슈테인 : 체계의 창조자 = 73 1) 언어 대 이미지 : 지각된 것과 언어화할 수 있는 것 = 79 2) 언어와 사고 = 80 3) 언어, 사고, 주체 = 82 브레송과 시네마토그래프 = 82 1) 시네마토그래프의 방법 = 84 2) 영화의 창작 = 86 제2장 보이는 것과 이미지, 현실과 그 글쓰기 = 91 이미지와 보이는 것 = 92 언어와 시각 사이 : 고다르 = 93 영화와 미술 사이 : 로메르 = 102 자연과 절대 사이 : 타르코프스키 = 108 시각과 시각 사이 : 브랙헤이지 = 112 이미지와 이미지 사이 : 프램프턴, 샤리츠, 쿠벨카 = 115 보이는 것과 현실 = 118 자동으로 씌어진 현실 : 파졸리니 = 119 다시 생각해 본 현실 : 엡스탱 = 121 드러난 현실 : 베르토프, 그리어슨, 에고이얀 = 124 '사물은 그대로 있다' : 로셀리니, 스트라우브 = 130 사실주의 : 파스빈더 = 133 글쓰기, 문체 = 137 뒤라스 : 글쓰기 = 140 아스트뤽 : 연출에서 소설 기법의 영화까지 = 143 히치콕 : 큰 형식으로서의 '서스펜스' = 146 펠레시안 : '대위법적' 통사 구조 = 150 지아니키앙, 플레이셔 : 재구성 = 153 시 = 155 포토제니 영감 : 장 엡스탱 = 156 파졸리니 : '시적 영화' = 160 콕토(혹은 브레송) : 시의 정신 = 163 제3장 장치와 전략 = 167 스펙터클과 관객 : 효율성 = 168 정서적 참여 : 히치콕과 서스펜스 = 168 본질적 참여 : 에이젠슈테인과 황홀 = 173 지금과 여기서 행동하기 : 파스빈더의 관객 = 177 사회적 책임 = 184 영화계의 대부 : 그리어슨 = 185 사회적 진실을 위한 감독 : 베르토프 = 191 교훈적인 관심 : 로셀리니 = 196 제3세계의 정치적 관점 : 로샤 = 202 이념적 대답(유토피아) = 205 파스빈더 : 삶에 도움을 주는 영화 = 205 파졸리니 : 유토피아로서의 시 = 209 타르코프스키 : 모두를 위한 예술 = 216 스트라우브, 혹은 실제를 유토피아로 = 218 뒤라스 : '영화를 파멸시켜라' = 222 고다르 : 구원으로서의 후퇴 = 224 제4장 예술과 시학 = 233 예술의 갈래에 있는 영화 = 234 고전주의의 필연성 : 로메르 = 235 영화의 우월성 : 클레르에서 타르코프스키까지 = 242 종합 예술로서 영화 : 에이젠슈테인에서 고다르와 루이즈까지 = 247 작가, 예술가 = 255 '영화인'이란 누구인가? = 255 예술가 : 타르코프스키, 콕토와 그외 사람들 = 259 비평과 비평가들 : 트뤼포 = 264 작가 : 파스빈더, 베리만 = 267 영화인의 아틀리에 = 270 현장 작업과 실험가들 = 271 전문 직업 : 루이스, 푸도프킨 = 273 영화의 장인 : 스트라우브, 뒤라스, 물레 = 279 실험과 교육 = 282 로셀리니, 실험가 = 283 쿨레쇼프 : 실험 아틀리에 = 287 레이 : 배우의 아틀리에 = 291 결론 = 299 참고 문헌 = 303 색인 = 311 역자 후기 =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