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릿말 = 2
표 목차 = 6
제1장 본 이론의 소개 = 11
1. 본 이론의 요약 = 13
1) 일관도 = 16
2) 분화도 = 17
3) 정체성 = 17
4) 일치도 = 17
5) 계산방법 = 18
2. 개념과 기원의 배경 = 18
1) 기원 = 18
2) 기본원리 = 20
3. 결론 = 25
1) 이론적 맥락 = 25
2) 안정성과 변화 = 26
3) 기타 = 27
4) 직업의 종류 및 수준 = 28
4. 요약 = 28
제2장 성격유형 = 31
1. 성격유형의 발달 = 32
2. 각 성격유형에 관한 설명 = 36
1) 실재형 = 36
2) 탐구형 = 38
3) 예술형 = 39
4) 사회형 = 40
5) 기업형 = 41
6) 전통형 = 42
3. 성격유형의 평가 = 44
4. 하위유형 또는 성격패턴 = 47
1) 유형론적 관계 = 51
5. 성격유형과 기대행동들 = 53
1) 진로 = 53
2) 포부와 성취수준 = 54
3) 진로참여와 만족 = 54
4) 직업변화와 실직 = 55
5) 교육적 행동 = 55
6) 사회적 행동 = 56
7) 환경에 대한 반응 = 56
6. 요약 = 57
제3장 환경모형 = 59
1. 환경모형의 발달 = 60
2. 환경모형에 관한 설명 = 63
1) 실재적 환경 = 63
2) 탐구적 환경 = 64
3) 예술적 환경 = 65
4) 사회적 환경 = 65
5) 기업적 환경 = 66
6) 관습적 환경 = 67
3. 환경모형의 평가 = 68
1) 일관도 = 70
2) 분화도 = 70
3) 정체성 = 71
4. 내부적 관계 = 73
5. 기대되는 행동들 = 74
1) 직업행동 = 74
2) 개별적 효과 = 74
3) 교육적 행동 = 75
4) 사회적 행동 = 75
5) 민감화 = 75
6) 조직적 행동 = 75
6. 요약 = 76
제4장 환경속의 사람 = 77
1. 정의 및 과정 = 78
1) 일치도 = 78
2) 일관도 = 78
3) 변별도 = 81
4) 정체성 = 81
5) 교육수준 = 81
6) 일치도, 일관도, 분화도, 정체성, 교육수준의 조화 = 82
2. 이론상의 적용 = 82
1) 진로와 인생의 여정 = 86
2) 안정성과 변화 = 92
3) 직업적 행동 = 95
4) 교육적 행동 = 96
5) 개인적인 발달과 효과 = 96
6) 환경에 대한 반응 = 97
3. 요약 = 98
제5장 검증결과(1959-1984) = 99
1. 성격유형 = 100
1) 특징 = 101
2) 종합적 검증연구 = 101
3) 성격검사와 척도 = 107
4) 자기진술 = 112
5) 가치 = 114
6) 능력과 적성 = 115
7) 성격패턴과 정체성 = 116
① 분화도
② 일관도
③ 분화도과 일관도의 결합
④ 정체성
8) 생활사 = 125
① 가족의 영향
② 발달사
③ 개인적ㆍ환경적 구속
9) 직업적ㆍ개인적 결과 = 132
① 탐색행동
② 직업인식과 인지양식
③ 교육과 직업의 종류
④ 교육과 직업의 수준
⑤ 직업적인 노력과 선호
10) 유형론적 정의 = 143
① 흥미사
② 질적인 자료들
③ 인종, 성, 사회계급
11) 유형론적 구조 = 147
2. 환경모형 = 151
1) 교육환경 = 151
2) 직업환경 = 156
3. 환경속의 사람 = 161
1) 직업포부와 진로연구 = 161
① 고등학생
② 대학생
③ 성인직장인
2) 개인상호간의 관계 = 132
① 생활의 증언
② 상담자-내담자 관계
③ 부부간의 관계
4. 국가들간의 연구 = 175
5. 요약 = 176
제6장 최근 주목받는 검증결과(1985-1996) = 179
1. 성격유형 = 180
1) 특징 = 181
2) 성격검사 = 181
3) 가치 = 183
4) 능력과 유능감 = 183
5) 분화도ㆍ일관도ㆍ정체성 = 187
① 분화도
② 일관도
③ 정체성
④ 분화도, 일관도, 정체성의 결합
6) 생활사 = 193
7) 직업적ㆍ개인적 결과 = 196
① 탐색행동
② 직업인식과 인지양식
③ 훈련과 직업의 종류
④ 직무수행
8) 유형론적 정의 = 199
① 인종, 성, 사회계급
9) 유형론적 구조 = 201
2. 환경모형 = 206
3. 환경속의 사람 = 207
1) 메타분석 = 207
2) 직업에 관한 연구 = 208
3) 교육에 관한 연구 = 211
4) 일치도와 논쟁점 = 212
① 일치도지수
② 연구설계
③ 이론
4. 국가들간의 경험과 연구 = 216
5. 요약 = 217
제7장 몇 가지 이론의 명료화와 수정 = 219
1. 다양한 신념과 흥미 = 220
2. 일관도, 분화도, 정체성 = 221
3. 이론의 명료화와 정의 = 224
1) 이차구인 = 224
2) 일치도 = 225
3) 분류 = 225
3. 직업경력 (인생사) = 226
4. 개인 진로이론 = 226
5. 요약 = 227
제8장 사람, 직업, 환경에 관한 분류체계 = 229
1. 발달 = 230
1) 예비분류 = 230
2) 중간분류Ⅰ = 232
3) 중간분류Ⅱ = 236
4) 중간분류ⅢㆍⅣ = 236
5) 현행분류 = 238
2. 타당화 과정 = 239
1) 종합검사 = 240
2) 개인별 범주 = 245
3) 범주관계 (육각형 모형) = 247
3. 요약 = 248
제9장 실제에의 적용 = 249
1. 진로조력 = 250
1) 설명과 예언 = 251
2) 진로중재 = 256
2. 사회과학 = 271
1) 분류체계 = 271
2) 개인상호간의 관계 = 274
3) 문화적인 변화와 비교 = 275
3. 교육 = 276
1) 초ㆍ중등 교육 = 276
2) 진로 및 직업교육 = 277
3) 고등교육 = 278
4. 기업 및 산업현장 = 279
5. 요약 = 280
참고문헌 = 281
부록 A. 학생들을 위한 연구 제안 = 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