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53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154223 | |
005 | 20100806114354 | |
007 | ta | |
008 | 040702s2004 ulka 001a kor | |
020 | ▼a 8970894705 ▼g 93510 | |
035 | ▼a KRIC09423863 | |
040 | ▼a HYUA ▼c HYUA ▼d 241050 ▼d 244014 ▼d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616.028 ▼2 22 ▼a 610.7361 ▼2 21 |
090 | ▼a 616.028 ▼b 2004 | |
245 | 0 0 | ▼a 중환자간호 = ▼x Critical care nursing in ICU / ▼d 김금순...[등]저. |
260 | ▼a 서울 : ▼b 군자출판사 , ▼c 2004. | |
300 | ▼a xii, 409 p. : ▼b 삽도 ; ▼c 28 cm. | |
500 | ▼a 공저자: 권은옥, 김명애, 박옥향, 송경자, 송라윤, 신현주, 유정숙, 이영희, 임동식, 조용애, 조정숙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김금순 ▼g 金錦順 , ▼d 1949-.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616.028 2004 | 등록번호 131020489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13-09-10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중환자간호학은 임상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전문간호영역입니다. 중환자간호사의 세심하고 책임있는 역할이야말로 생명이 위중한 환자의 희망일 것입니다. 최근 전문간호사 제도가 법제화됨에 따라 중환자실이 갖추어져 있는 병원에서는 중환자간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고 중환자간호사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지만 중환자간호사를 교육하고 실무를 안내할 교재는 매우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러한 욕구충족을 위하여 2년여에 걸쳐 매달마다 중환자 전문간호사들이 모여 세미나를 하여 중환자간호에 가장 적절한 책을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이 책이 임상에서 근무하는 중환자간호사에게는 실무지침이 됨은 물론 대학원의 전문과정을 위해서는 유용한 교육자료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본서는 크게 7부 28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중환자실개요 심혈관계 중환자간호 호흡기계 중환자간호 신경계 중환자간호 신장계 중환자간호 심폐소생술 수혈요법 중환자 영양관리 중환자실 감염관리 및 피부간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환자실개요에는 중환자간호의 역할과 분류 입실 및 퇴실 범주 윤리적 지침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중환자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었고 각 장들은 성인간호학의 시스템과 차별을 둔 간호실무중심으로 구성하였음은 물론 최신의 간호기법을 포함한 이론과 실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중환자실 개요 Chapter 1. 중환자간호의 개념 = 3 Ⅰ. 정의 = 3 Ⅱ. 기본개념 = 3 Chapter 2. 중환자 간호사의 역할 = 7 Chapter 3. 중환자실 분류 및 시설 = 9 Ⅰ. 중환자실의 병상 규모 = 9 Ⅱ. 중환자실의 운영방식과 운영 규모 = 9 Ⅲ. 중환자실의 위치 및 구조 = 9 Ⅳ. 중환자실 환경 = 10 Chapter 4. 입실 및 퇴실 범주 = 13 Ⅰ. 입·퇴원 기준 = 13 Ⅱ. 중환자의 분류 = 14 Chapter 5. 윤리적 지침 = 17 심혈관계 중환자간호 Chapter 6. 혈역학 감시 = 21 Ⅰ. 침습적 혈역학 감시 = 21 1. 적응증 = 21 2. 간호중재 = 21 3. 합병증 = 24 Ⅱ. 동맥압 감시 = 24 1. 동맥압 측정방법 = 24 2. 동맥압 파형 = 25 3. 동맥압 감시 환자간호 = 26 Ⅲ. 폐동맥을 이용한 감시 = 27 1. 생리적 원리 = 27 2. 폐동맥압 = 27 3. 폐모세혈관 쐐기압 = 28 4. 심박출량 = 29 5. 혼합정맥혈 산소 포화도(S$$dot v$$ O₂) = 31 Ⅳ. 중심정맥압 감시 = 31 1. 중심정맥압 감시의 적용 = 31 2. 중심정맥압 측정방법 = 31 3. 중심정맥압 파형 = 31 Ⅴ. 심기능 지표 (부록) = 33 Chapter 7. 심전도 = 37 Ⅰ. 심장의 전기 생리 = 37 1. 심장의 자극전도계 = 37 2. 심장의 활동전위곡선 = 38 Ⅱ. 심전도 기록 = 39 1. 심전도 기록 원리 = 39 2. 심전도 기록지 = 39 3. 유도체계 = 40 4. 심전도의 기본 파형과 간격 = 42 Ⅲ. 심전도 리듬의 분석 = 45 1. 리듬의 규칙성 = 45 2. 심박동수 = 45 3. P 파 = 47 4. PR 간격 = 48 5. QRS 군 관찰 = 48 Ⅳ. 심전도 판독 = 48 1. 정상 동성 리듬 = 48 2. 동성 빈맥 = 48 3. 동성 서맥 = 48 4. 동성 부정맥 = 49 5. 동정지와 동차단 = 49 6. 방황성 심방리듬 = 51 7. 심방성 부정맥 = 51 8. 방실 접합부성 부정맥 = 53 9. 방실 차단 = 56 10. 심실성 부정맥 = 58 Chapter 8. 순환보조장치 = 65 Ⅰ. 대동맥내 풍선펌프 = 65 1. 적용 = 65 2.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적용한 환자의 감시 = 67 Ⅱ. 심실보조 장치 = 68 1. 적용 = 68 2. 간호 = 69 Ⅲ. 체외막산화 장치 = 70 1. 적용 = 70 2. 간호 = 70 Chapter 9. 심혈관계에 작용하는 악물 = 73 Ⅰ. 승압제 = 73 1. 아드레날린 수용기 효능제(adrenergic receptor agonists) = 74 2. Phosphodiesterase 억제제 : Amrinone, Milrinone = 77 3. Digitalis = 78 Ⅱ. 항고혈압제와 혈관이완제 = 79 1. Nitrates = 79 2. Nitroprusside sodium = 79 3. 칼슘통로차단제 = 80 4. 직접 동맥이완에 작용하는 약물 : Hydralazine, Minoxidil, Diazoxide = 80 5. β-adrenergic 차단제 = 81 6. α-adrenergic 차단제 = 82 7. ACE 억제제 = 82 Ⅲ. 항부정맥제제 = 83 1. Class Ⅰ-A = 83 2. Class Ⅰ-B = 83 3. Class Ⅰ-C = 84 4. Class Ⅲ = 84 Ⅳ. 기타 심혈관계약물 = 84 1. Diuretics = 84 2. Atropine = 85 호흡기계 중환자간호 Chapter 10. 호흡기계 감시 = 89 Ⅰ. 동맥혈 가스분석 = 89 1. 동맥혈 가스분석의 판독 = 89 2. 동맥혈 가스분석 사례 = 93 Ⅱ. 산소포화도 측정 = 93 1. 맥박 산소포화도 측정 = 93 Ⅲ.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 = 96 1. 카프노그래피 = 96 Chapter 11. 기도유지 및 관리 = 99 Ⅰ. 인공기도 = 99 1. 구인두 인공기도 = 99 2. 비인두 인공기도 = 101 3. 식도폐색 기도유지기 = 103 4. 기관내 삽관 = 104 5. 기관절개술 = 110 Ⅱ. 기도 흡인간호 = 116 1. 구비강 인두 흡인 = 116 2. 기관-기관지 흡인 = 117 3. 기관내 흡인 = 119 4. 합병증 = 121 Ⅲ. 흉부물리요법 = 121 1. 흉부물리요법의 목적 = 121 2. 흉부물리요법의 적응증 = 122 3. 흉부물리요법의 방법 = 122 4. 흉부물리요법의 효과평가 = 126 5. 흉부물리요법시의 유의사항 = 127 Chapter 12. 산소요법과 분무요법 = 129 Ⅰ. 산소요법 = 129 1. 산소화 과정 및 저산소혈증 = 129 2. 조직 저산소증의 평가 = 135 3. 산소요법의 적응증 = 136 4. 산소투여방법 = 137 5. 산소투여 환자의 간호지침 = 145 6. 산소요법의 합병증 = 145 Ⅱ. 분무요법 = 149 1. 분무의 원리 = 149 2. 분무기의 종류와 특성 = 150 3. 호흡요법, 약제의 종류 및 특성 = 156 Chapter 13. 흉관 관리 = 163 Ⅰ. 흉관 삽입 = 163 1. 원리 = 163 2. 적응증 = 163 3. 절차 = 163 4. 환자간호 = 164 Ⅱ. 밀봉흉곽배액 = 164 1. 원리 = 164 2. 종류 = 164 3. 절차 = 166 4. 환자간호 = 168 Ⅲ. 흉관 제거 = 168 Chapter 14. 인공환기 = 171 Ⅰ. 인공환기의 원리 = 171 Ⅱ. 인공환기의 적용방식 = 172 1. 인공환기 양식의 변수 = 173 2. 인공환기 양식의 분류 = 174 3. 인공환기의 적용 및 설정 = 179 Ⅲ. 인공환기 파형 = 180 1. Scalar graphics = 180 2. Loop = 180 Ⅳ. 인공환기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 = 181 1. 폐에 미치는 영향 = 181 2. 순환기계에 미치는 영향 = 181 3. 신장에 미치는 영향 = 181 4. 소화기계에 미치는 영향 = 181 5. 영양에 미치는 영향 = 182 6.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 182 Ⅴ. 인공환기의 이탈 = 182 1. 인공환기 이탈의 기준지표 = 182 2. 인공환기 이탈절차 = 183 Chapter 15. 호흡부전 환자의 중재 = 185 Ⅰ. 복위환기법 = 185 1. 원리 = 185 2. 적응증 = 187 3. 부작용 = 187 4. 절차 및 환자 간호 = 187 Ⅱ. 폐포복원술 = 188 1. 원리 = 188 2. 적응증 = 190 3. 절차 = 190 4. 평가 및 부작용 = 191 5. 환자간호 = 191 6. 폐포복원술 적용의 예 = 191 Ⅲ. NO 가스요법 = 192 1. 원리 = 192 2. 적응증 = 193 3. 절차 = 194 4. 부작용 = 196 5. 환자간호 = 197 Chapter 16. 호흡기계 약물 = 201 Ⅰ. 점액활성제 = 201 1. 점액용해제 = 201 2. 거담제 = 202 Ⅱ. 기관지 확장제 = 202 1. 교감신경성 기관지 확장제 = 202 2. 메틸잔틴 제제 = 204 3. 항콜린제 = 205 Ⅲ. 기관지 천식 치료제 = 205 1. β₂교감신경 항진제 = 206 2. 메틸잔틴 제제 = 206 3. 항콜린제 = 206 4. 부신피질 호르몬 제제 = 206 5. Disodium cromoglycate = 207 6. Nedocromil sodium = 208 7. 기타 약제 = 208 8. 천식의 중증도에 따른 약물요법 = 208 신경계 중환자간호 Chapter 17. 신경계 사정 = 213 Ⅰ. 의식수준사정 = 213 1. 의식수준 = 213 2. 동공 = 214 3. 활력징후 = 216 4. 뇌간반응 = 217 5. 운동기능 = 217 Ⅱ. 뇌신경사정 = 218 1. 제Ⅰ뇌신경 : 후각신경 = 218 2. 제Ⅱ뇌신경 : 시신경 = 218 3. 제Ⅲ뇌신경 : 동안신경 제Ⅳ뇌신경 : 활차신경 제Ⅵ뇌신경 : 외전신경 = 218 4. 제Ⅴ뇌신경 : 삼차신경 = 220 5. 제Ⅶ뇌신경 : 안면신경 = 220 6. 제Ⅷ뇌신경 : 청각전정신경 = 220 7. 제Ⅸ뇌신경 : 설인신경, 제Ⅹ뇌신경 : 미주신경 = 220 8. 제XI뇌신경 : 부신경 = 221 9. 제XII뇌신경 : 설하신경 = 221 Ⅲ. 두개내압감시 = 221 1. 두개내압 감시의 필요성 = 221 2. 두개내압 감시의 방법 및 종류 = 221 3. 일반적 간호중재 = 223 Chapter 18. 두개내압 상승환자의 간호 = 227 Ⅰ. 두개내압 = 227 1. 두개내압 생리적 기전 = 227 2. 두개내압 상승 요인 = 227 3. 두개내압 상승 증상 및 징후 = 228 4. 뇌탈출 = 229 Ⅱ. 뇌실외 배액 = 230 1. 준비물품 = 230 2. 절차 = 230 3. EVD 적용 환자간호 = 230 Chapter 19. 신경계 약물 = 233 Ⅰ. 경련에 사용되는 약물 = 233 1. Phenytoin(DPH ; diphenylhydantoin) = 233 2. Phenobarbital = 234 3. Carbamazepine = 234 4. Valproate Sodium = 234 5. Diazepam = 235 6. Primidone = 235 7. Thiopental sodium = 236 Ⅱ. 중추신경계 부종에 사용되는 약물 = 236 1. Dexamethasone = 236 2. Mannitol = 237 Ⅲ. 진정제 = 237 1. Propofol = 237 Ⅳ. 해열제 = 238 1. Aspirin = 238 2. Ketoprofen = 238 3. Acetaminophen = 238 Ⅴ. 진통제 = 238 1. Nalbuphine = 238 2. Pentazocine = 239 3. Ketorolac tromethamine = 239 Ⅵ. 뇌혈관 연축예방에 사용되는 약물 = 239 1. Nimotop = 239 Ⅶ. 신경계 호르몬제 = 240 1. Vasopressin = 240 신장계 중환자간호 Chapter 20. 급성신부전 = 245 Ⅰ. 원인과 병태생리 = 245 1. 신전성 장애 또는 신전성 고질소혈증 = 245 2. 내인성 신장애 또는 신성 고질소혈증 = 247 3. 신후성 장애 또는 신후성 고질소혈증 = 248 Ⅱ. 임상증상 = 248 1. 일반적 증상 = 249 2. 체액, 전해질과 산·염기 이상 = 250 3. 심혈관계 이상 = 252 4. 혈액학적 이상 = 252 5. 소화기계 이상 = 252 6. 호흡기계 이상 = 252 7. 신경계 이상 = 252 8. 감염성 합병증 = 252 9. 영양물질 대사 이상 = 252 Ⅲ. 진단 = 253 1. 병력조사 = 253 2. 혈청 생화학 검사 = 254 3. 요 검사 = 254 Ⅳ. 치료 및 간호 = 255 1. 수분 불균형의 교정 = 255 2. 전해질 불균형의 예방과 치료 = 257 3. 대사성 산증의 치료 = 258 4. 이차적 신손상 예방 = 258 5. 감염의 예방과 치료 = 259 6. 영양상태의 향상 = 259 7. 신대체요법 = 260 8. 회복기 치료 = 260 Chapter 21. 신대체요법 = 263 Ⅰ. 신대체요법의 원리 = 264 1. 반투막 = 264 2. 물질이동의 원리 = 264 Ⅱ. 신대체요법의 기본요소 = 266 1. 혈액전달장치(혈관통로) = 266 2. 투석기 = 267 3. 투석액 = 268 4. 항응고요법 = 268 Ⅱ. 신대체요법의 종류 = 270 1. 지속적 신대체요법 = 270 2. 혈액투석 = 276 3. 복막투석 = 279 심폐소생술 Chapter 22. 기본 심폐소생술 = 289 Ⅰ. 소생술의 4가지 연결고리 = 289 1. 첫번째 연결고리 : 응급처치의 적용시점 = 289 2. 두번째 연결고리 : 심폐소생술의 적용시점 = 289 3. 세번째 연결고리 : 제세동의 적용시점 = 290 4. 네번째 연결고리 : 상급관리의 적용시점 = 290 Ⅱ. 응급상황의 인지 = 290 1. 심근경색의 징후 = 290 2. 심정지의 징후 = 291 3. 뇌졸중의 징후 = 291 4.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색의 징후 = 292 Ⅲ. 기본 심폐소생술의 단계 = 292 1. 기본 심폐소생술(BLS)의 ABC = 292 2. 두 명이 시행하는 심폐소생술 = 294 3. 회복을 위한 자세 = 295 4. 이물질 폐색의 구조 = 295 Chapter 23. 상급 심폐소생술 = 297 Ⅰ. 기본 소생술과 상급 소생술 = 297 Ⅱ. 상급 소생술의 두 가지 접근법 = 297 Ⅲ. 심폐소생술에서 자동 제세동기의 적용원리 = 298 Chapter 24. 상급 심폐소생술의 실제 = 301 Ⅰ. 급성관상동맥증 = 301 Ⅱ. 허혈성 흉통 = 302 1. Morphine = 302 2. Oxygen = 302 3. Nitroglycerin = 303 4. Aspirin = 304 Ⅲ. 심정지(Asystole) = 304 1. 초기단계 = 304 2. 경피적 인공심박동기 = 304 3. 약물요법 = 304 4. 가족의 참관 = 304 Ⅳ. 급성 뇌졸중 = 305 1. 유발요인 = 305 2. 증상과 징후 = 306 3. 관리 = 306 4. 상급 심폐소생관리 = 309 5. 지지적 치료 = 309 6. 기타 고려할 점 = 309 Ⅴ. 상해 = 310 1. 유발요인 = 310 2. 증상과 징후 = 310 3. 관리 = 310 4. 상급 심폐소생관리 = 310 Ⅵ. 저체온 = 312 1. 유발요인 = 312 2. 증상과 징후 = 312 3. 관리 = 312 4. 상급 심폐소생관리 = 312 5. 지지적 치료 = 313 Ⅶ. 독성의 응급관리 = 314 1. 유발요인 = 314 2. 증상과 징후 = 314 3. 관리 = 314 4. 상급 심폐소생관리 = 314 Ⅷ. 급성 천식 = 316 1. 유발요인 = 316 2. 증상과 징후 = 316 3. 관리 = 316 4. 상급 심폐소생관리 = 316 5. 지지적 치료 = 316 Ⅸ. 과민반응 = 317 1. 유발요인 = 317 2. 증상과 징후 = 317 3. 관리 = 317 4. 상급 심폐소생관리 = 317 5. 지지적 치료 = 318 6. 부가적 고려사항 = 318 수혈요법, 중환자 영양관리, 중환자실 감염관리, 피부간호 Chapter 25. 수혈요법 = 321 Ⅰ. 수혈요법의 개념 = 321 Ⅱ. 수혈지침 = 321 1. 수혈 전 = 321 2. 수혈 중 = 322 3. 수혈 후 = 324 Ⅲ. 혈액성분 제제 및 성분수혈요법 = 325 1. 성분수혈요법의 개념 = 325 2. 성분수혈의 종류 = 325 Ⅳ. 자가 수혈(auto-transfusion) = 335 1. 정의 = 335 2. 적응증 = 335 3. 간호 = 335 Ⅴ. 수혈 부작용 = 336 1. 정의 = 336 2. 부작용의 종류 및 간호 = 337 Chapter 26. 중환자 영양관리 = 339 Ⅰ. 에너지 요구량과 영양소 = 339 1. 에너지 요구량과 대사 = 340 2. 수분 요구량 = 341 3. 영양소 요구 = 341 Ⅱ. 경장영양 = 341 1. 장내 영양분의 효과 = 341 2. 경관영양 수행 = 341 Ⅲ. 총정맥 영양 = 343 1. 적응 대상과 적응증 = 343 2. 영양소 및 성분 = 343 3. 투여방법 = 345 4. 혼합물 첨가 = 345 5. 합병증 = 346 6. 간호중재 = 346 Chapter 27. 중환자실 감염관리 = 349 Ⅰ. 감염의 종류 및 관리 = 349 1.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 349 2. 혈류감염 = 353 3. 패혈증(sepsis) = 355 4. 요로 감염 = 357 5. 상처감염 = 360 Ⅱ. 병원균 및 다제내성균의 특성 및 관리 = 361 1.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 361 2.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VRE) = 362 3. Tuberculosis = 364 4. Meningococci = 365 5. Herpes = 366 6. Human immunosuppressive virus(HIV) = 366 7. Rabies = 370 8. Creutzfeldt-Jakob disease(CJD) = 370 Ⅲ. 감염관리 지침 = 371 1. 시설관리 = 371 2. 의료진에 대한 관리 = 371 3. 중환자실 감염관리 지침 = 371 Chapter 28. 피부간호 = 375 Ⅰ. 상처의 종류 및 사정 = 375 1. 종류 = 376 2. 상처 치유에 영향을 주는 요소 = 379 3. 상처 사정 = 380 Ⅱ. 상처 치유 과정 = 382 1. 일반적 개념 = 382 2. 층에 따른 조직 복구(Repair) = 383 3. 치유과정 = 383 Ⅲ. 상처 관리 = 384 1. 드레싱 = 385 2. 드레싱 방법 = 387 Ⅳ. 욕창 = 389 1. 개념 및 특징 = 389 2. 욕창의 예방 =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