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Why Exersise? = 1
1장 운동과 호흡 = 11
1. 폐의 구조와 기능 = 12
1.1. 폐의 구조 = 12
1.2. 폐 기능 = 13
2. 폐의 가스 교환과 혈액에 의한 가스 운반 = 17
2.1. 폐의 가스교환 = 17
2.2. 혈액에 의한 산소 및 이산화탄소 운반 = 18
3. 운동시 호흡조절 = 21
3.1. 일정부하 운동 시의 호흡조절 = 22
3.2. 점증부하 운동 시의 호흡조절 = 25
4. 호흡조절과 산 - 염기평형 = 28
2장 운동과 순환 = 33
1. 심장의 구조와 기능 = 33
1.1. 심장의 위치와 구조 = 33
1.2. 심장의 기능 = 35
2. 심전도 = 37
3. 심장주기 = 39
4. 심장의 신경지배 = 42
5. 심박수 = 45
6. 1회 박출량 = 46
6.1. 운동과 1회박출량 = 48
7. 운동과 심박출량 = 50
8. 혈액순환 = 53
9. 혈액배분 = 55
9.1. 혈류의 조절 = 57
10. 혈압 = 60
11. 순환조절 = 63
11.1. 압수용기 조절(baroreceptor reflex) = 63
11.2. 화학수용기 반사(chemoreceptor reflex) = 63
11.3. 내분비성 조절 = 64
3장 운동과 근육 = 67
1. 골격근의 구조 = 67
2. 골격근의 수축 = 69
3. 근 수축 타입 = 71
4. 근력과 근 파워 = 73
5. 운동단위 = 75
6. 근섬유 타입 = 76
7. 근섬유 타입 구성 = 78
8. 트레이닝에 의한 골격근의 적응 = 79
8.1. 근력트레이닝의 효과 = 80
8.2. 지구성 트레이닝의 효과 = 81
8.3. 스프린트 트레이닝의 효과 = 81
4장 운동과 신경 = 85
1. 신경계의 분류 = 85
2. 신경조직의 구조와 기능 = 86
3. 중추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 88
3.1. 뇌 = 88
3.2. 척수 = 91
4. 말초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 92
4.1. 뇌신경 = 93
4.2. 척수신경 = 93
4.3. 체성신경계와 자율신경계 = 93
5. 신경계에 의한 운동조절 = 96
5.1. 수의운동의 신경전도 경로 = 96
5.2. 반사와 상위중추에 의한 운동 조절 = 97
5.3. 운동단위의 동원 = 99
5.4. 트레이닝에 의한 신경계 변화 = 99
5장 운동과 발육 = 103
1. 신체발육의 개요 = 103
2. 신체구성, 비만, 에너지 = 106
3. 신경계와 운동기술의 발달 = 110
4. 근육과 무산소성 파워의 발달 = 112
5. 호흡ㆍ순환계와 유산소성 파워의 발달 = 114
6장 운동과 대사 = 120
1. 탄수화물ㆍ지질대사란? = 120
2. 탄수화물 대사 = 121
2.1. 글리코겐 대사 = 122
2.2. 탄수화물 흡수과정 = 123
2.3. 탄수화물 운반능력 및 인슐린 감수성 = 125
3. 지질대사 = 126
4. 탄수화물ㆍ지질대사와 운동 및 골격근 = 129
4.1. 탄수화물 대사와 운동 = 129
4.2. 지질대사와 운동 = 136
7장 운동과 내분비 = 147
1. 내분비란? = 147
1.1. 호르몬이란? = 147
1.2. 호르몬의 작용 특성 = 148
1.3. 호르몬의 분류와 작용 = 148
1.4. 운동 시 흐르몬 변동과 생리작용 = 150
2. 에너지원의 공급과 내분비 = 155
2.1. 간장에서의 탄수화물 생성 = 156
2.2. 지방 동원 = 156
2.3. 글리코겐 분해 = 156
2.4. 근육에서의 탄수화물 흡수 = 158
3. 오버 트레이닝과 내분비 = 158
3.1. 시상하부 - 뇌하수체 - 성선계 = 161
3.2. 시상하부 - 뇌하수체 - 부신계 = 161
8장 운동과 노화 = 165
1. 노화란? = 166
2. 가령(加齡)에 따른 신체적 변화 = 167
3. 건강한 고령자의 최대산소섭취량 = 169
4. 고령 운동인의 최대산소섭취량 = 171
5. 운동의 노화지연 효과 = 174
6. 노화도, 건강도의 지표인 활력연령으로 평가한 운동의 효과 = 180
6.1. 활력연령의 산출식 = 181
6.2. 운동효과: 그룹 간 비교 = 181
7. 건강수명을 연장하는 운동의 필요성 = 183
9장 운동과 생활습관병 = 188
1.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행정 = 189
1.1. 생활습관병의 예방책 = 191
1.2. 건강증진을 위한 바람직한 생활습관 = 192
2. 생활습관병이란? = 193
3. 疫學的 관점에서 운동의 필요성 = 194
4. 후생노동성의 신체활동 지침 = 196
5. 비만자의 생활습관개선 효과 = 197
6. 고혈압 환자의 생활습관개선 효과 = 200
7. 허혈성 심장질환자의 생활습관개선 효과 = 204
8. 당뇨병 환자의 생활습관개선 효과 = 206
10장 환경과 운동ㆍ트레이닝 = 212
1. 저압환경과 운동 = 212
1.1. 저압환경과 생리적 반응 = 212
1.2. 저압환경에서의 유산소성 작업능력 = 214
1.3. 저압 환경에서의 무산소성 작업능력 = 215
1.4. 고지 트레이닝 = 217
2. 기온과 운동 = 225
2.1. 기온과 체온조절 과정 = 225
2.2. 저온 환경과 운동 = 226
2.3. 고온 환경과 운동 = 228
3. 수중에서의 운동 = 231
4. 우주환경과 운동 = 234
4.1. 우주환경과 인간 = 234
4.2. 우주비행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