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옥스퍼드 세계 영화사 (9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Nowell-Smith, Geoffrey 이순호
서명 / 저자사항
옥스퍼드 세계 영화사 / 제프리 노웰-스미스 책임편집 ; 이순호 외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열린책들 ,   2005.  
형태사항
996 p. : 삽도 ; 25 cm.
원표제
(The) Oxford history of world cinema
ISBN
8932905800 8932906661 9788932906669 (2006 신판)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884namccc200301 k 4500
001 000045151038
005 20100806105317
007 ta
008 050131s2005 ulka 001a kor
020 ▼a 8932905800 ▼g 03680
020 ▼a 8932906661 ▼g 03680(2006 신판)
020 ▼a 9788932906669 (2006 신판)
035 ▼a KRIC09682964
040 ▼a 245011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791.4309 ▼2 22
090 ▼a 791.4309 ▼b 2005
245 0 0 ▼a 옥스퍼드 세계 영화사 / ▼d 제프리 노웰-스미스 책임편집 ; ▼e 이순호 외 옮김.
246 1 8 ▼a (옥스퍼드 세계영화사) Cinema
246 3 8 ▼a Cinema
246 1 9 ▼a (The) Oxford history of world cinema
260 ▼a 서울 : ▼b 열린책들 , ▼c 2005.
300 ▼a 996 p. : ▼b 삽도 ; ▼c 25 cm.
500 ▼a 색인수록
700 1 ▼a Nowell-Smith, Geoffrey
700 1 ▼a 이순호 ▼0 AUTH(211009)105883
740 ▼a 세계 영화사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대형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113108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대형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113108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대형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113622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대형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113622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410676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중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청구기호 중어중문학과 791.4309 2005 등록번호 999003979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7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211056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8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211056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9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511870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10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512463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대형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113108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대형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113108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대형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113622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대형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113622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410676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중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청구기호 중어중문학과 791.4309 2005 등록번호 999003979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211056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211056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511870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91.4309 2005 등록번호 15124635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전세계 80명 이상의 영화학자와 영화평론가들이 함께 만든 영화의 역사에 관한 백과사전. 1000쪽에 이르는 페이지와 1만 개의 색인 목록이 말해주듯 '세계 영화사'가 다루어야 할 항목들을 빠짐없이 수록했다.

책은 1895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영화가 밟아온 길을 되짚는다. 영화의 발달사를 무성영화, 유성영화, 현대영화 등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고, 각 장마다 시기를 대표하는 작품뿐 아니라 필름, 사운드, 스크린, 렌즈, 카메라 등 기술적 요소들의 발전사도 자세하게 다루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영화와 인접 장르, 산업, 사회심리적 환경 간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조명한 점도 눈여겨 볼 만하다. 애니메이션의 발전과 영화, 음악과 영화, 뉴미디어와 영화의 관계를 폭넓게 분석하는 것이나, 대중의 성장과 양차 세계 대전 등을 20세기 영화사를 바라보는 중요한 배경으로 삼고 관객의 인식변화, 장르영화의 발전,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인기 등을 분석한 점도 흥미롭다.

각 장마다 기술, 산업, 역사적 조건과 영화의 상관관계를 다루는 부분을 2/3정도 배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영화사에 기억될 개인 및 개별 작품을 회고하는 데 할당했다.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구로사와 아키라,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등의 감독들은 물론 알랭 들롱과 같은 대중 스타들, 미술감독, 촬영감독 등 132명에 대한 글이 별도의 꼭지로 실려있다.

현대 영화이론의 전문가들이 모여 만든 책이면서도 전체적인 시각의 균형을 잘 유지해 특정 학파의 이론을 중심으로 씌어진 기존의 영화사 책을 넘어섰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지역적으로도 유럽과 미국뿐 아니라 아프리카, 인도, 라틴 아메리카 등까지 아우르며 고르게 안배했다. 단, 한국 영화에 대한 소개가 빠진 부분이 약간 아쉽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제프리 노웰 스미스(엮은이)

1960년대 이후 새롭게 등장한 영화 이론 분야를 주도해 온 인물 중 한 명이다. 루턴대학교 등 영국과 미국의 여러 대학에서 영화학을 가르쳤으며,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영국영화연구소(BFI: British Film Institute)에서 교육 부문과 출판 부문 책임자로 일하기도 했다. 여러 권의 저서를 쓰고 편집했는데, 그중에는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작품을 분석한 ≪정사L’Avventura≫, ≪옥스퍼드 세계 영화사The Oxford History of World Cinema≫, ≪메이킹 웨이브즈: 뉴 웨이브, 네오리얼리즘, 1960년대의 뉴 시네마들Making Waves: New Wave, Neorealism, and the New Cinemas of the 1960s≫ 등이 있다.

이영아(옮긴이)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사회교육원 전문 번역가 양성 과정을 이수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캐런 M. 맥매너스의 『누군가는 거짓말을 하고 있다』와 『우리 중 하나가 다음이다』, 『두 사람의 비밀』, 폴라 호킨스의 『걸 온 더 트레인』, 『스티븐 프라이의 그리스 신화』 시리즈, 리처드 H. 스미스의 『쌤통의 심리학』, 앤서니 애브니의 『별 이야기』, 드루드 달레룹의 『민주주의는 여성에게 실패했는가』 등 다수가 있다.

이순호(옮긴이)

홍익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했으며, 미국 뉴욕 주립 대학에서 서양사를 공부하고 석사 학위를 받았다. 『타타르로 가는 길』, 『살라딘』, 『문신, 금지된 패션의 역사』, 『1453 콘스탄티노플 최후의 날』, 『미국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미국사』, 『가상역사 21세기』, 『살라미스 해전』, 『발칸의 역사』, 『인류의 미래사』, 『페르시아 전쟁』, 『제국의 최전선』, 『불로만 밝혀지는 세상』, 『로마제국 최후의 100년』, 『지중해 5,000년의 문명사』, 『바다의 제국들』, 『인류의 역사』, 『비잔티움』, 『로마제국과 유럽의 탄생』, 『완전한 승리, 바다의 지배자』, 『위대한 바다』, 『발칸의 역사』, 『현대 중동의 탄생』, 『이슬람제국의 탄생』, 『지리의 복수』, 『스페인 내전, 우리가 그곳에 있었다』, 『하버드–C.H.베크 세계사 1870~1945』(공역), 『코드걸스』 등을 번역했다.

이남(옮긴이)

1960년에 태어나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서강대 언론대학원 영상과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중앙일보 영화 담당 기자로 일하다가 미국으로 건너가 남가주대(USC)에서 영화학 석사와 박사 과정을 마쳤다. 스티그 비에르크만의 『우디가 말하는 앨런』을 우리말로 옮겼다.

주영상(옮긴이)

1967년에 태어나 서울대 인류학과를 졸업했다.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디지털영상아카데미, 미디어센터 미디액트 등에서 시나리오 강의와 창작 워크숍을 진행했으며, 현재는 한국문화교육진흥원의 영화예술 강사로 일하고 있다. 번역서로 윌리엄 필립스의 『단편영화 시나리오 이렇게 쓴다』, 앤드루 호튼의 『캐릭터 중심의 시나리오 쓰기』, 마리사 드바리의 『시나리오 쓰기의 마법』 등이 있다.

김경식(옮긴이)

1956년에 태어나 서울대 불어교육과를 졸업했다. 영화 조감독으로 충무로에 입문한 후 영화 기획자로 일하다가 삼성, 현대 그룹의 영화 사업 관련 부서에서 영화 제작 투자, 외화 수입, 배급 등의 일을 했다. 로저 코먼의 『나는 어떻게 할리우드에서 백 편의 영화를 만들고 한 푼도 잃지 않았는가』, 폴 오스터의 『오기 렌의 크리스마스 이야기』, 『다리 위의 룰루』, 『마틴 프로스트의 내면의 삶』, 피터 바트의 『할리우드의 영화 전략』 등을 우리 말로 옮겼다.

이유란(옮긴이)

1970년에 태어나 서울대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를 수료했다. 『씨네21』에서 5년간 기자로 일하면서 2년간 「영화사 신문 코너」를 연재했다.

전찬일(옮긴이)

초등학교 시절부터 영화를 즐겨 관람했다. 독문학을 전공하던 대학 2학년 때 영화 스터디에 전격 뛰어들었다. 주간신문 기자를 거친 후 음악평론가 임진모와 의기투합해 서울대 재학 중인 6인조 남성 아카펠라 그룹 ‘인공위성’을 매니지먼트 하던 1993년 11월, 월간 『말』에 기고하며 영화 비평에 투신했다. 2002년부터 2007년까지 프로그램 코디네이터로 부산국제영화제(BIFF)에 느슨하게 참여했고, 2009년부터 2016년까지는 프로그래머, 마켓 부위원장, 연구소장으로 그 영화제에 몸담았다. 저서로 평론집 『영화의 매혹, 잔혹한 비평』(2008), 『부산의 문화 인프라와 페스티벌』(공저, 2017), 『호모헌드레드와 문화산업 : 대중문화 백세를 품다』(공저, 2018) 등이, 역서로 『존 레논 1940-1980』(1993) 등이 있다. 2020년 5월 현재,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회장, 강원영상위원회 운영위원,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집행위원, 도서출판 작가가 선정한 ‘오늘의 영화’ 기획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글로컬 컬처 플래너 & 커넥터’(Glocal Cuture Planner & Connector)를 표방하며 비평을 넘어 다채로운 문화 프로젝트들을 기획·추진해오고 있다. 지난해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100주년을 기념해 기획·출간한 단행본 『내 삶에 스며든 헤세』(라운더바우트, 2019년 5월 25일)도 그 중 하나다.

허인영(옮긴이)

1964년에 태어나 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 연극영화학과 대학원을 마쳤다. 공주영상정보대학, 가야대학, 동국대학, 상명대학 등에서 영화 실기 등에 대해 강의헀으며, 전주대 영상학부 겸임교수와 용인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로 일했다. 단편 영화 작업을 10여 편했고, 마틴 메이어의 『아드보카트의 열정 매니지먼트』, 로스 로웰의 『영상 조명 강의』를 번역했으며, 공저로 『영상제작입문』을 썼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난외 기사 = 15
컬러 사진 목록 = 17
총론 = 19
1 무성 영화 1895∼1930
  서론 = 25
  초창기 
    기원과 생존 / 파올로 케르키 우사이 = 28
    초창기 영화 / 로버타 피어슨 = 36
    과도기 영화 / 로버타 피어슨 = 48
  할리우드의 부상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 / 더글러스 고머리 = 71
    영화의 세계적 확산 / 루스 베이시 = 83
    1차 대전과 유럽의 위기 / 윌리암 위리시오 = 92
  무성 영화 
    속임수 영화와 애니메이션 / 도널드 크래프턴 = 103
    코미디 / 데이비드 로빈슨 = 111
    다큐멘터리 / 찰스 머서 = 122
    영화와 아방가르드 / A. L. 리스 = 133
    연작 영화 / 벤 싱어 = 145
  각국의 영화 
    프랑스 무성 영화 / 리처드 에이블 = 153
    이탈리아 : 스펙터클과 멜로드라마 / 파올로 케르키 우사이 = 166
    헵워스에서 히치콕까지의 영국 영화 / 존 호크리지 = 174
    독일 영화 : 바이마르 시대 / 토마스 엘제서 = 181
    스칸디나비아 스타일 / 파올로 케르키 우사이 = 197
    혁명 전 러시아 영화 / 유리 치비안 = 205
    소비에트 연방과 망명 러시아 인들의 영화 / 나탈리아 누시노바 = 209
    유럽의 이디시 영화 : 마레크ㆍ마우고르자타 헨드리코프스키 = 222
    일본 영화 : 관동 대지진 이전 / 고마쓰 히로시 = 225
  무성 영화 체험 
    음악과 무성 영화 / 마틴 마크스 = 232
    무성 영화의 전성기 / 제프리 노웰-스미스 = 243
2 유성 영화 1930∼1960
  서론 = 259
  소리 
    소리의 도입 / 카렐 디베츠 = 263
  스튜디오 시대 
    할리우드 : 스튜디오 체제의 대승리 / 토머스 샤츠 = 273
    검열과 자율 규제 / 리처드 몰트비 = 290
    사운드 오브 뮤직 / 마틴 마크스 = 306
    테크놀로지와 혁신 / 존 벨튼 = 319
    애니메이션 / 윌리엄 모리츠 = 328
  장르 영화 
    영화와 장르 / 릭 올트먼 = 338
    서부 영화 / 에드워드 버스콤브 = 348
    뮤지컬 / 릭 올트먼 = 358
    범죄 영화 / 필 하디 = 369
    판타지 / 비비언 소브책 = 378
  현실 참여 
    다큐멘터리 / 찰스 머서 = 388
    사회주의, 파시즘, 그리고 민주주의 / 제프리 노웰-스미스 = 400
  각국의 영화 
    대중 예술로서의 프랑스 영화 / 지넷 빈센도 = 412
    이탈리아 : 파시즘에서 네오리얼리즘까지 / 모란도 모란디니 = 422
    대영 제국 말기의 영국 / 안토니아 랜트 = 432
    독일 : 나치즘과 그 후 / 에릭 렌츨러 = 455
    2차 대전 이전의 동중부 유럽 / 마우고르자타 헨드리코프스카 = 465
    스탈린 치하의 소비에트 영화 / 피터 케네즈 = 472
    인도 영화 : 독립의 기원 / 아시시 라자?샤 = 482
    1949년 이전의 중국 / 크리스 베리 = 495
    일본의 고전기 영화 / 고마쓰 히로시 = 500
    오스트레일리아 영화의 등장 / 빌 루트 = 509
    라틴 아메리카 영화 / 마이클 채넌 = 515
  2차 대전 이후의 세계 
    2차 대전 이후 / 제프리 노웰-스미스 = 525
    할리우드 시스템의 변화 / 더글러스 고머리 = 533
    독립 영화인과 이단자들 / 제프리 노웰-스미스 = 542
3 현대 영화 1960∼1995
  서론 = 555
  텔레비전 시대의 영화 
    텔레비전과 영화 산업 / 미셸 힐메스 = 558
    새로운 할리우드 / 더글러스 고머리 = 568
    새로운 기술 / 존 벨튼 = 577
    섹스와 선정성 / 린다 월리엄스 = 585
  미국 영화 
    미국 영화에서 흑인의 존재 / 짐 파인스 = 593
    선정 영화와 주류 영화 / 킴 뉴먼 = 607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꿈과 악몽 / 조지프 사텔 = 615
  경계를 넓혀 
    시네마 베리테와 새로운 다큐멘터리 / 찰스 머서 = 628
    아방가르드 영화 : 두 번째 물결 / A. L. 리스 = 640
    후기 산업 사회의 애니메이션 / 월리엄 모리츠 = 656
    현대 영화 음악 / 로열 브라운 = 666
    예술 영화 / 제프리 노웰-스미스 = 675
  세계의 영화 
    프랑스 영화의 새로운 방향 / 페터 그라암 = 685
    이탈리아 : 작가들과 그 후 / 모란도 모란디니 = 697
    프랑코 이후의 스페인 / 마샤 킨더 = 708
    영국 영화 : 정체성 찾기 / 던컨 페트리 = 716
    뉴 저먼 시네마 / 안톤 카에스 = 728
    동독 : DEFA 이야기 / 한스-미하엘 보크 = 742
    동중부 유럽의 변화상 / 마레크 헨드리코프스키 = 748
    해빙 이후의 러시아 / 비다 존슨 = 758
    소비에트 공화국들의 영화 / 장 라드바니 = 770
    터키 영화 / 유수프 카플란 = 776
    아랍 세계 / 로이 암스 = 781
    사하라 사막 이남의 영화 / 빈센트 메이곰브 = 788
    이란 영화 / 하미드 나피시 = 793
    인도 : 영화에 국가를 담기 / 아시시 라자?샤 = 799
    인도네시아 영화 / 데이비드 해넌 = 812
    공산 혁명 이후의 중국 / 에스더 야우 = 816
    홍콩의 대중 영화 / 리축토 = 828
    대만의 뉴 시네마 / 준입 = 836
    일본 영화의 현대화 / 고마쓰 히로시 = 838
    새로운 오스트레일리아 영화 / 스티븐 크로프츠 = 846
    뉴질랜드 영화 / 빌 루트 = 857
    캐나다 영화 / 질 맥그릴 = 857
    라틴 아메리카의 새로운 영화 / 마이클 채넌 = 867
  결론 
    영화의 새로운 개념 / 제프리 노웰-스미스 = 878
    영화의 부활 / 제프리 노웰-스미스 = 888
용어 설명 = 897
참고 문헌 = 901
인명 색인 = 925
영화 색인 = 953
사진 출처 = 995

관련분야 신착자료

정서경 (2023)
이도훈 (2023)
한국영화학회 (2022)
宇野常寛 (2022)
프로파간다 (2022)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영화와의사소통연구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