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18namccc200289 k 4500 | |
001 | 000045154011 | |
005 | 20100806113953 | |
007 | ta | |
008 | 021204s2002 ulka AK 001a kor | |
020 | ▼a 8952103904 | |
035 | ▼a KRIC08496424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46 ▼d 211010 ▼d 247017 ▼d 211009 | |
082 | 0 4 | ▼a 618.970231 ▼2 22 ▼a 610.7365 ▼2 21 |
090 | ▼a 618.970231 ▼b 2002 | |
245 | 0 0 | ▼a 노인간호학 / ▼d 송미순...[등저].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부 , ▼c 2002. | |
300 | ▼a xi, 442 p. : ▼b 삽도 ; ▼c 26 cm. | |
440 | 0 0 | ▼a 간호학강의 ; ▼v 11 |
500 | ▼a 공저자 : 하양숙, 유수정, 박연환 | |
500 | ▼a 부록으로 "노인건강사정도구" 수록 | |
504 | ▼a 참고문헌 및 색인 수록 | |
700 | 1 | ▼a 송미순 |
700 | 1 | ▼a 하양숙 |
700 | 1 | ▼a 유수정 |
700 | 1 | ▼a 박연환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618.970231 2002 | Accession No. 13102003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개정판을 내며 = ⅲ 책을 내면서 = ⅴ 단원 Ⅰ. 서론 제1장 노인인구 증가와 노인간호 = 3 1. 노년학 관련 용어 = 3 2. 노인인구의 구조적 변화 = 5 3. 노인인구의 특성 = 12 4. 노인의 건강상태 = 16 5. 인구의 노령화와 간호 = 21 6. 노년학과 노인간호학의 역사 = 21 제2장 노화이론과 간호 = 26 1. 생물학적 이론(Biological Theories) = 27 2. 사회심리적 이론(Psychosocial Theories) = 29 3. 환경이론(Environmental Theories) = 31 제3장 노인간호의 기본 개념과 간호사 역할 = 38 1. 노년기 건강문제의 특성 = 38 2. 노인간호의 기본 개념 = 42 3. 노인간호사의 활동분야 = 45 제4장 노년기의 생리적 변화와 관련 질환 = 54 1. 위장관계 = 55 2. 신경계 = 61 3. 감각기관 = 65 4. 피부 = 71 5. 비뇨 생식기계 = 73 6. 근골격계 = 75 7. 내분비계 = 78 8. 호흡기계 = 81 9. 심혈관계 = 86 단원 Ⅱ. 기본적 노인간호 제5장 건강증진 및 유지 = 93 1. 건강증진 활동 = 94 2. 건강증진 및 유지의 영향 요인들 = 99 3. 간호과정 = 101 제6장 노인과의 의사소통 = 109 1. 노화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109 2. 노인과의 효과적 의사소통 = 112 제7장 노인의 약물사용 = 124 1. 약물시험 방법(Durg Testing Method)과 관련된 위험요소들 = 125 2. 노화의 생리적 변화에 따른 위험요소들 = 126 3. 복합적 투약(Multiple Medication)에 따른 위험요소들 = 128 4. 약품-식품의 상호작용 = 131 5. 인지적·감각적 변화에 따른 위험요소들 = 133 6. 지식부족과 관련된 위험요소들 = 134 7. 재정적 문제와 관련된 위험요소들 = 135 8. 시설에서의 투약관리 = 136 9. 간호사정과 투약 = 136 10. 투약과 간호계획 = 138 11. 환자의 권리와 투약 = 142 12. 자가투약(Self Medication) = 143 13. 노인의 투약교육 = 143 제8장 노인의 건강사정 = 151 1. 건강 선별검사 = 152 2. 건강사정 = 152 3. 면담 = 153 4. 신체검진 = 159 5. 활력징후 측정 = 161 6. 감각사정 = 165 7. 정신사회적 사정 = 165 8. 기능적인 건강양상의 검토 = 165 9. 가정의 안전상태 사정 = 171 10. 노인 기능사정 평가도구의 이용 = 172 제9장 노인의 건강교육 = 178 1. 노화로 인한 감각기능의 변화 = 179 2. 노화로 인한 기억력의 변화 = 181 3. 노화로 인한 지적 능력의 변화 = 182 4. 노인교육시 고려할 점 = 183 제10장 상해예방 = 193 1. 노인과 상해 = 193 2. 노인에서 상해위험을 높이는 요인들 = 194 3. 낙상 = 196 4. 화상 = 199 5. 자동차 사고 = 200 6. 저체온 사고 = 201 단원 Ⅲ. 신체적 간호문제 제11장 영양 및 수분섭취 = 209 1. 영양과 노화 = 210 2. 간호과정 = 218 제12장 피부와 구강점막의간호 = 241 1. 노화로 인한 피부의 변화 = 242 2. 간호과정 - 피부통합성 장애 = 253 3. 노화로 인한 구강의 변화 = 259 4. 간호과정 - 구강점막의 장애 = 261 제13장 배설 = 270 1. 정상적인 배설양상 = 270 2. 배설과 노화 = 271 제14장 운동과 활동 = 301 1. 정상적인 활동유형 = 301 2. 활동과 노화 = 302 3. 질병과정이 활동에 미치는 영향 = 303 4. 간호과정 = 305 5. 재활(Rehabilitation) = 327 제15장 수면과 휴식 = 335 1. 수면-휴식 양상 = 335 2. 간호과정 - 수면양상의 장애 = 341 단원 Ⅳ. 사회심리적 간호문제 제16장 인지·지각 장애 = 351 1. 인지기능에 관련된 용어 = 351 2. 치매에 관련된 이론 = 357 3. 치매의 위험요인 = 360 4. 치매로 인한 기능적 장애 = 361 5. 간호자에게 미치는 영향 = 364 6. 사정 = 365 7. 중재 = 366 8. 급성질환이 있는 치매노인 = 369 9. 지역사회 치매노인 간호 = 370 10. 치매의 의학적 치료 = 370 제17장 자기개념 장애 = 373 1. 자기지각과 자기개념의 변화 = 373 2. 간호사정 = 374 3. 간호진단 = 375 제18장 노인 간호자의 부담감 = 388 1. 노인 간호자의 부담감 = 389 2. 간호자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90 3. 부담감 경감을 위한 간호중재 = 391 제19장 스트레스와 대처 = 398 1. 정상적인 스트레스와 대처 = 398 2. 노화에 따른 스트레스와 대처 = 404 제20장 노화와 성 = 416 부록 : 노인건강사정도구 = 423 찾아보기 =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