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영유아 보육ㆍ교육 프로그램의 이해

영유아 보육ㆍ교육 프로그램의 이해 (2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순형
서명 / 저자사항
영유아 보육ㆍ교육 프로그램의 이해 / 이순형...[등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   2005.  
형태사항
476 p. : 삽도 ; 24 cm.
ISBN
8958910550
000 00478namccc200181 4500
001 000045149013
005 20100806102021
007 ta
008 050201s2005 ulka 000a kor
020 ▼a 895891055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2.21 ▼2 21
090 ▼a 372.21 ▼b 2005
245 0 0 ▼a 영유아 보육ㆍ교육 프로그램의 이해 / ▼d 이순형...[등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5.
300 ▼a 476 p. : ▼b 삽도 ; ▼c 24 cm.
700 1 ▼a 이순형 ▼0 AUTH(211009)5487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21 2005 등록번호 1113091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21 2005 등록번호 1113091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372.21 2005 등록번호 1410420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순형(지은이)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석사, 박사(아동학) 한국아동학회,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주요 저서: <탈북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2007, 공저), <탈북민의 가족해체와 재구성>(2009, 공저), <탈북인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2009, 공저), <한국아동의 일상생활문화>(2009), <한국인의 자아정체 형성과 변화>(2010), <탈북인의 공.사적 관계와 의사소통>(2011, 공저),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도덕성, 법의식과 권위 인식>(2014, 공저)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1부 영유아 보육ㆍ교육 프로그램의 배경
 1장 영유아 보육ㆍ교육 프로그램의 철학과 역사 = 15
  1. 외국의 영유아 보육ㆍ교육 프로그램 = 15
  2. 우리나라의 영유아 보육ㆍ교육 프로그램 = 32
  3. 영유아 보육ㆍ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전망 = 41
 2장 영유아 보육ㆍ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이론 = 55
  1. 성숙주의 = 55
  2. 행동주의 = 66
  3. 구성주의 = 74
2부 외국의 영유아 보육ㆍ교육 프로그램 
 3장 프뢰벨 유아교육 프로그램 = 91
  1. 프뢰벨 유아교육의 배경 = 91
  2. 프뢰벨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기본 전제 = 96
  3. 프뢰벨 유아교육의 교구재료 = 97
  4. 프뢰벨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 98
  5. 프뢰벨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사례 = 114
  6. 프뢰벨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 114
  7. 한국 현장에서 프뢰벨 유아교육 프로그램 적용의 문제 = 115
 4장 몬테소리 프로그램 = 117
  1.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배경 = 117
  2.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기본 전제 = 120
  3.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 125
  4.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사례 = 137
  5. 한국 현장에서의 적용 및 문제점 = 140
 5장 프로젝트 접근법 = 143
  1. 프로젝트 접근법의 배경 = 143
  2. 프로젝트 접근법의 기본 전제 = 147
  3.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육과정 = 150
  4.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제 : 닭 프로젝트 = 160
  5. 한국 현장에서의 적용 및 문제점 = 164
 6장 발도르프 프로그램 = 169
  1.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배경 = 170
  2.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기본 전제 = 174
  3. 발도르프 유아교육과정 = 180
  4. 발도르프 유아교육의 사례 = 190
  5. 한국 현장에서의 적용 및 문제점 = 192
 7장 포테이지 프로그램 = 195
  1. 포테이지 프로그램의 배경 = 195
  2. 포테이지 프로그램의 기본 전제 = 196
  3. 포테이지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 197
  4. 포테이지 프로그램의 사례 = 204
  5. 한국 현장에서의 적용 및 문제점 = 206
 8장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 = 209
  1.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배경 = 209
  2.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기본 전제 = 212
  3.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 213
  4.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사례 = 220
  5. 한국 현장에서의 적용 및 문제점 = 224
 9장 하이/스코프 프로그램 = 227
  1.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배경 = 228
  2.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기본 전제 = 229
  3.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 229
  4.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사례 = 241
  5. 한국 현장에서의 적용 및 문제점 = 242
 10장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 245
  1.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배경 = 245
  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기본 전제 = 248
  3.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과정 = 254
  4.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그램의 사례 = 264
  5. 한국 현장에서의 적용 및 문제점 = 265
 ll장 프로젝트 스펙트럼 접근법 = 267
  1. 프로젝트 스펙트럼 접근법의 배경 = 267
  2. 프로젝트 스펙트럼 접근법의 기본 전제 = 272
  3. 프로젝트 스펙트럼 접근법의 교육과정 = 272
  4. 프로젝트 스펙트림 접근법의 사례 = 279
  5. 한국 현장에서의 적용 및 문제점 = 280
3부 한국의 영유아 보육ㆍ교육 프로그램 
 12장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어린이집 : 주제탐구 표현활동 프로그램 = 285
  1. 주제탐구 표현활동 프로그램의 배경 = 285
  2. 주제탐구 표현활동 프로그램의 기본 전제 = 287
  3. 교육과정 = 291
 13장 연세대학교 어린이생활지도연구원 : 개방주의 교육과정 = 303
  1. 연세 개방주의 유아교육과정의 배경 = 303
  2. 연세 개방주의 유아교육과정의 기본 전제 = 304
  3. 연세 개방주의 유아교육과정의 계획과 운영 = 304
 14장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이화유치원 : 생활주제(단원)중심 교육과정 = 313
  1. 이화유치원 유아교육과정의 배경 = 313
  2. 이화유치원 유아교육과정의 기본 전제 = 317
  3. 교육과정의 계획과 운영 = 317
 15장 중앙대학교 부속유치원 : 활동중심 통합교육과정 = 327
  1. 역사 및 이론적 배경 = 327
  2. 교육목적 및 목표 = 328
  3. 교육내용 및 활동 = 329
  4. 일과의 구성 및 운영 = 329
  5. 환경의 구성원리 = 332
  6. 교사의 역할 = 333
 16장 덕성여자대학교 부속유치원 : 상호작용이론에 기초한 교육과정 = 335
  1. 이론적 배경 = 335
  2. 상호작용이론에 기초한 교육과정의 기본 전제 = 337
  3. 교육과정 = 338
 17장 부산대학교 부설어린이집 : 생태유아교육과정 = 349
  1. 생태유아교육의 배경 = 350
  2. 생태유아교육의 실천 프로그램 = 352
  3. 생태유아교육의 일과 구성 = 355
  4. 생태유아교육의 환경 구성 = 357
  5. 교사의 역할 = 359
  6. 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 360
  7. 평가 = 361
4부 영유아 보육ㆍ교육 프로그램의 다원화 
 18장 혼합연령 프로그램 = 365
  1. 혼합연령 프로그램의 배경 = 365
  2. 혼합연령 프로그램의 특성 = 368
  3. 혼합연령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 370
  4. 혼합연령 프로그램의 사례 = 378
  5. 한국 현장에서의 적용 및 문제점 = 380
 19장 장애아 통합프로그램 = 387
  1. 장애아 통합프로그램의 배경 = 387
  2. 장애아 통합프로그램의 기본 전제 = 390
  3. 장애아 통합프로그램의 교육과정 = 392
  4. 장애아 통합프로그램의 사례 = 403
  5. 한국 현장에서의 적용 및 문제점 = 405
 20장 반편견 프로그램 = 409
  1. 반편견 프로그램의 배경 = 409
  2. 반편견 프로그램의 기본 전제 = 410
  3. 반편견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 413
  4. 반편견 프로그램의 사례 = 421
  5. 한국 현장에서의 적용 및 문제점 = 422
 21장 영재아 프로그램 = 427
  1. 영재아 프로그램의 배경 = 427
  2. 영재아 프로그램의 기본 전제 = 432
  3. 영재아의 판별 = 433
  4. 영재아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 435
  5. 영재아 프로그램의 사례 = 443
  6. 한국 현장에서의 적용 및 문제점 = 447
 22장 친환경 프로그램 = 453
  1. 생태주의의 배경과 개념 = 454
  2. 생태주의의 기본 전제 = 456
  3. 생태주의 교육과정 = 458
  4. 생태주의 교육과정의 사례 = 463
찾아보기 = 473


관련분야 신착자료