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 5
서문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정신' - 진지한 솔직성 = 15
1장 프로이트의 생애와 정신분석 운동 = 21
2장 정신분석이란 무엇인가 = 37
1. 정신분석의 정의 = 37
2. 정신분석의 목적 = 40
1) 인식 = 41
2) 치료 = 43
3. 정신분석학의 발생 배경 = 44
1) 철학적 배경 - 대화법과 계보학 = 44
2) 종교 전통과 고해성사 = 48
3) 최면과 무의식 체험 = 50
4) 정화요법 - 충격 관념과 정서 에너지의 분출 = 54
5) 자유연상법 - '정신분석' 역사의 시작 = 58
4. 정신분석의 제반 특성들 = 62
1) 정신분석의 학문적 위상 -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병존 = 62
2) 심리학과 정신분석학의 차이 = 66
3) 정신분석 치료의 특징 = 67
4) 정신분석 공부 방법 = 70
5) 정신분석 공부의 조건 = 71
6) 정상과 비정상의 구분 = 74
7) 정신분석가의 자격 조건 = 76
8) 정신분석가의 태도와 역할 = 78
9) 정신분석 치료의 단점 = 79
10) 우리에게 정신분석 이론이 낯선 까닭 = 80
3장 무의식이란 무엇인가 = 83
1. 프로이트의 정신혁명 - 무의식의 발견과 탐구 = 84
1) 의식과 '의식 아닌 것' = 84
2) 두 개의 혁명적 가설 = 91
2. 무의식의 기원과 정신의 이중성 = 95
1) 무의식의 기원 - 억압 = 95
2) 정신의 이중성 - '의식의 눈'과 '무의식의 눈' = 102
3. 지형학적 정신 구조론 = 107
1) 지형학적 정신 구조론 = 107
2) 의식과 전의식의 특성 = 115
4. 무의식의 내용과 성질들 = 119
1) 무의식의 내용 = 119
2) 무의식의 성질들 = 121
4장 유년기 = 137
1. 임상적 발견 - 유년기의 '현재적' 영향력 = 138
1) 프로이트의 임상적 관찰 = 138
2) 유년기의 정신분석학적 의미 = 141
2. 유년기가 인생 전반에 각별한 영향을 미치는 이유 = 152
1) 미성숙한 탄생 = 152
2) 정신의 틀과 성격이 형성되는 '격동적 과도기' = 156
3) 자아의 주요 방어 기제가 형성되는 시기 = 156
4) 트라우마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시기 = 158
5) 자극이 정신에 생생하게 각인되는 시기 = 160
6) 유년기 이후에 정신 구조와 성격의 변화가 힘든 까닭 = 162
7) 소망충족(퇴행) 욕구 = 164
3. 유년기 흔적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이유 = 166
5장 유아 성욕 = 169
1. 유아 성욕이란 무엇인가 = 170
2. 유아 성욕론의 형성 과정 = 171
3. 유아 성욕의 특징 = 175
4. 성적 쾌감의 근원 모델 = 181
1) 쾌락 체험의 근원 모델 = 181
2) 유년기의 성 자극이 유난히 강한 이유 = 183
3) 소망의 내용 = 184
6장 성욕동론 = 187
1. 성욕동 발달론 = 188
1) 구성 계기 = 188
2) 성욕동론의 전제 = 190
3) 성욕론 개요 = 192
4) 성욕동 발달 과정 = 194
5) 성욕동 집중 기관과 성 대상의 변화 = 196
2.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 197
1) 구강기의 특징 = 197
2) 항문기의 특징 = 201
3) 남근기의 특징 = 204
7장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207
1. 남근기의 전개 과정 = 208
1) 성차이 인식 = 208
2) 최초의 성 대상 선택 = 211
3) 아버지의 요구 = 212
4) 오이디푸스 욕구 = 215
5) 뜻밖의 충격 = 217
6) 양가감정과 복합 갈등 = 220
7) 거세불안 = 222
8) 부모와의 동일시 = 225
9) 성 정체성과 초자아의 형성 = 226
사례 : 교수 Z = 228
8장 정신질환의 원인과 극복 - 사후 작용 = 233
1. 신경증 증상의 발생 조건과 과정 = 234
1) 증상의 발생 조건 = 234
2) 트라우마의 발생 조건 = 234
3) 증상의 발생 과정 = 235
2. 사례 분석 : 엠마의 공포증 = 238
1) 엠마의 사례 = 238
2) 원인 분석과 치료 = 241
3. 사후 작용의 배경 구조 = 250
1) 사후 작용의 발생 조건 = 250
2) 사후 작용의 두 유형 = 252
4. 사후 작용의 철학적 의미 = 253
1) 지연 작용과 '흔적론' = 254
2) 회고 작용 = 256
3) 새로운 시간관 = 257
4) 의미의 불확정성 = 259
5) 사후 해석의 이중 가치성 = 262
9장 삶 본능과 죽음 본능 = 265
1. 인간 본능에 대한 새로운 해석 = 266
1) 이전 본능 이론의 한계 = 266
2) '자기애' = 267
2. 반복강박 = 269
1) 쾌락원칙 대 반복강박 = 270
2) 반복강박의 사례들 = 272
3. 죽음 본능과 삶 본능 = 278
1) 반복강박과 죽음 본능 = 278
2) 쾌락원칙과 해탈원칙의 관계 = 280
4. 인간의 근원적 욕망과 삶의 의미 = 282
10장 역동적 정신 구조론 = 287
1. 역동적 정신 구조론의 발생 배경과 특징 = 287
1) 지형학적 정신 모델의 문제점 = 287
2) 역동적 정신 구조론의 특징 = 291
2. 이드 = 296
3. 자아 = 299
1) 자아의 목적과 기능 = 299
2) 자아의 특성 = 302
3) 안면 기형 소녀의 자아 = 306
4. 초자아 = 309
1) 초자아의 기원 = 310
2) 초자아의 특성 = 310
3) 초자아의 기능 = 315
4) 죄책감의 기원과 특성 = 316
5) 초자아의 다양한 얼굴 = 319
11장 정신분석학이 현대 사상에 미친 영향 = 325
1. 철학자와의 대화 = 325
2. 정신분석이 철학에 미친 영향 = 335
1) 이론과 실천의 종합 모델 = 335
2) 의식 철학에 대한 반성 기호 = 336
3) 계보학적 정신 탐구 모델 = 339
4) 성욕동론과 현대의 철학적 인간학 = 341
5) 정신분석학이 윤리학에 미친 영향 = 343
6)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정신'은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가 = 346
7) 정신분석의 힘을 체험하기 위하여 = 352
부록 : '정신분석 정신'에 온전히 접근하기 위한 하나의 공부 방법 = 355
참고문헌 : 프로이트의 저서와 논문들 =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