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선거법과 정당제도

선거법과 정당제도 (8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Nohlen, Dieter. 신두철 , 역 김원 金元 , 역
서명 / 저자사항
선거법과 정당제도 / Dieter Nohlen 지음 ; 신두철 ; 김원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엠-애드 ,   2004.  
형태사항
451 p. : 삽도 ; 23 cm.
총서사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정치교육시리즈 ; 1
원표제
Wahlrecht und Parteiensystem
ISBN
8988277325
서지주기
참고문헌: p.398-441
000 00783namccc200265 4500
001 000045151257
005 20100806105727
007 ta
008 050214s2004 ulka 000a kor
020 ▼a 8988277325 ▼g 02240: ▼c \16000
035 ▼a KRIC09698663
040 ▼d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324.63 ▼2 22
090 ▼a 324.63 ▼b 2004a
100 1 ▼a Nohlen, Dieter. ▼0 AUTH(211009)76210
245 1 0 ▼a 선거법과 정당제도 / ▼d Dieter Nohlen 지음 ; ▼e 신두철 ; ▼e 김원 옮김.
246 1 9 ▼a Wahlrecht und Parteiensystem
260 ▼a 서울 : ▼b 엠-애드 , ▼c 2004.
300 ▼a 451 p. : ▼b 삽도 ; ▼c 23 cm.
440 0 0 ▼a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정치교육시리즈 ; ▼v 1
504 ▼a 참고문헌: p.398-441
700 1 ▼a 신두철 , ▼e▼0 AUTH(211009)83277
700 1 ▼a 김원 ▼g 金元 , ▼e▼0 AUTH(211009)49052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4.63 2004a 등록번호 1113102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Dieter Nohlen(지은이)

<선거법과 정당제도>

신두철(옮긴이)

독일 Hannover Universit?t 정치학사 및 정치학 석사 독일 Heidelberg Universit?t 정치학 박사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소 전문연구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전임교수 현) 한양대학교 국가전략연구소 연구교수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부회장 한독사회과학회 부회장 경실련 정치개혁위원회 위원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 선거의 의미, 개념, 기능 = 13
 1.1. 선거의 개념 = 15
 1.2. 선거의 의미 = 17
  1.2.1. 복수주의적 민주주의에서의 선거 = 18
  1.2.2. 비경쟁 체제에서의 선거 = 19
  1.2.3. 권위주의 체제에서의 선거 = 20
 1.3. 선거의 기능 = 21
  1.3.1. 경선의 기능 = 21
  1.3.2. 비경선의 기능 = 24
  1.3.3. 세미 - 경선의 기능 = 25
 1.4. 과도기의 선거 = 26
2. 선거권 : 민주주의 선거권 확대의 조건, 과정, 결과 = 29
 2.1. 선거권과 민주화 = 29
 2.2. 선거권의 기본원칙 = 31
 2.3. 민주주의적 선거권의 실현 과정 = 34
 2.4. 선거권 확산의 원인과 결과 = 43
3. 문제중심의 선거제도와 정당체제 이해 = 48
 3.1. 기본 개념 = 48
 3.2. 선거제도 : 근본적인 문제들과 연구의 단초들 = 49
  3.2.1. 선거제도가 얼마나 중요한가? = 50
  3.2.2. 선거제도는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는가? = 52
  3.2.3. 선거제도의 영향은 어떻게 평가되어야 하는가? = 54
  3.2.4. 연구 관점들 = 55
 3.3 정당체제 = 58
  3.3.1. 정당체제의 개념과 의미 = 58
  3.3.2. 연구 방법과 형태론 = 59
  3.3.3. 평가 = 65
 3.4. 선거제도의 비교분석 : 일반적과제와 주요논의 = 67
4. 선거체계론 Ⅰ : 선거제도의 기술적 요소 = 69
 4.1. 선거구 분할 = 70
  4.1.1. 평등 혹은 불평등 대표성 = 71
  4.1.2. 게리맨더링 = 74
  4.1.3. 선거구 크기와 비례대표제 효과 = 76
  4.1.4. 선거구 분할의 차원 = 81
  4.1.5. 선거구 크기의 지역적 분할 = 82
  4.1.6. 선거구 크기와 유권자와 의원들 간의 관계 = 86
 4.2. 입후보 방법 = 87
  4.2.1. 명부의 형태 = 87
  4.2.2. 명부연합 = 89
 4.3. 투표 방법 = 91
 4.4. 상이한 형태의 입후보 방법과 투표에 대한 평가 = 93
 4.5. 투표 산출법 = 95
  4.5.1. 저지조항 = 96
  4.5.2. 당선자결정규칙 = 98
  4.5.3. 최고상수법 = 99
  4.5.4. 당선표준수법(Wahlzahlverfahren) = 102
  4.5.5. 산술 비례법(헤어/니마이어) = 106
  4.5.6. 산출의 세 차원 = 110
 4.6. 선거제도의 분석과 효과에 대한 요약 및 결론 = 113
5. 선거체계론 Ⅱ : 다수대표제와 비례대표제. 선거제도의 분류와 평가 = 116
 5.1. 정의와 분류의 문제 = 116
 5.2. 당서자결정규칙과 대표형성원칙 = 122
 5.3. 다수대표제란? 비례대표제란? = 124
 5.4. 당선자결정규칙의 정치적 효과 = 126
  5.4.1. 다수대표제의 정치적 효과 = 126
  5.4.2. 비례대표제의 정치적 효과 = 127
  5.4.3. 당선자결정규칙으로서의 다수대표제와 비례대표제의 정치적 효과 비교 = 128
 5.5. 대표형성 원칙으로서의 다수대표제와 비례대표제의 직접적 효과 = 131
 5.6. 다수대표제와 비례대표제의 이론적 장점에 대한 비교 = 132
  5.6.1. 규범적 출발점에 따른 다수대표제와 비례대표제의 장점 = 133
  5.6.2. 역사적 - 경험적 출발점에 따른 다수대표제와 비례대표제의 장점과 단점 = 135
  5.6.3. 선거제도의 평가 및 분석을 위한 제 귀결 = 142
 5.7. 선거제도의 평가기준 = 144
6. 선거제도론 Ⅲ : 선거제도 유형, 효과, 비교 평가 = 152
 6.1. 선거제도의 유형론 = 158
 6.2. 선거제도 유형과 비례관계 = 173
 6.3. 비례대표제형과 정치적 결과 = 178
 6.4. 결합된 선거제도, 구조와 현상 = 180
 6.5. 선거제도 유형과 다차원의 기능 = 184
 6.6. 뉴질랜드의 예에서 본 두 선거제도 유형의 비교 = 189
7. 국제지역별 선거제도 비교 = 193
 7.1. 서구 산업 국가들의 선거제도 = 194
  7.1.1. 다수대표제 = 194
  7.1.2. 비례대표제 = 195
  7.1.3. 선거 개혁과 개혁 논쟁 = 203
 7.2 중부유럽과 동유럽에서의 선거제도 = 213
  7.2.1. 절대 다수대표제 = 217
  7.2.2. 다양한 크기의 선거구에서의 비례대표제 = 218
  7.2.3. 결합 선거제 = 219
  7.2.4. 비판과 개혁 = 222
 7.3 라틴아메리카에서의 선거제도 = 228
  7.3.1. 대통령중심제와 선거제도 그리고 정당제도 = 228
  7.3.2. 2석선거구제와 분할 선거제 = 230
  7.3.3. 비례대표제 = 231
  7.3.4. 정당제도 = 233
  7.3.5. 개혁논의 = 238
 7.4. 아프리카에서의 선거제도 = 240
 7.5. 아시아에서의 선거제도 = 247
8. 각국의 선거제도 = 253
 8.1. 선거제도에 관한 개별분석의 의미 = 254
 8.2. 영국(상대다수선거제) = 258
  8.2.1. 선거구 분할 = 259
  8.2.2. 선거구확대와 정치적 결과 = 262
  8.2.3. 노동당에 의한 자유당붕괴와 양당제의 성립 = 265
  8.2.4. 양당제에서의 정당경쟁 = 270
  8.2.5. 양당제의 붕괴와 결과 = 272
  8.2.6. 개혁논의와 전망 = 275
 8.3. 프랑스(절대다수 대표제) = 278
  8.3.1. 제3공화국에서의 절대다수 선거 = 278
  8.3.2. 권련형식으로서의 선거제도 = 281
  8.3.3. 제5공화국에서의 절대다수 선거 = 285
  8.3.4. 1985년 및 1986년의 선거개혁 : 양극화된 정당제의 완화? = 289
 8.4. 바이마르 공화국(순수비례 대표제) = 297
  8.4.1. 자동적 방법에 의한 순수 비례선거제 = 298
  8.4.2. 순수 비례선거제의 효과 = 299
  8.4.3. 바이마르 공화국 붕괴와 비례선거제의 책임론 = 301
 8.5. 독일연방공화국(인물본위의 비례선거제) = 302
  8.5.1. 인물본위 비례선거제와 선거개혁 1945-1990 = 303
  8.5.2. 선거제도적 차원에서의 정당발전 = 310
  8.5.3. 봉쇄조항(Sperrklausel) = 314
  8.5.4. 1인2표제의 조합(Zwiestimmen-Konstruktion) = 315
  8.5.5. 초과의석($$\ddot U$$berhangsmandate) = 320
  8.5.6. 인물본위 비례선거제의 검증과 평가 = 321
  8.5.7. 독일 선거제도의 분류 = 322
  8.5.8. 개혁논쟁과 개혁안 = 324
 8.6. 스페인(상이한 크기를 가진 선거구에서의 비례선거제) = 327
  8.6.1. 선거제도 = 328
  8.6.2. 상이한 크기의 선거구에서의 비례선거제 효과 = 328
  8.6.3. 선거제도의 평가와 개혁 = 330
 8.7. 아일랜드(단기이양식 투표) = 333
  8.7.1. 투표방식과 투표활용 = 333
  8.7.2. 선거구 분할의 효과 = 335
  8.7.3. 선거담합에 따른 투표방식의 효과 = 338
  8.7.4. 개혁논의 = 340
 8.8. 러시아(분절된 선거체제) = 341
  8.8.1. 선거체제의 형성 = 342
  8.8.2. 선거체제의 구조 = 343
  8.8.3. 선거체제의 효과 = 345
  8.8.4. 개혁논쟁 = 351
 8.9 헝가리(보충적 선거체제) = 352
  8.9.1. 선거체제의 형성 = 353
  8.9.2. 보충적 선거체제의 구조 = 354
  8.9.3. 헝가리 선거체제의 효과 = 356
  8.9.4. 선거체제의 평가 = 361
 9. 선거제도와 정당체제 = 363
  9.1. 민주주의이론과 선거제도 = 363
   9.1.1. 선거제도의 실행 = 363
   9.1.2. 선거제도와 선거참여 = 365
  9.2. 선거제도와 정당제도 = 367
   9.2.1. 선거제도와 다수형성 = 367
   9.2.2. 선거제도와 정부교체 = 370
   9.2.3. 선거제도와 상관관계 = 374
  9.3. 선거제도의 법칙성 = 376
   9.3.1. 듀베르제의 "사회학적 법칙" = 376
   9.3.2. 래이(Douglas. W. Rae)의 통계학적ㆍ경험적 실증 = 378
   9.3.3. 사르토리에 의한 듀베르제 법칙의 재구성 = 380
  9.4. 선거제도의 효과성 법칙에 대한 정의 = 385
  9.5. 선거제도의 관계 = 390
  9.6. 선거제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 = 393
  9.7. 선거제도의 생성과 개혁 = 394
  9.8. 선거제도의 의문과 정치자문 = 39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